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해 흑수도 노선상의 평지성 유적 현황과 조영 특징 = The present of flatland castle relics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 of Huk-su traffic road in Balh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04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섯 노선의 발해 주요교통로 이외에 발해 상경(영안) 또는 동경(훈춘)에서 출발하여 흑수말갈(하바롭스크)에 이르는 노선상에 존재했던 발해시기 평지성의 유적 현황과 조영 특징을 파악하여 기존에 연구되었던 흑수도의 구체적인 동선을 재확인해 보았다. 진행 순서로 제Ⅱ장에서는 발해 주요교통로 이외에 북방지역과 연결되었던 흑수도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흑수말갈의 지리적 위치와 범위, 흑수말갈부의 소재지, 흑수도 노선)과 기존 연구결과를 정리해 보았다. 제Ⅲ장에서는 흑수도 노선상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내 관련 발해 평지성 유적의 현황을 정리해 보았다. 내용은 평지성의 주변환경 및 입지조건, 성격(용도), 방위, 평면형태, 규모, 축성 재료 및 방법, 현재 유적상태, 성곽시설, 건축적 특징, 출토유물 등이다. 제Ⅳ장에서는 상경과 동경에서 출발하여 흑수말갈 종착점인 지금의 러시아 하바롭스크까지 분포되어 있는 4개소(목단강 남성자고성, 훈춘 석두하자고성, 춘화 영성자고성, 동녕 대성자고성) 평지성의 조영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조사된 항목은 크게 모양새 부분에서는 입지, 평면형태, 규모이며, 쓰임새 부분에서는 축성재료 및 방법과성곽시설(옹성, 치, 각루, 해자)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섯 노선의 발해 주요교통로 이외에 발해 상경(영안) 또는 동경(훈춘)에서 출발하여 흑수말갈(하바롭스크)에 이르는 노선상에 존재했던 발해시기 평지성의 유적 현황과 조영 특...

      본 연구는 다섯 노선의 발해 주요교통로 이외에 발해 상경(영안) 또는 동경(훈춘)에서 출발하여 흑수말갈(하바롭스크)에 이르는 노선상에 존재했던 발해시기 평지성의 유적 현황과 조영 특징을 파악하여 기존에 연구되었던 흑수도의 구체적인 동선을 재확인해 보았다. 진행 순서로 제Ⅱ장에서는 발해 주요교통로 이외에 북방지역과 연결되었던 흑수도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흑수말갈의 지리적 위치와 범위, 흑수말갈부의 소재지, 흑수도 노선)과 기존 연구결과를 정리해 보았다. 제Ⅲ장에서는 흑수도 노선상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내 관련 발해 평지성 유적의 현황을 정리해 보았다. 내용은 평지성의 주변환경 및 입지조건, 성격(용도), 방위, 평면형태, 규모, 축성 재료 및 방법, 현재 유적상태, 성곽시설, 건축적 특징, 출토유물 등이다. 제Ⅳ장에서는 상경과 동경에서 출발하여 흑수말갈 종착점인 지금의 러시아 하바롭스크까지 분포되어 있는 4개소(목단강 남성자고성, 훈춘 석두하자고성, 춘화 영성자고성, 동녕 대성자고성) 평지성의 조영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조사된 항목은 크게 모양새 부분에서는 입지, 평면형태, 규모이며, 쓰임새 부분에서는 축성재료 및 방법과성곽시설(옹성, 치, 각루, 해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latland castle’s construction characteristic of Huk-su traffic road in Balhae period. The first one is what was the geographical conditions, planning form and size. The second one is what was the fortification material and method. The third one is what was the castle facilities of flatland fortress on the Huk-su traffic road in Balhae period.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architectural field.
      This study was progressed as following. In chapter Ⅱ, it was analyzed the Huk-su traffic road and the history of research. In chapter Ⅲ, it was rearranged the present of flatland castle relics. In chapter Ⅳ, it was analyzed 4 relics such as 南城子古城, 石頭河子古城, 營城子古城, 大城子古城. The research facts are Ⓐsite & planning form, Ⓑfortress size, Ⓒfortification material and method, Ⓓcastle facilities:impregnable fortress tower(甕城), basting(稚), pavilion(角樓), moat(垓字).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latland castle’s construction characteristic of Huk-su traffic road in Balhae period. The first one is what was the geographical conditions, planning form and size. The second one is what was the fortifica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latland castle’s construction characteristic of Huk-su traffic road in Balhae period. The first one is what was the geographical conditions, planning form and size. The second one is what was the fortification material and method. The third one is what was the castle facilities of flatland fortress on the Huk-su traffic road in Balhae period.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architectural field.
      This study was progressed as following. In chapter Ⅱ, it was analyzed the Huk-su traffic road and the history of research. In chapter Ⅲ, it was rearranged the present of flatland castle relics. In chapter Ⅳ, it was analyzed 4 relics such as 南城子古城, 石頭河子古城, 營城子古城, 大城子古城. The research facts are Ⓐsite & planning form, Ⓑfortress size, Ⓒfortification material and method, Ⓓcastle facilities:impregnable fortress tower(甕城), basting(稚), pavilion(角樓), moat(垓字).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학봉, "팔련성일대 발해유적 자료집성" 속초시ㆍ속초시립박물관 2014

