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의 건축사를 통해 가장 활발한 실험과 영건이 이루어졌던 것은 바로 서원건축이었다. 17세기의 서원건축을 통해 사묘(祠廟)와 강당(講堂)의 건축형식이 정착되었으며, 이는 다시 주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805546
uuuu년
Korean
540.000
한국연구재단(NRF)
393-42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7세기의 건축사를 통해 가장 활발한 실험과 영건이 이루어졌던 것은 바로 서원건축이었다. 17세기의 서원건축을 통해 사묘(祠廟)와 강당(講堂)의 건축형식이 정착되었으며, 이는 다시 주거...
17세기의 건축사를 통해 가장 활발한 실험과 영건이 이루어졌던 것은 바로 서원건축이었다. 17세기의 서원건축을 통해 사묘(祠廟)와 강당(講堂)의 건축형식이 정착되었으며, 이는 다시 주거와 향교 건축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서원(書院)=사림(士林)"이라는 간단한 등식 이상으로 서원건축이 지닌 중요성은 건축사적 문맥에서 좀 더 강조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남계서원을 대상으로 하여 사림들이 기존 건축전통을 어떻게 재해석하고 이를 새로운 서원건축의 형식으로 정립시키려고 했는지 검토하여 17세기 건축사를 지배한 새로운 서원건축의 형식으로 정립시키려고 했는지 검토하여 17세기 건축사를 지배한 새로운 서원 건축관의 단서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남계서원은 다음과 같은 건축사적 의의를 지니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첫 번째 원론적인 차원에서 士林들은 서원건축에 자신들의 성리학적 이념에 따라 새롭게 해석된 藏修와 游息이란 공간개념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실제 계획의 차원에서 藏修공간의 계획원리는 禮學 특히 講讀儀式이나 朱子家禮의 배치원칙등이 적용되었으며, 游息 공간의 계획원리는 蓮池등으로 상징되는 儒家 혹은 性理學의 자연관이 적용되었다. 세 번째 계획원리를 담아내는 건축형식의 차원에서는 이상의 새로운 관점으로 인해 기존 건축전통의 형식이 새롭게 해석될 수 밖에 없었는데, 이는 기존 건축형식의 개념적 최소단위인 <마루온돌>에 대한 재해석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다만 이같은 재해석 과정은 시대적 추세인 예학의 심화와 함께 '마루'형식 자체의 내재적 분화 가능성을 촉진하면서 서원건축의 모색과정을 질적으로 전환시켰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