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동해 표층수 중 영양염과 Chlorophyll a의 분포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774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 4. 고찰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태근, "해역의 환경특성을 고려한 해양환경 기준설정과 수질등급 평가" 한국해양학회 17 (17): 45-58, 2012

      2 윤이용, "동해연안 수괴의 특성과 장기변동 추이"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0 (10): 59-65, 2007

      3 이충일, "동해에서 쓰시마난류의 변동과 관련한 극전선의 공간적 변화" 한국환경과학회 12 (12): 2003

      4 이동섭, "동해 해수의 질소:인의 비" 한국해양학회 20 (20): 199-205, 2015

      5 윤상철, "동해 표층수중 용존 Pb, Cd의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8 (18): 64-73, 2015

      6 윤상철, "동해 표층수중 용존 Cu, Ni의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7 (17): 257-267, 2014

      7 노태근, "동해 전역에 장기간 발달하는 아표층 엽록소 최대층과 수괴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4 (34): 413-430, 2012

      8 전현덕, "동해 북부해역 유광층에서 TEP 분포와 이산화탄소 인자와의 상호관련성" 한국해양학회 17 (17): 33-44, 2012

      9 권형규, "동해 남부 해역의 수괴 분포와 용존 무기 및 유기 영양염의 분포 특성: 2011년 9월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7 (17): 90-103, 2014

      10 윤상철,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해양환경 장기변동"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8 (18): 189-206, 2015

      1 노태근, "해역의 환경특성을 고려한 해양환경 기준설정과 수질등급 평가" 한국해양학회 17 (17): 45-58, 2012

      2 윤이용, "동해연안 수괴의 특성과 장기변동 추이"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0 (10): 59-65, 2007

      3 이충일, "동해에서 쓰시마난류의 변동과 관련한 극전선의 공간적 변화" 한국환경과학회 12 (12): 2003

      4 이동섭, "동해 해수의 질소:인의 비" 한국해양학회 20 (20): 199-205, 2015

      5 윤상철, "동해 표층수중 용존 Pb, Cd의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8 (18): 64-73, 2015

      6 윤상철, "동해 표층수중 용존 Cu, Ni의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7 (17): 257-267, 2014

      7 노태근, "동해 전역에 장기간 발달하는 아표층 엽록소 최대층과 수괴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4 (34): 413-430, 2012

      8 전현덕, "동해 북부해역 유광층에서 TEP 분포와 이산화탄소 인자와의 상호관련성" 한국해양학회 17 (17): 33-44, 2012

      9 권형규, "동해 남부 해역의 수괴 분포와 용존 무기 및 유기 영양염의 분포 특성: 2011년 9월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7 (17): 90-103, 2014

      10 윤상철,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해양환경 장기변동"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8 (18): 189-206, 2015

      11 Park, C,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front zone of the East Sea (the Sea of Japan), Korea : 2. Relationship between abundance distribution and seawater temperature" 31 (31): 749-759, 1998

      12 Yanagi, T, "Water, salt, phosphorus and nitrogen budgets of the Japan Sea" 58 : 797-804, 2002

      13 Seung, Y. H, "Water masses and circulations around Korean Peninsula" 27 (27): 324-331, 1992

      14 Yang, J. S, "Vertical distributions of dissolved Cu and Ni in the central East Sea" 2 (2): 117-124, 1997

      15 Benitez-Nelson, C. R, "The biogeochemical cycling of phosphorus in marine systems" 51 : 109-135, 2000

      16 Guo, X, "The Kuroshio onshore intrusion along the shelf break of the East China Sea:The origi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36 (36): 2205-2231, 2006

      17 Lee, J. Y, "Sps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the pelagic ecosystem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A review" 78 : 288-300, 2009

      18 Kim, K. H, "Springtime distribution of inorganic nutrients in the Yellow Sea: Its relation of water masses" 5 (5): 224-232, 2000

      19 Moon, C. H,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29 (29): 503-526, 1996

      20 Moon, C. H,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31 (31): 259-266, 1998

      21 Cho, H. J,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30 (30): 393-407, 1997

      22 Chung, C. S, "Primary productivity and nitrogenous nutrient dynamics in the East Sea of Korea" 24 (24): 52-61, 1989

      23 Choi, Y. K, "Possible Formation Area of the Japan Sea Proper Water I. Subareas by the Polar Front" 2 (2): 27-42, 1993

      24 Krom, M. D, "Phosphorus limit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36 (36): 424-432, 1991

      25 Ptacnik, R, "Performance of the redfield ratio and a family of nutrient limitation indicators as thresholds for phytoplankton N vs. P limitation" 13 : 1201-1214, 2010

      26 Ichiye, T, "Ocean hydrography of the Japan Sea and China Sea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15-54, 1984

      27 김일남, "OMP 방법으로 분석한 하계 동해의 수계 특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6 (26): 581-594, 2004

      28 Wang, B. D, "Nutrient condition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58 : 127-1363, 2003

      29 T.-W. Kim, "Increasing N Abundance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Due to Atmospheric Nitrogen Deposition"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334 (334): 505-509, 2011

      30 Kim T. -H, "Changes in seawater N:P ratio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in response to increasing atmospheric N deposition: Results from the East (Japan) Sea" 58 (58): 1907-1914, 2013

      31 Justic, D, "Changes in nutrient structure of river-dominated coastal waters:Stoichiometric nutrient balance and its consequences" 40 : 339-356, 1995

      32 Yang, H. S,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24 (24): 185-192, 1991

      33 최미연, "2009년 강원 연안의 계절별 수괴 분포 및 영양염의 시공간적 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5 (15): 76-88, 2012

      34 노태근, "2008년 하계 울릉분지에서 관측된 물리 화학적 외압에 대한 플랑크톤 군집의 반응"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2 (32): 269-289, 2010

      35 최용규, "2006년 동해 연안의 수괴 분포" 한국환경과학회 19 (19): 399-40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12-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환경공학회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KCI등재
      2012-12-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4 0.8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