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저술은 문화계에서 통용되고 유용하게 사용되는 스토리텔링과 리텔링이 어떤 방식으로 문화 현장에서 작동되고, 어떻게 재현되고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문화계 및 문화 산업 영역에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8033
-
2016년
Korean
스토리텔링 ; retelling ; storytelling ; classical epic ; tradition ; reverse ; novel ; media ; culture ; cultural city ; content ; cultural content ; fiction ; fact ; faction ; story ; narrative ; contemporary society ; myth(legend) ; history ; Koguryo ; Wuzetian ; Whangjini ; confucius ; H ; 리텔링 ; 서사 ; 재현 ; 콘텐츠 ; 한국 ; 중국 ; 고전(古典) ; 신화(神話) ; 전설 ; 역사(歷史) ; 이야기 ; 이야기하기 ; 사실(事實) ; 해석 ; 매체 ; 상상력 ; 소설 ; 텔레비전 드라마 ; 영화 ; 뮤지컬 ; 시(詩) ; 복원 ; 전복(顚覆) ; 바리데기 ; 아랑전 ; 뮬란 ; 목란시(木蘭詩) ; 백사전(白蛇傳) ; 픽션 ; 팩션 ; 황진이 ; 이순신 ; 측천무후(則天武后) ; 공자(孔子) ; 문화리텔링 ; 문화도시 ; 밀양(密陽) ; 항저우(杭州) ; 시안(西安) ; 리텔링의 가치 ; 문화산업 ; 전망 ; 미래보고서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저술은 문화계에서 통용되고 유용하게 사용되는 스토리텔링과 리텔링이 어떤 방식으로 문화 현장에서 작동되고, 어떻게 재현되고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문화계 및 문화 산업 영역에서...
이 저술은 문화계에서 통용되고 유용하게 사용되는 스토리텔링과 리텔링이 어떤 방식으로 문화 현장에서 작동되고, 어떻게 재현되고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문화계 및 문화 산업 영역에서의 위상을 궁구해보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스토리텔링은 도서뿐만 아니라,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게임, 광고 등 다양한 장르와 매체를 통해 확산되고 있고, 활용범위도 학교, 기업, 박물관, 도서관, 박물관 등으로 광범위하며, 따라서 그 영향력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스토리텔링이나 리텔링은 주된 내용이 되는 ‘스토리’가 중요한데, 고전인 신화와 역사는 중요한 콘텐츠로 제공되고 있다. 한 민족 또는 국가의 오래된 신화전설과 역사가 사장되지 않고 화려하게 부활하여 블루오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셈이다. 고전 서사는 그대로 리텔링되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 배경과 철학이 덧입혀져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내용으로 완성된다. 이 저술에서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리텔링 현상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살펴보았다.
이 저술에서는 우리의 현실을 더 정확하게 진단하고 긍정적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한자, 유교 등을 공통분모로 가진 중국과 우리나라의 현황과 사례를 비교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양국(兩國)의 비교연구는 고전 서사 콘텐츠의 긍․부정적 작용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줌으로써, 중국의 문화 전략을 읽어내는 한편, 향후 우리나라 문화 산업의 방향성 설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저술은 제4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서사와 재현”의 문제를 다루었다. 이들을 지칭하는 전문적인 용어인 스토리텔링과 리텔링이라는 용어의 출현 이후, 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해되어 왔고 또 어떠한 의미변화를 겪어왔는지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종합하였고, 이러한 리텔링을 시도한 작가들의 말과 글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도 포함하였다. 이를 통해 스토리텔링과 리텔링을 종합적으로 사유하고자 하였다.
제2부에서는 “재현된 서사, 복원된 서사, 전복된 서사”라는 제목 아래, 우리나라와 중국에서의 신화 리텔링에 대한 구체적 사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사례로 구원의 여신인 바리데기, 억울하게 죽어 끝내 귀신이 되어 나타났던 아랑전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중국의 사례로는, 우리에게 ‘뮬란’으로 알려진 목란의 이야기와 백사전(白蛇傳)의 리텔링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이들은 시, 소설, 뮤지컬, 영화,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현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고전적인 해석을 탈피하여, ‘현재’라는 맥락 속에서 변주되어 각각의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이들은 현실을 도외시 하지 않은 ‘낡았지만 여전히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how the storytelling and retelling are actually utilized in the area of culture/cultury industry. Storytelling has been spread through a variety of genres and media, including film, tv drama, games, adverti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how the storytelling and retelling are actually utilized in the area of culture/cultury industry. Storytelling has been spread through a variety of genres and media, including film, tv drama, games, advertising and so on. Its utilized range is also extensive, including schools, businesses, museums, libraries and museums. Therefore, its influence also can never be ignored. When we do storytelling and retelling story is very important, mythology and history are provided as important contents.
Myth and history is becoming a blue ocean. Classical narrative(myth/history) is not just repeated, it includes a historical reinterpretation and philosophy. So it could be completed familiar but very new story.
The study researched the both side of positive aspects and negative aspects of the retelling through various practices. In this study, I compared the status and practices of retelling in Chinese and Korea. Comparative study could show more clearly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classical narrative content. Through this we are able to read the strategy of the Chinese culture, and we can expect to contribute to setting future direction of cultural industry of Korea.
This research has Ⅳ chapters. The chapter Ⅰ is “Narrative and Repeat”. I 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