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임상병리(학)과 실험실습실 및 실습기자재 보유현황과 표준화 방안 = Current Possession Status of Laboratories and Laboratory Equipment and Measures for Standardization for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6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standardization plan for practical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training equipment. We did this by researching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labs, experimental training rooms, and practical equipment possession statu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canvassing professors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from May 10, 2019 to August 31, 2019. In regards to clinical pathology and laboratory holdings, 87.8% of the respondents had 3 or more laboratories. The same was true for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where 87.8% of respondents had 3 or more laboratories. It was found that 43.5%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had one training preparation room, and 17.4% did not have any. This survey discovered that more than 90% of the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departments are equiped with spectrophotometer and practice equipment set and blood glucometer, blood collection practice set, manual blood cell count practice set, staining practice equipment and facilities, ESR practice set, blood type training set, general bacteria incubators, rotary microtome, water bath for histology, and PCR equipment set.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standardization plan for practical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training equipment. We did this by researching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labs, experimental training rooms, and practical equipment possession st...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standardization plan for practical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training equipment. We did this by researching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labs, experimental training rooms, and practical equipment possession statu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canvassing professors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from May 10, 2019 to August 31, 2019. In regards to clinical pathology and laboratory holdings, 87.8% of the respondents had 3 or more laboratories. The same was true for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where 87.8% of respondents had 3 or more laboratories. It was found that 43.5%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had one training preparation room, and 17.4% did not have any. This survey discovered that more than 90% of the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departments are equiped with spectrophotometer and practice equipment set and blood glucometer, blood collection practice set, manual blood cell count practice set, staining practice equipment and facilities, ESR practice set, blood type training set, general bacteria incubators, rotary microtome, water bath for histology, and PCR equipment se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향숙,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 평가항목 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 25 (25): 123-137, 2017

      2 전경자,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 개선 방안: 간호교육 인증평가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7 (27): 183-192, 2016

      3 김홍성, "임상병리학과 학제단일화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대한임상검사과학회 50 (50): 289-296, 2018

      4 양병선, "임상병리사 교육과정 및 임상실습에 대한 연구" 대한임상검사과학회 50 (50): 320-330, 2018

      5 최승구, "임상병리사 2차 직무분석 연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12

      6 심문정, "임상병리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대한임상검사과학회 36 (36): 233-238, 2004

      7 신경아, "임상병리(학)과 실험 실습기자재 표준화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한국보건기초의학회 12 (12): 44-49, 2019

      8 권순복, "언어치료학과 학과인증제를 위한 기초 연구 - 교육환경 중심으로 -"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1-23, 2010

      9 박병태, "실험.실습 기자재의 합리적인 선정 및 예산배분 방안" 2009 (2009): 44-51, 2009

      10 김종임, "신규간호사의 기본간호학 실습기자재 임상활용도 분석" 2004 (2004): 185-, 2004

      1 이향숙, "한국작업치료인증기준 평가항목 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 25 (25): 123-137, 2017

      2 전경자,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 개선 방안: 간호교육 인증평가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7 (27): 183-192, 2016

      3 김홍성, "임상병리학과 학제단일화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대한임상검사과학회 50 (50): 289-296, 2018

      4 양병선, "임상병리사 교육과정 및 임상실습에 대한 연구" 대한임상검사과학회 50 (50): 320-330, 2018

      5 최승구, "임상병리사 2차 직무분석 연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12

      6 심문정, "임상병리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대한임상검사과학회 36 (36): 233-238, 2004

      7 신경아, "임상병리(학)과 실험 실습기자재 표준화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한국보건기초의학회 12 (12): 44-49, 2019

      8 권순복, "언어치료학과 학과인증제를 위한 기초 연구 - 교육환경 중심으로 -"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1-23, 2010

      9 박병태, "실험.실습 기자재의 합리적인 선정 및 예산배분 방안" 2009 (2009): 44-51, 2009

      10 김종임, "신규간호사의 기본간호학 실습기자재 임상활용도 분석" 2004 (2004): 185-, 2004

      11 변영순, "신규 임상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임상실무수행능력" 10 (10): 47-56, 2003

      12 이영휘, "기본간호학 실습교육현황과 실습내용 개선을 위한조사연구" 28 (28): 650-661, 1998

      13 강규숙, "기본간호학 교과내용 개선을 위한 일 조사연구: 간호학 교수와 임상실무교육 간호사를 중심으로" 27 (27): 83-95, 1997

      14 김경희, "기본간호실습 교육 현황 및 실습교육 필요도" 기본간호학회 18 (18): 506-519, 2011

      15 Papastrat, K., "Teaching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to prevent medication errors using a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42 (42): 459-464, 2003

      16 Owens, L. D., "Peer instruction in the learning laboratory: a strategy to decrease student anxiety" 40 (40): 375-377, 2001

      17 Jeffries, P. R., "A comparison student-centered versus traditional methods of teaching basic nursing skills in a learning laboratory" 38 (38): 14-19, 2002

      18 신경림, "4년제 간호대학(과) 실습 비 및 실습기자재 표준안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15 (15): 305-315, 2003

      19 김종임, "4년제 간호교육기관의 기본간호학 실습 기자재 표준안 개발" 10 (10): 415-426, 2003

      20 전시자, "3년제 간호교육과정의 실험실습 기자재 기준 개발" 37 (37): 78-91,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