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다산이 과연 퇴계학을 수용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퇴계와 다산의 연속성과 그 한계를 살펴보고, 무엇이 단절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34세 때 다산이 퇴계의 편지글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글은 다산이 과연 퇴계학을 수용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퇴계와 다산의 연속성과 그 한계를 살펴보고, 무엇이 단절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34세 때 다산이 퇴계의 편지글을 ...
이 글은 다산이 과연 퇴계학을 수용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퇴계와 다산의 연속성과 그 한계를 살펴보고, 무엇이 단절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34세 때 다산이 퇴계의 편지글을 읽고 적었던 「다산사숙록」과 「이발기발변」 등을 통해 다산은 퇴계학을 수용하였고, 성리학과 일정부분 화해했다는 주장과 더 나아가 36세 배교선언에 이르는 과정 속에 퇴계의 영향이 있었다고 보는 입장은 표면적으로 그렇게 볼 수도 있겠지만 실제 그러했는지는 알 수 없다. 오히려 다산이 영향받은 서학과 연관성을 통해 살펴보면 한국유학사의 연속성과는 단절되어 있으며, 오늘날 양명심학과 서구사상에서 나타나는 행위철학의 양상을 닮아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퇴계학은 마음공부를 중시하면서도 마음의 알맹이, 감정에 대한 이해에 충실하고자 하였고, 행위가 아닌 감정의 올바른 이해를 추구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inuity and limitations of Toegye and Dasan with questions about whether Dasan accepted Toegyehak and examines what was cut off. Dasan accepted Toegyehak through the book of 「Dasan SaSookRok」 and 「argument of human e...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inuity and limitations of Toegye and Dasan with questions about whether Dasan accepted Toegyehak and examines what was cut off. Dasan accepted Toegyehak through the book of 「Dasan SaSookRok」 and 「argument of human experience in concrete existence and issuance of gi」 that Dasan wrote in Toegye's letter at the age of 34, and it is not known whether it was actually the case that there was an influence of Toegye in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with the Neo-Confucianism and furthermore, the 36-year-old declaration of apostasy. Rather, the connection between Dasan and the influenced calligraphy shows that the continuity of Korean Confucianism is disconnected, and it resembles the pattern of behavioral philosophy that appears in Yangmyeong’s ‘Learning of the mind’ and Western thought today.
On the other hand, Toegyehak tried to be faithful to understanding the mind and emotion while emphasizing mind study,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tudy that pursued the right understanding of emotion rather than act.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호, "李退溪의 철학사상이 丁茶山의 經學思想 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고찰" 퇴계학연구원 90 : 1996
2 한자경, "한국철학의 맥"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319-, 2008
3 "한국고전종합DB"
4 정소이, "퇴계 이황, 성호 이익, 다산 정약용 심성론의 연속성과 차이에 대한 연구" 인간환경미래연구원 (10) : 35-70, 2013
5 이승환, "주자의 ‘횡설’과 ‘수설’: 프레임으로 보는 주자의 성향과 감정 이론" 한국동양철학회 (37) : 53-79, 2012
6 한자경, "주리(主理)·주기(主氣)의 함의 고찰 ― ‘타카하시 토오루의 주리·주기’에 관한 비판과 대안의 검토: 이향준 교수의 「타카하시의 고약한 은유」에 대한 논평을 겸함" 대동철학회 (55) : 153-172, 2011
7 박석무, "조선 실학사상의 흐름" 다산학술문화재단 30 : 2017
8 김언종, "정다산의 퇴계관 - [여유당전서] 시문집에 한하여 -"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9) : 85-120, 2011
9 김용옥, "독기학설" 통나무 49-, 2004
10 이종우, "韓國儒學史 분류방법으로서의 主理ㆍ主氣 개념에 관한 비판적 연구 - 李震相學派와 田愚學派의 論爭에 관련하여" 동양철학연구회 (36) : 259-288, 2004
1 이광호, "李退溪의 철학사상이 丁茶山의 經學思想 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고찰" 퇴계학연구원 90 : 1996
2 한자경, "한국철학의 맥"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319-, 2008
3 "한국고전종합DB"
4 정소이, "퇴계 이황, 성호 이익, 다산 정약용 심성론의 연속성과 차이에 대한 연구" 인간환경미래연구원 (10) : 35-70, 2013
5 이승환, "주자의 ‘횡설’과 ‘수설’: 프레임으로 보는 주자의 성향과 감정 이론" 한국동양철학회 (37) : 53-79, 2012
6 한자경, "주리(主理)·주기(主氣)의 함의 고찰 ― ‘타카하시 토오루의 주리·주기’에 관한 비판과 대안의 검토: 이향준 교수의 「타카하시의 고약한 은유」에 대한 논평을 겸함" 대동철학회 (55) : 153-172, 2011
7 박석무, "조선 실학사상의 흐름" 다산학술문화재단 30 : 2017
8 김언종, "정다산의 퇴계관 - [여유당전서] 시문집에 한하여 -"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9) : 85-120, 2011
9 김용옥, "독기학설" 통나무 49-, 2004
10 이종우, "韓國儒學史 분류방법으로서의 主理ㆍ主氣 개념에 관한 비판적 연구 - 李震相學派와 田愚學派의 論爭에 관련하여" 동양철학연구회 (36) : 259-288, 2004
11 "退溪先生文集"
12 이광호, "退溪 李滉의 心學的 理學이 茶山 丁若鏞의 道德論 形成에 미친 影響" 한국실학학회 (12) : 23-46, 2006
13 김성실, "退溪 理氣互發說의 비판적 고찰" 영남퇴계학연구원 (16) : 103-132, 2015
14 송영배, "茶山철학과 天主實義의 패러다임 比較硏究" 민창문화사 2 : 2000
15 정병언, "茶山의 退溪私淑과"演義"作成" 퇴계학연구원 86 : 1995
16 "與猶堂全書"
17 "孟子"
18 마테오리치, "天主實義"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19 왕양명, "傳習錄 下" 청계 2007
20 "中庸"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9-04-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OEGYE-HAK-LON-GIB -> TOEGYE-HAK-LON-JIB |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12-02-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OEGYE-HAK-LON-GIB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59 | 0.59 | 0.5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44 | 0.42 | 0.934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