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옥타비오 파스, "흙의 자식들" 솔 1999
2 김미혜, "조선후기 문학에 나타난 음식문화 특성- 판소리 다섯마당을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393-403, 2007
3 국사편찬위원회, "자연과 정성의 산물, 우리 음식" 두산동아 2006
4 주영하, "음식인문학"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1
5 김온기, "유아의 상상놀이에 관한 일 연구 : 자유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6 이혜미, "시 창작을 통한 자기서사 탐색" 한국문학치료학회 9 : 7-25, 2008
7 우찬제, "서사학 강의" 문학과지성사 2010
8 정정순, "백석의 시 쓰기 방식 연구" 국어국문학회 129 (129): 1-13, 2001
9 소래섭, "백석의 맛" 프로네시스 2009
10 신주철, "백석의 만주 체류기 작품에 드러난 가치 지향" 국제어문학회 (45) : 251-277, 2009
1 옥타비오 파스, "흙의 자식들" 솔 1999
2 김미혜, "조선후기 문학에 나타난 음식문화 특성- 판소리 다섯마당을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393-403, 2007
3 국사편찬위원회, "자연과 정성의 산물, 우리 음식" 두산동아 2006
4 주영하, "음식인문학"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1
5 김온기, "유아의 상상놀이에 관한 일 연구 : 자유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6 이혜미, "시 창작을 통한 자기서사 탐색" 한국문학치료학회 9 : 7-25, 2008
7 우찬제, "서사학 강의" 문학과지성사 2010
8 정정순, "백석의 시 쓰기 방식 연구" 국어국문학회 129 (129): 1-13, 2001
9 소래섭, "백석의 맛" 프로네시스 2009
10 신주철, "백석의 만주 체류기 작품에 드러난 가치 지향" 국제어문학회 (45) : 251-277, 2009
11 강외석, "백석시의 음식 담론考" 배달말학회 (30) : 129-152, 2002
12 소래섭, "백석 시와 음식의 아우라" 한국근대문학회 (16) : 275-300, 2007
13 소래섭, "백석 시에 나타난 음식의 의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4 이경수, "백석 시에 나타난 문화의 충돌과 습합 ― 여행·음식·종교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23) : 7-33, 2008
15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와 문학연구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21 : 233-252, 2011
16 전영숙, "문학치료 기법의 학교 현장 적용" 한국문학치료학회 2 : 43-71, 2005
17 김미혜, "문학 작품을 통한 향토 음식 콘텐츠 개발 - 충무공 ‘현충(顯忠) 밥상’, 추사 김정희 ‘추사(秋史) 밥상’"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639-654, 2010
18 클라우스 E. 뮐러, "넥타르와 암브로시아" 안티쿠스 2007
19 채연숙, "글쓰기치료. 이론과 실제" 경북대학교출판부 2010
20 정윤희, "『변신』에 나타난 음식의 서사적 기능*" 한국독어독문학회 52 (52): 173-200,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