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석의 시 쓰기에 나타난 음식서사와 치유의 관련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58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riting poetry for Baekseok is a window of communication to reconstruct the Korean people and himself in the adverse colonial system. Most of poetry in the 《Saseum (a deer)》were the keen words which the self as a young poet can communicate with the world. As his poetry is ‘the discourse of the food or one’s dietary life, this study defined his poetry as ‘the food narrative’ In addition, this article aimed at finding the food narrative and the process of healing, which was revealed in the course of ‘writing poetry’.
      His poetry was the reconstitution of the words which changed to the poetic image through eating, writing and remembering. In this time, it can remember the taste of childhood that was happy in the course of changing. Etymologically, to eat and to write is in the sam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need for positively intervention of self-reliance in the course of eating and writing. This generates the open narrative of confession and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enough heal sincerely as one remembers, writes and reads the taste when eating the good foods.
      This study defined ‘the food narrative’ of Baekseok’s poetry that best described the emotion of Korean and the taste, and suggested that this is necessary for more various studies.
      번역하기

      Writing poetry for Baekseok is a window of communication to reconstruct the Korean people and himself in the adverse colonial system. Most of poetry in the 《Saseum (a deer)》were the keen words which the self as a young poet can communicate with th...

      Writing poetry for Baekseok is a window of communication to reconstruct the Korean people and himself in the adverse colonial system. Most of poetry in the 《Saseum (a deer)》were the keen words which the self as a young poet can communicate with the world. As his poetry is ‘the discourse of the food or one’s dietary life, this study defined his poetry as ‘the food narrative’ In addition, this article aimed at finding the food narrative and the process of healing, which was revealed in the course of ‘writing poetry’.
      His poetry was the reconstitution of the words which changed to the poetic image through eating, writing and remembering. In this time, it can remember the taste of childhood that was happy in the course of changing. Etymologically, to eat and to write is in the sam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need for positively intervention of self-reliance in the course of eating and writing. This generates the open narrative of confession and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enough heal sincerely as one remembers, writes and reads the taste when eating the good foods.
      This study defined ‘the food narrative’ of Baekseok’s poetry that best described the emotion of Korean and the taste, and suggested that this is necessary for more various stud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옥타비오 파스, "흙의 자식들" 솔 1999

      2 김미혜, "조선후기 문학에 나타난 음식문화 특성- 판소리 다섯마당을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393-403, 2007

      3 국사편찬위원회, "자연과 정성의 산물, 우리 음식" 두산동아 2006

      4 주영하, "음식인문학"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1

      5 김온기, "유아의 상상놀이에 관한 일 연구 : 자유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6 이혜미, "시 창작을 통한 자기서사 탐색" 한국문학치료학회 9 : 7-25, 2008

      7 우찬제, "서사학 강의" 문학과지성사 2010

      8 정정순, "백석의 시 쓰기 방식 연구" 국어국문학회 129 (129): 1-13, 2001

      9 소래섭, "백석의 맛" 프로네시스 2009

      10 신주철, "백석의 만주 체류기 작품에 드러난 가치 지향" 국제어문학회 (45) : 251-277, 2009

      1 옥타비오 파스, "흙의 자식들" 솔 1999

      2 김미혜, "조선후기 문학에 나타난 음식문화 특성- 판소리 다섯마당을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393-403, 2007

      3 국사편찬위원회, "자연과 정성의 산물, 우리 음식" 두산동아 2006

      4 주영하, "음식인문학"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1

      5 김온기, "유아의 상상놀이에 관한 일 연구 : 자유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6 이혜미, "시 창작을 통한 자기서사 탐색" 한국문학치료학회 9 : 7-25, 2008

      7 우찬제, "서사학 강의" 문학과지성사 2010

      8 정정순, "백석의 시 쓰기 방식 연구" 국어국문학회 129 (129): 1-13, 2001

      9 소래섭, "백석의 맛" 프로네시스 2009

      10 신주철, "백석의 만주 체류기 작품에 드러난 가치 지향" 국제어문학회 (45) : 251-277, 2009

      11 강외석, "백석시의 음식 담론考" 배달말학회 (30) : 129-152, 2002

      12 소래섭, "백석 시와 음식의 아우라" 한국근대문학회 (16) : 275-300, 2007

      13 소래섭, "백석 시에 나타난 음식의 의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4 이경수, "백석 시에 나타난 문화의 충돌과 습합 ― 여행·음식·종교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23) : 7-33, 2008

      15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와 문학연구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21 : 233-252, 2011

      16 전영숙, "문학치료 기법의 학교 현장 적용" 한국문학치료학회 2 : 43-71, 2005

      17 김미혜, "문학 작품을 통한 향토 음식 콘텐츠 개발 - 충무공 ‘현충(顯忠) 밥상’, 추사 김정희 ‘추사(秋史) 밥상’"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639-654, 2010

      18 클라우스 E. 뮐러, "넥타르와 암브로시아" 안티쿠스 2007

      19 채연숙, "글쓰기치료. 이론과 실제" 경북대학교출판부 2010

      20 정윤희, "『변신』에 나타난 음식의 서사적 기능*" 한국독어독문학회 52 (52): 173-200,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 0.7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