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普照知訥의 空寂靈知와 王陽明의 良知의 비교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7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제는 ‘普照의 空寂靈知와 王陽明의 良知의 비교연구’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普照禪에 대한 연구영역을 확대하여 동아시아 사상사 속에서 보조선의 특징과 위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선학이 양명학에 미친 사상적 영향이 있다는 전제아래 보조의 선사상과 양명의 心學 사이에 상호관련성을 밝히고자 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다섯 가지 내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보조가 제시하고 있는 마음으로서 ‘공적영지’의 개념이 왕양명의 ‘양지’에 미친 영향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보조선과 양명학의 사상체계에 있어서 ‘공적영지’와 ‘양지’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비교하였다.
      셋째, 공적영지와 양지의 내용과 그 동이점을 밝혔다.
      넷째, ‘마음’의 정의에 대한 공적영지와 양지의 특징을 밝혔다.
      다섯째, 현대 마음철학 형성에 있어 공적영지와 양지의 역할에 대하여 밝혔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주제는 ‘普照의 空寂靈知와 王陽明의 良知의 비교연구’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普照禪에 대한 연구영역을 확대하여 동아시아 사상사 속에서 보조선의 특징과 위상을 확보할 수...

      본 연구의 주제는 ‘普照의 空寂靈知와 王陽明의 良知의 비교연구’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普照禪에 대한 연구영역을 확대하여 동아시아 사상사 속에서 보조선의 특징과 위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선학이 양명학에 미친 사상적 영향이 있다는 전제아래 보조의 선사상과 양명의 心學 사이에 상호관련성을 밝히고자 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다섯 가지 내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보조가 제시하고 있는 마음으로서 ‘공적영지’의 개념이 왕양명의 ‘양지’에 미친 영향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보조선과 양명학의 사상체계에 있어서 ‘공적영지’와 ‘양지’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비교하였다.
      셋째, 공적영지와 양지의 내용과 그 동이점을 밝혔다.
      넷째, ‘마음’의 정의에 대한 공적영지와 양지의 특징을 밝혔다.
      다섯째, 현대 마음철학 형성에 있어 공적영지와 양지의 역할에 대하여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ojo-jinul's ‘Gongjeokyeongji(空寂靈知)’ and Wang Yang-ming's ‘Liangzhi(良知)’. In this paper, we shall establish Bojo-Seon's characteristics and position within the thought history of East Asia by enlarging the research territory about Bojo-Seon.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the influence of Seon thought on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I tried to illuminate the mutual relation between Bojo's Seon thought and Yang-ming's Xinxue(心學).

      There are five main points to clarify their relation.
      First, I inquired into the relation of influence of Bojo's ‘Gongjeokyeongji(空寂靈知)’ on Wang Yang-ming's ‘Liangzhi(良知)’.
      Second, I made a comparative study of positions and roles of the two concepts, ‘Gongjeokyeongji(空寂靈知)’ and ‘Liangzhi(良知)’.
      Third, I made clear the sameness and difference between ‘Gongjeokyeongji(空寂靈知)’ and ‘Liangzhi(良知)’.
      Forth, I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Gongjeokyeongji(空寂靈知)’ and ‘Liangzhi(良知)’ about ‘mind’.
      Fifth, I studied the roles of ‘Gongjeokyeongji(空寂靈知)’ and ‘Liangzhi(良知)’ on the point of formation of modern mind-philosophy.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ojo-jinul's ‘Gongjeokyeongji(空寂靈知)’ and Wang Yang-ming's ‘Liangzhi(良知)’. In this paper, we shall establish Bojo-Seon's characteristics and position within the though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ojo-jinul's ‘Gongjeokyeongji(空寂靈知)’ and Wang Yang-ming's ‘Liangzhi(良知)’. In this paper, we shall establish Bojo-Seon's characteristics and position within the thought history of East Asia by enlarging the research territory about Bojo-Seon.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the influence of Seon thought on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I tried to illuminate the mutual relation between Bojo's Seon thought and Yang-ming's Xinxue(心學).

      There are five main points to clarify their relation.
      First, I inquired into the relation of influence of Bojo's ‘Gongjeokyeongji(空寂靈知)’ on Wang Yang-ming's ‘Liangzhi(良知)’.
      Second, I made a comparative study of positions and roles of the two concepts, ‘Gongjeokyeongji(空寂靈知)’ and ‘Liangzhi(良知)’.
      Third, I made clear the sameness and difference between ‘Gongjeokyeongji(空寂靈知)’ and ‘Liangzhi(良知)’.
      Forth, I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Gongjeokyeongji(空寂靈知)’ and ‘Liangzhi(良知)’ about ‘mind’.
      Fifth, I studied the roles of ‘Gongjeokyeongji(空寂靈知)’ and ‘Liangzhi(良知)’ on the point of formation of modern mind-philosoph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