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중정의 유형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ological Alteration of the Courtyard in Modern Archite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265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urtyard is evolving from the conventional one element of a building far beyond into independent peremeter of urban architecture, of which function has been darmatically upgraded from embedded traditional air fluiding, nutural lighting system into wh...

      Courtyard is evolving from the conventional one element of a building far beyond into independent peremeter of urban architecture, of which function has been darmatically upgraded from embedded traditional air fluiding, nutural lighting system into where full fledged function can be experienced so much as your imagimation reaches taking major social responsibility such as intact offline social networking which links people from neighbors, inter / extra buiding openness which allow people can communicate among othewise between themselves and artificial natural environmental emelents supplier where people resort to relaxation and natural healing. Roles of courtyard has been by far streatched out into nearby natural healing space where people can shake off their unavoidable stresses from the modern life relaxing themselves looking at the sky otherwise observe natural surroundigns such as plants, flowers and waters. Thanks to hereonto mentioned its merits, Courtyard building is widely used and seen as a center of modern urban design in residence, public bilding and urban planned buildings. Courtyard biulding is nowadays boasting their morphological diversity brought out from lots of topological variation, type variants, cross section and inter relationship with the other neighboring spaces. Hence, hereby I have been studied how above mentioned three major peremeters of courtyard has been upgraded in modern architecture comparing the period from 1960 to 1990 and the period starting from 1991.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중정의 정의와 시대적 유형
      • 3. 중정의 유형 사례 분석
      • 4. 소결
      • Abstract
      • 1. 서론
      • 2. 중정의 정의와 시대적 유형
      • 3. 중정의 유형 사례 분석
      • 4. 소결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세관, "중정형 도시주택의 공간구조에 관한 문화적 비교 연구" 10 (10): 1994

      2 이성훈, "제3세대 뮤지엄 건축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6 (16): 71-80, 2007

      3 이수화, "우리나라 중정형 주택의 공간구성적 특성에 관한 유형학적 연구 : 60년대 이후의 건축가에 의한 중정형 주택을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1998

      4 손세관, "도시주거형성의 역사" 열화당 2000

      5 金炯佑, "中庭住宅의 形態的 特性과 類型學的 分析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0

      6 Amr Bagneid, "Indigenous Residental Courtyards, VOLUME IV" IASTE 1989

      7 황재영, "1990년대 이후 한국 중정형 주택의 형태와 공간구성에 관한 유형분석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0

      1 손세관, "중정형 도시주택의 공간구조에 관한 문화적 비교 연구" 10 (10): 1994

      2 이성훈, "제3세대 뮤지엄 건축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6 (16): 71-80, 2007

      3 이수화, "우리나라 중정형 주택의 공간구성적 특성에 관한 유형학적 연구 : 60년대 이후의 건축가에 의한 중정형 주택을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1998

      4 손세관, "도시주거형성의 역사" 열화당 2000

      5 金炯佑, "中庭住宅의 形態的 特性과 類型學的 分析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0

      6 Amr Bagneid, "Indigenous Residental Courtyards, VOLUME IV" IASTE 1989

      7 황재영, "1990년대 이후 한국 중정형 주택의 형태와 공간구성에 관한 유형분석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75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