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탐구계획에서 나타난 탐구 문제의 유형과 가설 검증 방법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과학 탐구 프로그램에 참가 신청한 중학생 46개 팀이다. 탐구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30443
2014
-
370
KCI등재
학술저널
45-65(2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탐구계획에서 나타난 탐구 문제의 유형과 가설 검증 방법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과학 탐구 프로그램에 참가 신청한 중학생 46개 팀이다. 탐구계...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탐구계획에서 나타난 탐구 문제의 유형과 가설 검증 방법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과학 탐구 프로그램에 참가 신청한 중학생 46개 팀이다. 탐구계획서에 제시된 탐구문제 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 범주형 독립변인과 연속형 종속변인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가설 검증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비례 비교 방법을 제외한 4가지 유형의 가설 검증 방법이 비교적 고르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반응 비교 및 긍정 비교 방법은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다음으로는 직접 관찰 방법과 부정 비교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수행된 탐구계획서에 대한 분석은 학생들이 수행하는 과학 탐구의 기본적 분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 탐구 교수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inquiry questions and hypothesis testing methods exhibited in the inquiry pla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team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p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inquiry questions and hypothesis testing methods exhibited in the inquiry pla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team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participation in a scientific inquiry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inquiry questions in the inquiry plans revealed that 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tinuous dependent variables were most frequently sugges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hypothesis testing methods in the inquiry plans presented relatively even utilization levels in four types of hypothesis testing methods except the proportional comparison method. The similar response comparison and positive comparison methods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followed by the direct observation and positive-negative comparison methods. The analysis on the inquiry plans performed in this study findings is significant in terms of providing the data regarding the basic framework of scientific inquiry that students have.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offer implications on scientific inquiry teach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원, "학생의 과학적 탐구문제의 제안과정과 특성 분석" 한국물리학회 50 (50): 203-211, 2005
2 박종선, "초등학생들이 선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143-152, 2011
3 권용주,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018-1027, 2004
4 박미현, "중학생의 자유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특징과 탐구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대한화학회 56 (56): 371-377, 2012
5 유준희, "중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활동 중 물리 영역 탐구문제의 구성과 변인 추출 및 명료화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903-927, 2012
6 김재우,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 탐구보고서에나타난 변인의 유형" 18 (18): 297-301, 1998
7 김세미, "서술적 실험 설계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 창의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29-145, 2012
8 박순화, "생물학 탐구에서 학생들이 생성한가설검증방법의 유형" 25 (25): 230-238, 2005
9 박종원,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375-386, 2004
10 김지영, "과학적 가설의 설정과 검증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반응 유형 분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10): 229-252, 2007
1 박종원, "학생의 과학적 탐구문제의 제안과정과 특성 분석" 한국물리학회 50 (50): 203-211, 2005
2 박종선, "초등학생들이 선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143-152, 2011
3 권용주,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018-1027, 2004
4 박미현, "중학생의 자유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특징과 탐구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대한화학회 56 (56): 371-377, 2012
5 유준희, "중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활동 중 물리 영역 탐구문제의 구성과 변인 추출 및 명료화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903-927, 2012
6 김재우,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 탐구보고서에나타난 변인의 유형" 18 (18): 297-301, 1998
7 김세미, "서술적 실험 설계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 창의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29-145, 2012
8 박순화, "생물학 탐구에서 학생들이 생성한가설검증방법의 유형" 25 (25): 230-238, 2005
9 박종원,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375-386, 2004
10 김지영, "과학적 가설의 설정과 검증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반응 유형 분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10): 229-252, 2007
11 권용주,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458-469, 2003
12 박종원, "과학적 가설 검증을 위한 학생들의 실험 설계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200-213, 2003
13 조희형⋅박승재, "과학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2001
14 신동훈, "과학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의문 유형과 초등교사들의 설명 유형과의 관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146-160, 2007
15 박인숙,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314-327, 2011
16 조희형⋅최경희, "과학 교수-학습과 수행평가" 교육과학사 2000
17 Laudan, L., "Progress and its problems: Toward a theory of scientific growth" University of California 1997
18 National Reaearch Council,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ic Press 1996
19 Krajcik, J., "Inquiry in project-based science classrooms : Initial attempts by middle school students" 7 (7): 313-350, 1998
20 Maloney, D. P.,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4
21 Germann, P. J.,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ial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33 (33): 475-499, 1996
중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습 인식 및 전략 분석
과학탐구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중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관점 분석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 체육 검정교과서 비만 관련 내용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2-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EDUCATIONAL RESEARCH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5 | 0.972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