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sets its goal to review the current issues on the education of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which is the core part of affective domain in Korean grammar teaching, and its new progress.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sets its goal to review the current issues on the education of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which is the core part of affective domain in Korean grammar teaching, and its new progress.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
The present study sets its goal to review the current issues on the education of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which is the core part of affective domain in Korean grammar teaching, and its new progress.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began to take its roots as a major educational entity of grammar teaching and it’s greatly influenced by utilitarian linguistic viewpoints after the Japanese imperial periods. Then in the course of the elaboration of its concept,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was defined as a collective and technical one that can be divided into various sub-attitudes on the realiza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 history of the progress researchers referred to diverse concepts and theoretical approaches such as ‘language attitude’, ‘language and ideology’, and ‘language awareness.’ For the overview of the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the study defined three distinctive periods and investigated them based on the historical change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period 1 covers from the Period of GYOSUYOMOK to 5th National Curricular Period, during which the concept of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took its place. The period 2 includes 6th~7th National Curricular Periods, during which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was acknowledged as an independent category of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eriods 3 began with current ‘Constant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Since then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has been more fine-tuned and elaborated under the name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and set as an critical orientation and cont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참고문헌 (Reference)
1 송기형, "현대 프랑스의 언어정책" 한국문화사 2015
2 박재현, "한국어의 교육: 越境과 統合" 국어국문학회 (177) : 41-71, 2016
3 신동일, "접촉의 언어학: 다중언어사회의 교육과 정책"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4 김은성, "비판적 언어인식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5 : 323-355, 2005
5 고영근,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 제이앤씨 2010
6 고영근, "민족어의 수호화 발전" 제이앤씨 2008
7 조태린, "근대 국어 의식 형성의 보편성과 특수성 - 언어와 국민 사이의 관계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39) : 81-108, 2009
8 김은성, "국어에 대한 태도 교육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9 주세형,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304-347, 2016
1 송기형, "현대 프랑스의 언어정책" 한국문화사 2015
2 박재현, "한국어의 교육: 越境과 統合" 국어국문학회 (177) : 41-71, 2016
3 신동일, "접촉의 언어학: 다중언어사회의 교육과 정책"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4 김은성, "비판적 언어인식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5 : 323-355, 2005
5 고영근,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 제이앤씨 2010
6 고영근, "민족어의 수호화 발전" 제이앤씨 2008
7 조태린, "근대 국어 의식 형성의 보편성과 특수성 - 언어와 국민 사이의 관계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39) : 81-108, 2009
8 김은성, "국어에 대한 태도 교육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9 주세형,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304-347, 2016
10 김은성,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1 신동일, "국내 미디어에 등장한 도시언어현상의 탐색" 한국문화사회학회 21 : 239-288, 2016
12 이극로, "고투 40년: 이극로 자서전" 아라 2013
13 신명선,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교육 내용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학회 (31) : 357-392, 2008
14 김창원,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15 고춘화, "‘국어 의식’의 개념화와 교육적 해석" 국어교육학회 (47) : 153-185, 2013
16 Gramling, D., "The new cosmopolitan monolingualism : Linguistic citizenship in twenty-first century Germany" 42 (42): 130-140, 2009
17 Trudell, B., "Practice in Search of a Paradigm: Language Rights, Linguistic Citizenship and Minority Language Communities in Senegal" 9 (9): 395-412, 2008
18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me: National Identity III - ISSP"
19 Blommaert, J., "Citizenship, Language, and Superdiversity: Towards Complexity" 12 (12): 193-196, 2013
20 Garrett, P., "Attitudes to Language : Key Topics in Socio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1 Stroud, C., "African Mother-tongue Programmes and the Politics of Language: Linguistic Citizenship Versus Linguistic Human Rights" 22 (22): 339-355, 2001
22 김창영, "2015년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 국립국어원 2015
문법 태도 교육 내용으로서 ‘국어 사랑과 국어 의식’에 대한 비판적 소고-국어과 교육과정 및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양상을 중심으로-
조건 표현 ‘-(으)ㄴ/는 한’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육의 측면에서 -
외국인 유학생의 학술 보고서 서론 구조 분석- 한국인 대학생의 학술 보고서 서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5 | 0.85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3 | 1.34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