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ECD BEPS Action 2와 연계 규정(linking rule) = OECD BEPS Action 2 and Linking Rule - Domestic Legislative Measures on Hybrid Enti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공격적 절세계획(aggressive tax planning)과 나라 간 세수의 공정한 배분(fair share of tax)이 국제 사회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자, OECD는 BEPS 프로젝트에서 그 해결방안을 찾으려고 하였다. OECD의 BEPS 프로젝트가 주목한 대상 중에는 혼성단체를 이용한 cross-border tax arbitrage가 포함되어 있고, OECD는 국내 세법상 대응 방안으로 연계 규정(linking rule)의 도입을 권고하였다. 덴마크와 영국처럼 BEPS 프로젝트 이전부터 혼성단체를 이용한 cross-border tax arbitrage에 대한 대응 입법을 마련한 나라가 있는가 하면, 멕시코와 미국은 BEPS 프로젝트 발표 이후에 연계 규정을 도입하였다.
      연계 규정은 다른 나라의 세법상 법률 효과를 근거로 국내 세법을 적용하는 것이어서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나 여러 가지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점은 연계 규정의 입법 과정에서 간과되어서는 안 될 부분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cross-border tax arbitrage에 대한 대응 입법이나 연계 규정에 관한 경험이 많지 않아 입법이나 운용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연계 규정의 도입 과정에서는 다른 나라의 입법례 분석이 더욱 중요하다.
      우리나라가 BEPS 프로젝트 논의를 토대로 연계 규정을 도입한다면, 우선 덴마크, 영국, 멕시코, 미국의 입법례와 운용 사례를 면밀히 검토하여야 한다. 또한 다른 OECD 회원국의 입법 동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앞서 검토한 입법례 이외의 다른 형태로 입법을 할 수 있는지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도입 초기에는 멕시코 및 미국의 입법례를 참고삼아 제한적 범위에서 연계 규정을 시행한 후, 운용 결과를 토대로 미비점을 보완할 수 있다. 멕시코와 미국의 입법례를 도입 초기의 모범으로 삼은 까닭은, BEPS 프로젝트의 논의를 반영한 가장 최근의 입법례일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현실과도 맞기 때문이다. 물론 연계 규정의 도입에 앞서, 혼성단체를 이용한 cross-border tax arbitrage 에 관한 우리나라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작업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
      번역하기

      공격적 절세계획(aggressive tax planning)과 나라 간 세수의 공정한 배분(fair share of tax)이 국제 사회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자, OECD는 BEPS 프로젝트에서 그 해결방안을 찾으려고 하였다. OECD의 BEPS ...

