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산소 분압에 따른 준강자성 NiCo2O4 (110) 박막의 격자 변형과 자기 이방성 = Oxygen Pressure Dependence of Lattice Strain and Magnetic Anisotropy in Ferrimagnetic NiCo2O4 (110) fil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24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에피탁시 NiCo2O4 (110) 박막이 펄스레이저 증착법으로 5 – 200 mTorr 산소 분위기에서 MgAl2O4 (110) 기판 위에 제작되었다. X-선 회절측정 결과, 산소 분압이 증가함에 따라 NiCo2O4 박막의 (110) 피크는 ...

      에피탁시 NiCo2O4 (110) 박막이 펄스레이저 증착법으로 5 – 200 mTorr 산소 분위기에서 MgAl2O4 (110) 기판 위에 제작되었다. X-선 회절측정 결과, 산소 분압이 증가함에 따라 NiCo2O4 박막의 (110) 피크는 낮은 각도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특히 면간거리는 20 mTorr 근처에서 상대적으로 큰 변화를보였다. 락킹커브 측정은 박막의 결정성이 우수함을 뒷받침하였으며, 원자 힘 현미경 측정은 표면 거칠기가1 nm 이하로 평탄한 박막들임을 보여주었다. 자기-광 커 효과 측정으로 시료들은 상온에서 준강자성을띠고 평면 내에서 뚜렷한 단축 자기 이방성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산소 분압이 증가할수록 박막의준강자성-상자성 상전이 온도가 약 305 K에서 약 365 K까지 증가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저항 측정을통해 전기적으로 금속성과 준강자성이 함께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산소 분압이 증가함에따라 산소결함이 줄고 팔면체 위치를 차지하는 Ni3+ 이온이 많아져 전체 스핀 합이 커지므로 준강자성 특성은 강해지며, 격자 변형이 커짐에 따라 스핀-궤도 결합에 의해 자기 이방성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 Lee, 15 : 4337-, 2015

      2 P. Silwal et al., 114 : 103704-, 2013

      3 P. Wang et al., 493 : 1236-, 2019

      4 C. J. Fennie, 97 : 267602-, 2006

      5 J. H. Lee, 104 : 207204-, 2010

      6 S. P. Bennett et al., 6 : 22708-, 2016

      7 S. Mori, 392 : 473-, 1998

      8 J. Engelmann et al., 4 : 2877-, 2013

      9 H. Guo et al., 114 : 256801-, 2015

      10 J. H. Ngai, 44 : 1-, 2014

      1 J. Lee, 15 : 4337-, 2015

      2 P. Silwal et al., 114 : 103704-, 2013

      3 P. Wang et al., 493 : 1236-, 2019

      4 C. J. Fennie, 97 : 267602-, 2006

      5 J. H. Lee, 104 : 207204-, 2010

      6 S. P. Bennett et al., 6 : 22708-, 2016

      7 S. Mori, 392 : 473-, 1998

      8 J. Engelmann et al., 4 : 2877-, 2013

      9 H. Guo et al., 114 : 256801-, 2015

      10 J. H. Ngai, 44 : 1-, 2014

      11 K. H. Ahn, 428 : 401-, 2004

      12 B. Tudu, 146 : 329-, 2017

      13 R. Sbiaa, 5 : 413-, 2011

      14 A. B. Shick, 67 : 172407-, 2003

      15 C. F. Windisch Jr. et al., 398 : 45-, 2001

      16 M. N. Iliev et al., 114 : 033514-, 2013

      17 W. Guoa et al., 44 : 12539-, 2018

      18 C. Wu et al., 126 : 043901-, 2019

      19 H. Sharona et al., 122 : 225301-, 2017

      20 P. Li et al., 11 : 5011-, 2017

      21 C. Mellinger, 101 : 014413-, 2020

      22 K. Zhang et al., 7 : 36026-, 2017

      23 C. Zhen et al., 51 : 145308-, 2018

      24 Y. Bitla et al., 5 : 15201-, 2015

      25 I. Suzuki et al., 127 : 203903-, 2020

      26 L. Kumar, 323 : 204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