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정부형태는 대통령제를 중심을 하면서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가미한 변형된 대통령제이기 때문에, 의원내각제적 요소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그러나 현행 교과서는 의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52582
201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27-245(1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정부형태는 대통령제를 중심을 하면서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가미한 변형된 대통령제이기 때문에, 의원내각제적 요소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그러나 현행 교과서는 의원...
우리나라 정부형태는 대통령제를 중심을 하면서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가미한 변형된 대통령제이기 때문에, 의원내각제적 요소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그러나 현행 교과서는 의원내각제적 요소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심화된 내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현장 교사들도 이에 대한 학습 지도에 어려움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먼저 의원내각제적 요소에 대한 기존 논의를 분석하여 어떤 제도를 의원내각제적 요소로 보아야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가미한 목적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함으로써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관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법과 정치」교과서 1종 〈천재교육〉과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정치」교과서 4종 〈법문사〉, 〈지학사〉, 〈천재교육〉, 〈대한교과서〉를 비판적으로 분석해 본 다음,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어떠한 학습 내용을 심화 학습 지도해야 할 것인지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K Constitution adds elements of the parliamentary system to the presidential government system in order to check concentration of power on the presidency. It is stipulated that presidential power can be checked by restraints within the executive...
The ROK Constitution adds elements of the parliamentary system to the presidential government system in order to check concentration of power on the presidency. It is stipulated that presidential power can be checked by restraints within the executive as well as those by the National Assembly. Because it is just formal and nominal, the former, including prime minister’s recommendation for appointment or removal of ministers of state, has very little effect. On the other hand, though it restrains presidential power indirectly, the latter, such as its approval for president’s nomination of a prime minister and its recommendation for removal of prime ministers and ministers of state, proves somewhat effective in restraining president’s exercise of power. However, such parliamentary government institutions as the power of the Executive to submit bills to the legislature and executive membership in the National Assembly may rather lead the presidency to gain the upper hand in power at the expense of the National Assembly.
In all, rather than weakening concentration of power on the Executive, some elements of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may cause strengthening of presidential power. Therefore, such institutions as president’s power to submit bills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executive membership in the legislature should be abolished so as to restrain Executive’s power. At the same time, substantial means to limit his power withing the executive should be established. Holding presidential power in check by the National Assembly must be maintained and even reinforced. These institutional reforms in government want much more intensive learning by the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만희, "현행헌법상 정부형태의 의원내각제적 요소에 대한 검토" 법학연구소 (44) : 37-78, 2009
2 김하열, "현행 헌법의 의원내각제적 요소에 대한 평가" 비교법학연구소 32 : 131-162, 2011
3 문광삼, "현행 헌법상 통치구조 개편의 쟁점과 방향" 한국공법학회 34 (34): 1-18, 2005
4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6
5 김학성,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1
6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4
7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0
8 이준일, "헌법학강의" 홍문사 2008
9 김백유, "헌법학(국가조직론)" 한성대학교 출판부 2009
10 성낙인, "헌법학 제9판" 법문사 2009