      공격적 절세계획(aggressive tax planning)과 나라 간 세수의 공정한 배분(fair share of tax)이 국제 사회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자, OECD는 BEPS 프로젝트에서 그 해결방안을 찾으려고 하였다. OECD의 BEPS 프로젝트가 주목한 대상 중에는 혼성단체를 이용한 cross-border tax arbitrage가 포함되어 있고, OECD는 국내 세법상 대응 방안으로 연계 규정(linking rule)의 도입을 권고하였다. 덴마크와 영국처럼 BEPS 프로젝트 이전부터 혼성단체를 이용한 cross-border tax arbitrage에 대한 대응 입법을 마련한 나라가 있는가 하면, 멕시코와 미국은 BEPS 프로젝트 발표 이후에 연계 규정을 도입하였다.
      연계 규정은 다른 나라의 세법상 법률 효과를 근거로 국내 세법을 적용하는 것이어서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나 여러 가지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점은 연계 규정의 입법 과정에서 간과되어서는 안 될 부분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cross-border tax arbitrage에 대한 대응 입법이나 연계 규정에 관한 경험이 많지 않아 입법이나 운용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연계 규정의 도입 과정에서는 다른 나라의 입법례 분석이 더욱 중요하다.
      우리나라가 BEPS 프로젝트 논의를 토대로 연계 규정을 도입한다면, 우선 덴마크, 영국, 멕시코, 미국의 입법례와 운용 사례를 면밀히 검토하여야 한다. 또한 다른 OECD 회원국의 입법 동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앞서 검토한 입법례 이외의 다른 형태로 입법을 할 수 있는지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도입 초기에는 멕시코 및 미국의 입법례를 참고삼아 제한적 범위에서 연계 규정을 시행한 후, 운용 결과를 토대로 미비점을 보완할 수 있다. 멕시코와 미국의 입법례를 도입 초기의 모범으로 삼은 까닭은, BEPS 프로젝트의 논의를 반영한 가장 최근의 입법례일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현실과도 맞기 때문이다. 물론 연계 규정의 도입에 앞서, 혼성단체를 이용한 cross-border tax arbitrage 에 관한 우리나라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작업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ybrid entities can cause double tax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y can also be used as tools for tax arbitrage. “Tax arbitrage" refers to transactions that make use of different or conflicting tax laws between two countries in order to result in double non-taxation. Tax arbitrage using hybrid entities can be distinguished into “Deduction/No Inclusion (D/NI)" types and “Deduction/Deduction (D/D)" types.
      Recently, the OECD has advised OECD member states and G20 countries to counter these cases of tax arbitrage by taking legislative action. The legislative means recommended by the OECD is the so-called linking rule. The linking rule is a tax provision that links one country’s tax treatment to the tax treatment in the other country. In essence, the OECD’s linking rule suggests that in cases of the aforementioned D/NI type and D/D type tax arbitrage, domestic reverse hybrid entities should be prohibited from making deductions. The OECD further has recommended that use of the linking rule should be limited to transactions among related parties or to structured arrangements.
      A look at legislative trends in other countries reveals that some countries have already adopted the linking rule prior to the OECD’s recommendation. For instance, Denmark has enacted legislation to respond to use of hybrid entities for tax arbitrage in transactions among related parties. The U.K. also has adopted provisions prohibiting U.K. corporate entities from making deductions in order to prevent tax arbitrage through hybrid entities. After the OECD’s BEPS Project, Mexico and the United States have newly enacted provisions in its tax laws that are similar to the linking rule proposed by the OECD.
      Should Korea intend to prevent tax arbitrage through hybrid entities by prohibiting deduction by domestic reverse hybrid entities, it will be necessary to enact a linking rule provision which sets out the specific requirements and legal effects. First, legislation against such tax arbitrage should indeed include the other country’s tax treatment as a criterion. Second, the problem in tax arbitrages through hybrid entities lies in the double deduction of costs, which makes denial of costs deductions by domestic reverse hybrid entities an appropriate measure. Lastly, while the scope of the new legislated provision should be limited to related parties, if structured arrangements are to be included in such scope, a clear definition of the scope of structured arrangements must be given so as to grant taxpayers sufficient predictability.
      번역하기

      Hybrid entities can cause double tax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y can also be used as tools for tax arbitrage. “Tax arbitrage" refers to transactions that make use of different or conflicting tax laws between two countries in order to result in d...

