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소아 Graves병의 임상적 고찰 : 사춘기 이전군과 사춘기군의 비교 = Graves' Disease in Prepubertal Children Compared with Pubertal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717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소아 Graves병의 진단 시 발병 연령에 따른 갑상선 기능, 임상 양상, 갑상선 항체가 및 치료 기간 등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 1989년 1월 1일부터 1995년...

      목 적 : 소아 Graves병의 진단 시 발병 연령에 따른 갑상선 기능, 임상 양상, 갑상선 항체가 및 치료 기간 등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 1989년 1월 1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7년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과 강남성모병원 소아과에서 Graves병으로 진단 받고 3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아 52명을 대상으로 Tanner의 성 성숙도를 기준으로 사춘기 이전에 발병한 군(사춘기전군)과 사춘기 시작 후 발병한 군(사춘기군)으로 나누어 갑상선 기능상태, 갑상선 항체, TSH 수용체 항체, 치료 후 갑상선 기능검사치가 정상화되는 시기 및 치료 기간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전체 52명 중 남녀간의 성비는 1 : 12로 주로 여아에서 발병하였다. 2) 사춘기전군은 14명(남아 2명), 사춘기군은 38명(남아 2명)으로 각각 평균연령은 $7.2{\pm}0.9$세, $12.4{\pm}1.5$세이었다. 3) 치료 전 사춘기전군과 사춘기군에서 $T_3$는 $3.98{\pm}1.70$과 $3.82{\pm}1.63ng/mL$, $T_4$는 $17.49{\pm}5.56$과 $19.23{\pm}6.01{\mu}g/dL$, TSH는 $0.07{\pm}0.11$과 $0.07{\pm}0.24mIU/L$ 등으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치료 전 사춘기전군과 사춘기군에서 AMA 양성률은 85%와 89%이었고, 평균 항체가는 사춘기군이 사춘기전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ATA 양성율은 각각 57.1%와 72.2%였으나 평균 항체가의 차이는 없었으며 TBII의 양성율은 각각 92.9%와 84.2%였고 평균 항체가는 사춘기전군에서 사춘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치료 후 사춘기전군과 사춘기군에서 $T_3$, $T_4$, TSH, TBII가 정상화되는 소요되는 기간은 $T_3$는 각각 $6.8{\pm}5.0$과 $5.4{\pm}13.2$개월, $T_4$는 각각 $2.3{\pm}1.9$와 $2.1{\pm}2.2$개월, TSH는 각각 $14.6{\pm}11.0$과 $6.8{\pm}7.8$개월, TBII는 각각 $26.7{\pm}24.0$과 $20.8{\pm}12.1$개월로 사춘기전군에서 TSH가 정상화되는 기간이 사춘기군보다 더 길었다(P<0.05). 두 군 모두 $T_4$, $T_3$, TSH, TBII 순으로 정상화되었다. 6) 치료 기간은 사춘기전군($53.3{\pm}19.3$개월)이 사춘기군($37.9{\pm}16.3$개월)보다 유의하게 길었다(P<0.01). 7) 약물 치료 3년 동안 관해는 사춘기전군에서 8례(57.1%), 사춘기군에서 26례(68.4%)였고 재발율은 각각 6례(75%) 및 17례(65.3%)였다. 8) Graves병의 진단 시 연령과 치료 기간 사이에는 역상관관계가 있었다(P=0.03). 결 론 : 소아에서 사춘기 이전에 발병하는 Graves병은 사춘기 이후에 발병하는 경우보다 항갑상선제 치료기간이 더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the presentation, clinical course, and outcome of Graves' disease between prepubertal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14 prepubertal(PREP...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the presentation, clinical course, and outcome of Graves' disease between prepubertal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14 prepubertal(PREPUB, $7.2{\pm}0.9yr) and 38 pubertal (PUB, $12.4{\pm}1.5yr$) children with Graves' disease between January 1989 and November 1995 at St. Mary's Hospital and Kangnam St. Mary's Hospital was undertaken.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_3$, $T_4$, TSH between two the groups at diagnosis. The PUB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titers of antimicrosomal antibody(positive dilution factor $11,727.3{\pm}22,888.4$) than did the PREPUB group($2,111.5{\pm}2,285.0$, P<0.001). The PREPUB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titers of TSH-binding inhibitory immunoglobulin(TBII, $62.5{\pm}39.6$) than did the PUB group($44.9{\pm}10.4$, P<0.05) before treatment started. The duration(months) of medical therapy before thyroid function tests were normalized was longer in the PREPUB group than in the PUB group($T_3:6.8{\pm}5.0$ vs. $5.4{\pm}13.2$, $T_4:2.3{\pm}1.9$ vs. $2.1{\pm}2.2$, $TBII:26.7{\pm}24.0$ vs. $20.8{\pm}12.1$), especially that of TSH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PREPUB group($14.6{\pm}11.0$ vs. $6.8{\pm}7.8$, P< 0.05). Total length of medical therapy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PREPUB group than the PUB group($52.3{\pm}19.3$ vs. $37.9{\pm}16.3months$, P<0.01). During three years of antithyroid drug therapy, in the PREPUB group, the remission rate was lower and the relapse rate was higher than in the PUB group. Total length of treatment correlated negatively with chronological age(P=0.03). Conclusion : Prepubertal children require longer medical therapy to achieve a remission than do pubertal children. But there is an obvious need for more studies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patients and the short duration of the follow-up.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