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경남형 DRT 브라보택시 도입 이후 이용자 의식변화 기초연구 = Preliminary Research on Changes in User Awareness Since Operation of Bravo-Taxi as Gyeongsangnam-do D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35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상남도에서는 경남 내 대중교통 서비스 소외지역 주민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2017년부터 택시차량을 활용한 경남형 DRT인 브라보택시를 운영 중이다. 본 연구는 2017년 브라보택시를 운행하기 시작한 경상남도의 대중교통 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브라보택시 운행 이후 이용자의 의식변화를 2년에 걸쳐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의 이동성 제고, 이동시 소요시간 감소, 기존 버스대비 브라보 택시 선호도 증가 등 택시형 DRT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반면, 현재 브라보택시 제도의 문제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브라보택시의 이용쿠폰이 충분하지 않거나, 고정된 시간에 운행하는 브라보택시의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와 운행시간대가 맞지 않아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타 지자체에서 운행 중인 택시형 DRT의 서비스 지속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경상남도에서는 경남 내 대중교통 서비스 소외지역 주민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2017년부터 택시차량을 활용한 경남형 DRT인 브라보택시를 운영 중이다. 본 연구는 2017년 브라보택시를 운...

      경상남도에서는 경남 내 대중교통 서비스 소외지역 주민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2017년부터 택시차량을 활용한 경남형 DRT인 브라보택시를 운영 중이다. 본 연구는 2017년 브라보택시를 운행하기 시작한 경상남도의 대중교통 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브라보택시 운행 이후 이용자의 의식변화를 2년에 걸쳐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의 이동성 제고, 이동시 소요시간 감소, 기존 버스대비 브라보 택시 선호도 증가 등 택시형 DRT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반면, 현재 브라보택시 제도의 문제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브라보택시의 이용쿠폰이 충분하지 않거나, 고정된 시간에 운행하는 브라보택시의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와 운행시간대가 맞지 않아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타 지자체에서 운행 중인 택시형 DRT의 서비스 지속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찬영 ; 김남석, "전략생성표를 활용한 교통부문 혼합 대안 생성 전략 - 버스와 수요응답형 교통체계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189-200, 2016

      2 김원철 ; 남궁문, "수요응답형교통체계 이용요금 가치 추정 연구" 한국ITS학회 14 (14): 103-111, 2015

      3 박기준 ; 송기욱 ; 정헌영, "벽지노선 대체형 수요응답형교통(DRT) 노선 선정 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대중교통 열악지역을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4 (54): 71-78, 2019

      4 전상민 ; 정성봉 ; 김시곤, "농어촌지역 수요응답형교통(DRT)의 운행비용 특성분석" 대한토목학회 32 (32): 571-577, 2012

      5 박기준 ; 정헌영, "노선버스 대체형 DRT 운행에 대한 이용자 의식분석" 대한교통학회 37 (37): 445-457, 2019

      6 윤대식 ; 안영희, "고령자의 통행특성과 통행행테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91-107, 2003

      7 Gomes, R., "Sustainable demand responsive transportation systems in a context of austerity: The case of a portuguese city" 51 : 2015

      8 Palmer, K., "Factors influencing productivity and operating cost of demand responsive transit" 42 (42): 2008

      9 Wang, C., "Exploring the propensity to travel by demand responsive transport in the rural area of Lincolnshire in England" 3 (3): 2015

      10 Amirgholy, M, "Demand responsive transit systems with time-dependent demand: User equilibrium, system optimum, and management strategy" 92 : 2016

      1 이찬영 ; 김남석, "전략생성표를 활용한 교통부문 혼합 대안 생성 전략 - 버스와 수요응답형 교통체계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189-200, 2016

      2 김원철 ; 남궁문, "수요응답형교통체계 이용요금 가치 추정 연구" 한국ITS학회 14 (14): 103-111, 2015

      3 박기준 ; 송기욱 ; 정헌영, "벽지노선 대체형 수요응답형교통(DRT) 노선 선정 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대중교통 열악지역을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4 (54): 71-78, 2019

      4 전상민 ; 정성봉 ; 김시곤, "농어촌지역 수요응답형교통(DRT)의 운행비용 특성분석" 대한토목학회 32 (32): 571-577, 2012

      5 박기준 ; 정헌영, "노선버스 대체형 DRT 운행에 대한 이용자 의식분석" 대한교통학회 37 (37): 445-457, 2019

      6 윤대식 ; 안영희, "고령자의 통행특성과 통행행테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91-107, 2003

      7 Gomes, R., "Sustainable demand responsive transportation systems in a context of austerity: The case of a portuguese city" 51 : 2015

      8 Palmer, K., "Factors influencing productivity and operating cost of demand responsive transit" 42 (42): 2008

      9 Wang, C., "Exploring the propensity to travel by demand responsive transport in the rural area of Lincolnshire in England" 3 (3): 2015

      10 Amirgholy, M, "Demand responsive transit systems with time-dependent demand: User equilibrium, system optimum, and management strategy" 92 : 2016

      11 Neven, A., "Assessing the impact of different policy decisions on the resource requirements of a demand responsive transport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44 :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