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외수출용 자동차 네비게이션 전자지도의 컬러 표현 연구 = Study on the color expression of electronic map for GPS navigation equipped in a car for ex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5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s the practical development of PND car navigations and the differences user recognition and then it leads to the rational approach for localization.
      Based upon the know-how throug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mpetitions, domestic car navigation industry pays a lot of attention to the overseas market. We could expect that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map is highly value added. In addition GUI needs aesthetic well as information transmitting. But localization of electronic map ismost important in point of preemptive marketing.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electronic maps. It is very difficult approach of market penetration to apply domestic development tools and conditions to overseas market directly. Therefore, research on the user environment and the scope of user recognition is needed to localize the electronic map in the region. An emphasis is placed on the environment and the cases of expression of colors in existence. Representative model for local market is selected and analyzed in comparison with domestic one. Direction pointer for car, road and polygon colors in 6 models of domestic and overseas electronic maps of PND car navigation have been classified analyz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issues and characteristics from cultural differences are scrutinized. This research offers reference data for production of an electronic map of PND car navigation for expor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development for design and competitive product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of overseas market of the electronic map for export.
      번역하기

      This research analyzes the practical development of PND car navigations and the differences user recognition and then it leads to the rational approach for localization. Based upon the know-how throug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mpetitions, d...

      This research analyzes the practical development of PND car navigations and the differences user recognition and then it leads to the rational approach for localization.
      Based upon the know-how throug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mpetitions, domestic car navigation industry pays a lot of attention to the overseas market. We could expect that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map is highly value added. In addition GUI needs aesthetic well as information transmitting. But localization of electronic map ismost important in point of preemptive marketing.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electronic maps. It is very difficult approach of market penetration to apply domestic development tools and conditions to overseas market directly. Therefore, research on the user environment and the scope of user recognition is needed to localize the electronic map in the region. An emphasis is placed on the environment and the cases of expression of colors in existence. Representative model for local market is selected and analyzed in comparison with domestic one. Direction pointer for car, road and polygon colors in 6 models of domestic and overseas electronic maps of PND car navigation have been classified analyz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issues and characteristics from cultural differences are scrutinized. This research offers reference data for production of an electronic map of PND car navigation for expor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development for design and competitive product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of overseas market of the electronic map for expo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국내·외 PND 네비게이션 전자지도의 컬러 사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외시장에서 선호할 수 있는 전자지도 개발에 필요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의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장은 기술발전과 함께 경쟁에서 구축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주목하고 있다. 그 중 전자지도 개발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요소로 가치상승이 기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접해야하는 GUI 디자인에 대한 문제가 중요시되고 있으며, 인지적인 측면의 원활한 정보전달력과 함께 심미성도 요구되고 있다. 국내의 전자지도와 해외의 전자지도는 유사점과 함께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국내의 개발환경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초기 시장 진입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지에 맞게 전자지도 제작의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례에 대한 사용 환경과 수용자의 인식범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먼저 기존의 해외사례들이 보여주는 현상들이 기술적 한계로부터 기인한 것인지 문화적 선호도가 반영된 것인지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기술적 제한에 주안점을 두기보다는 전자지도 표현의 기본이 되는 컬러들이 사용되었던 환경과 사례에 중점들 두었다. 실질적인 제품개발은 물론 수용자가 인식하는 차이의 문제를 접근함으로써 현지화에 대한 정보를 합리적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현지사례를 대표할 모델을 선정하여 국내의 대표적인 상품과 함께 분석 하였다. 국내·외의 6개사에 대한 전자지도의 자차경로, 도로컬러, 폴리곤 컬러를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 비교를 통해 각 문화 간의 차이에서 비롯하는 문제들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해외수출용 전자지도의 제작에 참고하고 반영 가능한 자료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해외수출용 전자지도개발에 해외시장을 이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디자인 개발과 보다 경쟁력 있는 제품개발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국내·외 PND 네비게이션 전자지도의 컬러 사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외시장에서 선호할 수 있는 전자지도 개발에 필요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의 자동차 네비게이�...

      이 연구는 국내·외 PND 네비게이션 전자지도의 컬러 사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외시장에서 선호할 수 있는 전자지도 개발에 필요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의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장은 기술발전과 함께 경쟁에서 구축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주목하고 있다. 그 중 전자지도 개발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요소로 가치상승이 기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접해야하는 GUI 디자인에 대한 문제가 중요시되고 있으며, 인지적인 측면의 원활한 정보전달력과 함께 심미성도 요구되고 있다. 국내의 전자지도와 해외의 전자지도는 유사점과 함께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국내의 개발환경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초기 시장 진입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지에 맞게 전자지도 제작의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례에 대한 사용 환경과 수용자의 인식범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먼저 기존의 해외사례들이 보여주는 현상들이 기술적 한계로부터 기인한 것인지 문화적 선호도가 반영된 것인지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기술적 제한에 주안점을 두기보다는 전자지도 표현의 기본이 되는 컬러들이 사용되었던 환경과 사례에 중점들 두었다. 실질적인 제품개발은 물론 수용자가 인식하는 차이의 문제를 접근함으로써 현지화에 대한 정보를 합리적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현지사례를 대표할 모델을 선정하여 국내의 대표적인 상품과 함께 분석 하였다. 국내·외의 6개사에 대한 전자지도의 자차경로, 도로컬러, 폴리곤 컬러를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 비교를 통해 각 문화 간의 차이에서 비롯하는 문제들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해외수출용 전자지도의 제작에 참고하고 반영 가능한 자료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해외수출용 전자지도개발에 해외시장을 이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디자인 개발과 보다 경쟁력 있는 제품개발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광열, "휘도조절을 적용한 LCD 계조선형성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 22 (22): 37-46, 2008

      2 "한국경제"

      3 "팅크웨어"

      4 성주은, "차량용 네비게이션 화면정보의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POI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5 박준우, "차량용 GPS 네비게이션의 3D 가상현실 시각화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5

      6 "중앙일보"

      7 Robert Jacobson, "정보디자인" 안그래픽스 2002

      8 이진혁, "은유와 환유,일상적 언어게임을 통한 인터페이스의 맥락적 상호성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07

      9 "앰엔소프트"

      10 손봉균, "알기 쉬운 지도 이야기"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연구원 2007

      1 박광열, "휘도조절을 적용한 LCD 계조선형성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 22 (22): 37-46, 2008

      2 "한국경제"

      3 "팅크웨어"

      4 성주은, "차량용 네비게이션 화면정보의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POI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5 박준우, "차량용 GPS 네비게이션의 3D 가상현실 시각화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5

      6 "중앙일보"

      7 Robert Jacobson, "정보디자인" 안그래픽스 2002

      8 이진혁, "은유와 환유,일상적 언어게임을 통한 인터페이스의 맥락적 상호성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07

      9 "앰엔소프트"

      10 손봉균, "알기 쉬운 지도 이야기"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연구원 2007

      11 주인학, "실감 네비게이션 개발을 위한 디자인 고려사항"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7

      12 이형림, "시각전달을 위한 관광안내지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1999

      13 윤혜림, "색채지각론과 체계론" 도서출판 국제 2007

      14 김정은, "사용자 인지향상을 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의 맵 디스플레이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15 오충원, "네비게이션 지도에서 사용자 중심 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40 (40): 297-307, 2006

      16 박정민, "교통안내지도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06

      17 "Tomtom"

      18 "Navman"

      19 "Magellan"

      20 김진우, "Human Computer Interface 개론" 안그라픽스 2005

      21 "Garmin"

      22 일본인간공학회 스크린 디자인 연구회, "GUI 디자인 가이드" 안그래픽스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