1 정만희, "현행헌법상 정부형태의 의원내각제적 요소에 대한 검토" 법학연구소 (44) : 37-78, 2009
2 김하열, "현행 헌법의 의원내각제적 요소에 대한 평가" 비교법학연구소 32 : 131-162, 2011
3 문광삼, "현행 헌법상 통치구조 개편의 쟁점과 방향" 한국공법학회 34 (34): 1-18, 2005
4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6
5 김학성,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1
6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4
7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0
8 이준일, "헌법학강의" 홍문사 2008
9 김백유, "헌법학(국가조직론)" 한성대학교 출판부 2009
10 성낙인, "헌법학 제9판" 법문사 2009
11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1
12 홍성방, "헌법학" 현암사 2009
13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09
14 헌법연구자문위원회, "헌법연구 자문위원회 결과보고서(요약본)" 광장인쇄주식회사 2009
15 신우철, "헌법과학" 동현출판사 2002
16 정만희, "헌법과 통치구조" 법문사 2003
17 양건, "헌법강의" 법문사 2011
18 문광삼, "한국헌법학 : 국가조직론" 삼영사 2008
19 강경근, "한국헌법에 있어서의 통치구조 개정논의와 방향" 한국헌법학회 10 (10): 177-200, 2004
20 전광석, "한국헌법론" 법문사 2010
21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1993
22 김철수, "한국입헌주의의 정착을 위하여" 법서출판사 2003
23 계희열, "한국의 정부형태의 변천과 대안, In 대한민국 정부형태 어떻게 할 것인가" 예지각 2010
24 김일영, "한국의 정부형태: 대통령제도로, In 대한민국 정부형태 어떻게 할 것인가" 예지각 2010
25 박기덕, "한국의 정부형태 및 권력구조 논쟁: 쟁점의 본질과 효율적 대안"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6 (16): 111-140, 2007
26 정종섭, "한국의 대통령제 정부형태: 그 제도와현실" 박영사 2004
27 이관희, "한국민주헌법론II" 박영사 2008
28 강원택, "한국대통령제의 문제점과 제도적 대안에 대한 검토, In 한국 권력구조의 이해" 나남 2004
29 정종섭, "한국 헌법상 대통령제의 과제" 5 (5): 9-36, 1999
30 배찬복, "한국 특유의 분권형 대통령제, In 비틀거리는 한국정치" 법문사 2006
31 이윤환, "한국 정부형태의 권력분산적 개편 가능성에 관한 고찰" 한국동북아학회 8 (8): 157-190, 2003
32 최한수, "한국 역대정권의 대통령제 권력구조 특성에 관한연구" 대한정치학회 13 (13): 291-311, 2005
33 김혁, "한국 대통령제의 평가와 발전적 제도화의 모색"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6 (16): 141-166, 2007
34 정진민, "한국 대통령제의 문제점과 극복방안, In 한국 권력구조의 이해" 나남 2004
35 강태수, "집행부에 관한 헌법개정론" 12 (12): 485-513, 2006
36 국회사무처, "정부형태의 유형" 정문사 1990
37 양건, "정부형태의 기본문제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24 (24): 101-128, 2007
38 정만희, "정부형태에 관한 헌법개정의 방향" 한국헌법학회 14 (14): 269-312, 2008
39 임지봉, "정부형태 개헌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헌법학회 16 (16): 79-103, 2010
40 정준표, "정당, 선거제도와 권력구조의 선택, In 한국 권력구조의 이해" 나남 2004
41 윤명선, "인터넷 시대의 헌법학" 대명출판사 2010
42 梁建, "이른바 ‘帝王的 大統領’ 論議에 관한 小考"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8 : 4-124, 2003
43 김선택, "의원내각제적 요소의 권력분산효과" 고려대학교 33 : 81-118, 1997
44 심경수, "우리나라 헌법상 국무총리의 지위" 4 (4): 57-83, 1998
45 홍성방, "삭제되어야 할 의원내각제적 요소, In 헌법과 미래" 인간사랑 2007
46 오승용, "분점정부와 한국정치" 한국학술정보 2005
47 이원영,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삶과 꿈 1998
48 함성득, "대통령학" 나남 2003
49 박찬욱, "대통령제의 정상적 작동을 위한 개헌론, In 한국 권력구조의 이해" 나남 2004
50 강원택, "대통령제, 내각제와 이원정부제" 인간사랑 2006
51 조정관, "대통령제 민주주의의 원형과 변형: 한국형 대통령제의 특징과 제도운영의 문제, In 한국 권력구조의 이해" 나남 2004
52 조정관, "대통령 중임제 개헌과 한국정치: 순수대통령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제안" 16-39, 2011
53 김용복, "권력구조개혁과 국무총리제도" 6 (6): 1-24, 2003
54 박기덕, "권력구조 논쟁의 허실과 대통령제 정부의 안정화 모색, In 21세기 한국정치의 발전방향" 서울대출판부 2009
55 이현출, "국회와 행정부, In 한국국회와 정치과정" 오름 2010
56 신우철, "국무총리제, 어떻게 바꿀 것인가" 미래한국재단 2011
57 임종훈, "국가권력구조의 개편방향" 한국헌법학회 12 (12): 73-94, 2006
58 김왕근, "고등학교 정치" 법문사 2002
59 이승종, "고등학교 정치" 지학사 2002
60 강세중, "고등학교 정치" 천재교육 2002
61 최병모, "고등학교 정치" 대한교과서 2002
62 황상일, "고등학교 사회" (주)금성출판사 2011
63 류재명, "고등학교 사회" 천재교육 2011
64 최병모, "고등학교 사회" 미래엔 컬처그룹 2011
65 이승철, "고등학교 사회" 한솔교육 2011
66 서현진, "고등학교 법과 정치" 천재교육 2012
67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4" 미래엔 컬처그룹 2009
68 정진영, "개헌과 정치제도 개혁의 방향과 전략, In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과 미래" 시대정신 2011
69 명재진, "國務總理制의 合理的 運用의 限界와 改憲必要性" 한국헌법학회 13 (13): 157-187, 2007
70 Shugart, M. S., "Presidents and Assemblies: Constitutional Design and Electoral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71 김민전, "8년 중임제 대통령제를 지지하며" 33-47, 2008
7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사회과 교육과정"
73 김종철, "1987년 헌법의 개정론에 대한 비판적고찰" 148 : 2-49, 2006
초·중·고 시범학교 통일교육의 효과성 지표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고령화 교육’ 측면에서의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21 | 1.269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