      Hybrid entities can cause double tax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y can also be used as tools for tax arbitrage. “Tax arbitrage" refers to transactions that make use of different or conflicting tax laws between two countries in order to result in double non-taxation. Tax arbitrage using hybrid entities can be distinguished into “Deduction/No Inclusion (D/NI)" types and “Deduction/Deduction (D/D)" types.
      Recently, the OECD has advised OECD member states and G20 countries to counter these cases of tax arbitrage by taking legislative action. The legislative means recommended by the OECD is the so-called linking rule. The linking rule is a tax provision that links one country’s tax treatment to the tax treatment in the other country. In essence, the OECD’s linking rule suggests that in cases of the aforementioned D/NI type and D/D type tax arbitrage, domestic reverse hybrid entities should be prohibited from making deductions. The OECD further has recommended that use of the linking rule should be limited to transactions among related parties or to structured arrangements.
      A look at legislative trends in other countries reveals that some countries have already adopted the linking rule prior to the OECD’s recommendation. For instance, Denmark has enacted legislation to respond to use of hybrid entities for tax arbitrage in transactions among related parties. The U.K. also has adopted provisions prohibiting U.K. corporate entities from making deductions in order to prevent tax arbitrage through hybrid entities. After the OECD’s BEPS Project, Mexico and the United States have newly enacted provisions in its tax laws that are similar to the linking rule proposed by the OECD.
      Should Korea intend to prevent tax arbitrage through hybrid entities by prohibiting deduction by domestic reverse hybrid entities, it will be necessary to enact a linking rule provision which sets out the specific requirements and legal effects. First, legislation against such tax arbitrage should indeed include the other country’s tax treatment as a criterion. Second, the problem in tax arbitrages through hybrid entities lies in the double deduction of costs, which makes denial of costs deductions by domestic reverse hybrid entities an appropriate measure. Lastly, while the scope of the new legislated provision should be limited to related parties, if structured arrangements are to be included in such scope, a clear definition of the scope of structured arrangements must be given so as to grant taxpayers sufficient predicta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OECD BEPS 프로젝트 및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Ⅲ. OECD가 제안한 대응 방안 - 연계 규정(linking rule)
      • Ⅳ. 다른 나라의 입법 동향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OECD BEPS 프로젝트 및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Ⅲ. OECD가 제안한 대응 방안 - 연계 규정(linking rule)
      • Ⅳ. 다른 나라의 입법 동향
      • Ⅴ. 우리나라의 입법론
      • Ⅵ. 결론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동원, "해외유보소득 방지를 위한 경영참여소득면제 도입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0 (10): 313-342, 2017

      2 김석환, "해외 혼성사업체 과세방식에 관한 소고" 한국국제조세협회 29 (29): 65-104, 2013

      3 이창희, "파트너십과 국제조세" 국제조세협회 21 (21): 2005

      4 조재호, "차익거래와 재무이론"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연구소 33 (33): 1999

      5 임승순, "조세법" 박영사 2014

      6 김병일, "일본의 외국자회사배당 익금불산입제도의 도입과 그 시사점" 한국조세연구포럼 12 (12): 97-126, 2012

      7 정운오, "엔화스왑예금 과세사건 판결의 분석" 한국세법학회 16 (16): 122-162, 2010

      8 이재호, "법인세법상 외국단체의 법인판단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세법학회 18 (18): 218-261, 2012

      9 이준규, "기업의 조세전략과 세무회계연구" 영화조세통람 2008

      10 이창희, "국제조세법" 박영사 2014

      1 임동원, "해외유보소득 방지를 위한 경영참여소득면제 도입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0 (10): 313-342, 2017

      2 김석환, "해외 혼성사업체 과세방식에 관한 소고" 한국국제조세협회 29 (29): 65-104, 2013

      3 이창희, "파트너십과 국제조세" 국제조세협회 21 (21): 2005

      4 조재호, "차익거래와 재무이론"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연구소 33 (33): 1999

      5 임승순, "조세법" 박영사 2014

      6 김병일, "일본의 외국자회사배당 익금불산입제도의 도입과 그 시사점" 한국조세연구포럼 12 (12): 97-126, 2012

      7 정운오, "엔화스왑예금 과세사건 판결의 분석" 한국세법학회 16 (16): 122-162, 2010

      8 이재호, "법인세법상 외국단체의 법인판단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세법학회 18 (18): 218-261, 2012

      9 이준규, "기업의 조세전략과 세무회계연구" 영화조세통람 2008

      10 이창희, "국제조세법" 박영사 2014

      11 석명복, "국가 간 조세차익거래의 규제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세무학회 26 (26): 37-67, 2009

