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관측 환경에 따른 상시미동의 HVSR 결과 신뢰도 평가 = Reliability Assessment of Ambient Noise HVSR per Observation Con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35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HVSR) of ambient noise is widely used to identify the resonant frequency of a site. The frequency at the largest HVSR is regarded as the resonant frequency. The source of ambient noise is impossible to identify and control.
      Therefore, obtaining reliable HVSR of ambient noise requires sufficient measurement time and absence of near-field vib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inimum stabilization time required for a portable seismometer and the effec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eismometer and artificial vibration on HVSR estimation. In the case of a soil site, the HVSR was stabilized after 5 minutes after sensor installation. In the case of a rock site, stabilization required more than an hour. Human-footsteps within 10 m of the seismometer strongly influenced the HVSR for the soil site. These results provide a field guideline when measuring ambient noise for HVSR.
      번역하기

      The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HVSR) of ambient noise is widely used to identify the resonant frequency of a site. The frequency at the largest HVSR is regarded as the resonant frequency. The source of ambient noise is impossible to identi...

      The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HVSR) of ambient noise is widely used to identify the resonant frequency of a site. The frequency at the largest HVSR is regarded as the resonant frequency. The source of ambient noise is impossible to identify and control.
      Therefore, obtaining reliable HVSR of ambient noise requires sufficient measurement time and absence of near-field vib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inimum stabilization time required for a portable seismometer and the effec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eismometer and artificial vibration on HVSR estimation. In the case of a soil site, the HVSR was stabilized after 5 minutes after sensor installation. In the case of a rock site, stabilization required more than an hour. Human-footsteps within 10 m of the seismometer strongly influenced the HVSR for the soil site. These results provide a field guideline when measuring ambient noise for HVS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상시미동의 수직성분에 대한 수평성분 스펙트럼비(HVSR)는 부지 공명주파수를 파악하는데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HVSR의 가장 큰 비율을 가지는 주파수는 부지 공명주파수와 일치한다. 상시미동은 부지 주변에 존재하는 미세진동을 의미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진동원을 파악할 수 없으며, 또한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신뢰적인 상시미동 HVSR을 구하기 위해서는 상시미동 측정에 충분한 시간적 여유와 주변 환경의 파악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적인 HVSR 분석에 필요한 상시미동 측정 최소시간과 지진계와 인위적인 진동 사이의 이격거리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토사 부지의 경우 센서 설치 후 5분 이내에 안정화가 되었으나, 암반 부지의 경우 안정화까지 1시간 이상이 소요되었다. 또한 상시미동 관측 시 발걸음 진동이 지진계 10 m 이내에 존재할 경우 HVSR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상시미동의 HVSR측정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상시미동의 수직성분에 대한 수평성분 스펙트럼비(HVSR)는 부지 공명주파수를 파악하는데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HVSR의 가장 큰 비율을 가지는 주파수는 부지 공명주파수와 일치한다. 상시미...

      상시미동의 수직성분에 대한 수평성분 스펙트럼비(HVSR)는 부지 공명주파수를 파악하는데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HVSR의 가장 큰 비율을 가지는 주파수는 부지 공명주파수와 일치한다. 상시미동은 부지 주변에 존재하는 미세진동을 의미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진동원을 파악할 수 없으며, 또한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신뢰적인 상시미동 HVSR을 구하기 위해서는 상시미동 측정에 충분한 시간적 여유와 주변 환경의 파악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적인 HVSR 분석에 필요한 상시미동 측정 최소시간과 지진계와 인위적인 진동 사이의 이격거리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토사 부지의 경우 센서 설치 후 5분 이내에 안정화가 되었으나, 암반 부지의 경우 안정화까지 1시간 이상이 소요되었다. 또한 상시미동 관측 시 발걸음 진동이 지진계 10 m 이내에 존재할 경우 HVSR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상시미동의 HVSR측정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선창국 ; 한진태 ; 조완제, "현장 탄성파시험 자료 종합을 통한 국내 지반지층의 대표 전단파속도 제안" 대한지질공학회 22 (22): 293-307, 2012