      2 한규철, "중국 흑룡강성의 발해 유적" 高麗學術財團 8 : 1998

      3 이병건, "연변지구 내 추정 요금시기 평지성의 조영과 성곽시설 고찰" 고구려발해학회 56 : 107-146, 2016

      4 방학봉, "발해의 주요 교통로 연구" 연변인민출판사 2000

      5 방학봉, "발해성곽연구" 연변인민출판사 2002

      6 리정봉, "발해사연구(4)" 연변대학출판사 1993

      7 張泰相, "발해사연구(1)" 연변대학출판사 1990

      8 劉曉東, "발해사연구(1)" 연변대학출판사 1990

      9 샤프쿠노프, "발해국과 연해주에 있어서의 발해문화유적" (30ㆍ31) :

      10 장국종, "발해교통운수사" 사회과학출판사 2004

      1 방학봉, "팔련성일대 발해유적 자료집성" 속초시ㆍ속초시립박물관 2014

      2 한규철, "중국 흑룡강성의 발해 유적" 高麗學術財團 8 : 1998

      3 이병건, "연변지구 내 추정 요금시기 평지성의 조영과 성곽시설 고찰" 고구려발해학회 56 : 107-146, 2016

      4 방학봉, "발해의 주요 교통로 연구" 연변인민출판사 2000

      5 방학봉, "발해성곽연구" 연변인민출판사 2002

      6 리정봉, "발해사연구(4)" 연변대학출판사 1993

      7 張泰相, "발해사연구(1)" 연변대학출판사 1990

      8 劉曉東, "발해사연구(1)" 연변대학출판사 1990

      9 샤프쿠노프, "발해국과 연해주에 있어서의 발해문화유적" (30ㆍ31) :

      10 장국종, "발해교통운수사" 사회과학출판사 2004

      11 구난희, "발해 유적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12 김종혁, "고고학연구론문집(12)" 사회과학출판사 2010

      13 陶剛, "黑龍江省博物館學會成立記念文集" 1980

      14 姜玉珂, "镜泊湖边墙为渤海说兼谈渤海遗迹的甄别" 2007

      15 薛虹, "肅愼與西團山文化" (1) : 1979

      16 吉林省文物志編委會, "琿春縣文物志" 吉林省文物志編修委員會 1984

      17 牡丹江市文物管理站, "牡丹江市文物保護單位保護區規劃" 黑龍江省文物管理委員會 1992

      18 鳥山喜一, "滿洲國古蹟古物調査報告 第三編" 滿洲帝國民生部 1942

      19 朱國忱, "渤海遺跡" 文物出版社 2002

      20 이병건, "渤海 上京城 周邊 平地城 遺跡의 建築的 檢討" 고구려발해학회 49 : 151-185, 2014

      21 方學鳳, "中國境內 渤海遺蹟硏究" 백산자료원 2000

      22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國內城』2000~2003年集安國內城與民主遺址試掘報告" 文物出版社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