      12 오윤, "거주자의 국외원천소득과세 - 국제적 동향과 제도개선 -" 한국국제조세협회 31 (31): 181-214, 2015

      13 오 윤, "稅法原論" 한국학술정보 2015

      14 윤지현, "‘단체 분류(Entity Classification)’에 관한 대법원 판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파트너쉽 보고서(Partnership Report)’의 조화(調和) 가능성에 관한 검토- 해석론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 한국국제조세협회 30 (30): 243-295, 2014

      15 James Ross, "United Kingdom" 2013

      16 Lee A. Sheppard, "U.K. Goes After Deferred Subscription Arrangements" 2005

      17 Ole Steen Schmidt, "The Scope of the New Danish Anti-Check-the-Box Regulations" 2009

      18 Omar Zúñiga, "The New Mexican BEPS Legislation" 2014

      19 Mitchell A. Kane, "Strategy and Cooperation in National Responses to International Tax Arbitrage" 53 : 2004

      20 정운오, "Scholes and Wolfson의 패러다임에서의 세금裁定"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18 (18): 1997

      21 Diane M. Ring, "One Nation Among Many:Policy Implications of Cross-Border Tax Arbitrage" 44 : 2002

      22 OECD, "Neutralising the Effects of Hybrid Mismatch Arrangements, Action 2:2015 Final Report, OECD/G20 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Project" OECD Publishing 2015

      23 OECD, "Neutralising the Effects of Hybrid Mismatch Arrangements, Action 2:2014 Deliverable, OECD/G20 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Project" OECD Publishing 2014

      24 Ned Shelto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ax Treaties" LexisNexis UK 2004

      25 Oana Popa, "International Tax Structures in the BEPS Era:An Analysis of Anti-Abuse Measures" IBFD 2015

      26 H. David Rosenbloom, "International Tax Arbitrage and the International Tax System" 53 : 137-, 2000

      27 Julie Rogers-Glabush, "IBFD International Tax Glossary" IBFD 2009

      28 OECD, "Hybrid Mismatch Arrangements:Tax Policy and Compliance Issues" OECD Publishing 2012

      29 Jakob Bundgaard, "Hybrid Financial Instruments and Primary EU Law―Part 1" IBFD 2013

      30 Oana Popa, "Hybrid Entity Payments―Extinct Species after the BEPS Action Plan?" IBFD 2014

      31 Gijs K. Fibbe, "Hybrid Entities and the EU Direct Tax Directive" Wolters Kluwer 2015

      32 Adam H. Rosenzweig, "Harnessing The Costs of International Tax Arbitrage" 26 : 555-, 2007

      33 Philip R. West, "Foreign Law in U.S. International Taxation:The Search for Standards" 3 : 147-, 1996

      34 OECD, "Explanatory Statement, OECD/G20 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Project" OECD Publishing 2015

      35 정운오, "D회사의 국제조세리스: 세금재정거래 사례" 한국회계학회 16 (16): 79-104, 2007

      36 OECD, "Developing a Multilateral Instrument to Modify Bilateral Tax Treaties, Action 15:2015 Final Report, OECD/G20 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Project" OECD Publishing 2015

      37 OECD, "Developing a Multilateral Instrument to Modify Bilateral Tax Treaties, Action 15:2014 Deliverable, OECD/G20 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Project" OECD Publishing 2014

      38 Daniel N. Shaviro, "Corporate Tax Shelters in a Global Economy:Why They Are a Problem and What We Can Do about It" AEI 2004

      39 Jakob Bundgaard, "Coordination Rules as a Weapon in the War against Cross-Border Tax Arbitrage―The Case of Hybrid Entities and Hybrid Financial" IBFD 2013

      40 Nathan Boidman, "BEPS:The OECD Discovers America?" 2013

      41 OECD, "Action Plan on 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OECD Publishing 2013

      42 국세청 법령해석과, "2018 개정세법 해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세법연구회 -> 한국세법학회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04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