      2 정희옥 ; 김형준 ; 조봉곤 ; 박남률, "한반도 남서부의 상시미동 HVSR 연구 I:정점주파수와 증폭효과의 특성" 한국지구과학회 31 (31): 541-554, 2010

      3 이희경 ; 김령이 ; 강태섭, "초계분지의 상시미동 지진응답"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 (20): 88-95, 2017

      4 김성균 ; 황민우, "상시미동에 의한 지하구조와 지반응답의 추정" 한국지구과학회 23 (23): 380-392, 2002

      5 Mucciarelli, M., "The stability of the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of triggered noise and earthquake recordings" 93 (93): 1407-1412, 2003

      6 Lachet, C., "Site effects and microzonation in the city of Thessaloniki (Greece) comparison of different approaches" 86 (86): 1692-1703, 1996

      7 Lermo, J., "Site effect evaluation using spectral ratios with only one station" 83 (83): 1574-1594, 1993

      8 Rong, M., "On the amplitude discrepancy of hvsr and site amplification from strong-motion observations on the amplitude discrepancy of HVSR and site amplification from strong-motion observations" 107 (107): 2873-2884, 2017

      9 Lachet, C., "Numeric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s on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Nakamura’s technique" 42 (42): 377-397, 1994

      10 Ibs-von Seht, M., "Microtremor measurements used to map thickness of soft sediments" 89 (89): 250-259, 1999

      1 선창국 ; 한진태 ; 조완제, "현장 탄성파시험 자료 종합을 통한 국내 지반지층의 대표 전단파속도 제안" 대한지질공학회 22 (22): 293-307, 2012

      2 정희옥 ; 김형준 ; 조봉곤 ; 박남률, "한반도 남서부의 상시미동 HVSR 연구 I:정점주파수와 증폭효과의 특성" 한국지구과학회 31 (31): 541-554, 2010

      3 이희경 ; 김령이 ; 강태섭, "초계분지의 상시미동 지진응답"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 (20): 88-95, 2017

      4 김성균 ; 황민우, "상시미동에 의한 지하구조와 지반응답의 추정" 한국지구과학회 23 (23): 380-392, 2002

      5 Mucciarelli, M., "The stability of the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of triggered noise and earthquake recordings" 93 (93): 1407-1412, 2003

      6 Lachet, C., "Site effects and microzonation in the city of Thessaloniki (Greece) comparison of different approaches" 86 (86): 1692-1703, 1996

      7 Lermo, J., "Site effect evaluation using spectral ratios with only one station" 83 (83): 1574-1594, 1993

      8 Rong, M., "On the amplitude discrepancy of hvsr and site amplification from strong-motion observations on the amplitude discrepancy of HVSR and site amplification from strong-motion observations" 107 (107): 2873-2884, 2017

      9 Lachet, C., "Numeric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s on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Nakamura’s technique" 42 (42): 377-397, 1994

      10 Ibs-von Seht, M., "Microtremor measurements used to map thickness of soft sediments" 89 (89): 250-259, 1999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Information of earthquake statio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12 Bahavar, M., "Horizontal-to-vertical spectral ratio (HVSR) IRIS station toolbox" 91 (91): 3539-3549, 2020

      13 Acerra, C.,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V spectral ratio technique on ambient vibrations measurements, Processing and Interpretation" SESAME 2004

      14 Konno, K., "Ground-motion characteristics estimated from spectral ratio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s of microtremor" 88 (88): 228-241, 1998

      15 Wathelet, M., "Geopsy: A userfriendly open-source tool set for ambient vibration processing" 91 (91): 1878-1889, 2020

      16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Geological information of seismic stat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17 Chatelain, J. L.,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experimental conditions on H/V results from ambient noise recordings" 6 (6): 33-74, 2008

      18 Park, J. Y., "Development of an experimental seismometer and exploration of its potential as a tool for exploring earth science" 13 (13): 507-526, 2019

      19 Nakamura, Y, "A method for dynamic characteristics estimation of subsurface using microtremor on the ground surface" 30 (30): 25-33,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