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구조방정식모형과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가뭄 영향인자의 민감도 분석 = Sensitivity Analysis of Drought Impact Factor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ayesian Net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35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뭄은 장기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생하며,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피해를 발생시킨다. 가뭄 위험도는 기상학적 및 수문학적 요소와 더불어 사회적, 환경적, 물리적 및 경제적 요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뭄 위험도에 대한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충청북도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가뭄 노출성, 취약성, 대응능력 및 위험도 사이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가뭄 위험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가뭄 위험도 평가 인자별 민감도 분석을 통해 가뭄 위험도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결과 과거 가뭄 위험도가 가장 큰 지역은 충주시로, 노출성 및 대응능력을 변화시켰을 때에도 가장 크게 산정되었다. 다만, 취약성을 변화시켰을때에는 음성군이 위험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도에 대한 영향인자들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증평군이 민감도가 가장 컸으며, 노출성, 취약성 및 대응능력에서 제천시, 음성군, 옥천군이 민감도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뭄 위험도 및 가뭄 위험도에 대한 영향인자를 확인하였으며, 영향인자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가뭄 대책 마련이 가능하다.
      번역하기

      가뭄은 장기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생하며,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피해를 발생시킨다. 가뭄 위험도는 기상학적 및 수문학적 요소와 더불어 사회적, 환경적, 물리적 및 경제적 요소로 이루...

      가뭄은 장기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생하며,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피해를 발생시킨다. 가뭄 위험도는 기상학적 및 수문학적 요소와 더불어 사회적, 환경적, 물리적 및 경제적 요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뭄 위험도에 대한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충청북도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가뭄 노출성, 취약성, 대응능력 및 위험도 사이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가뭄 위험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가뭄 위험도 평가 인자별 민감도 분석을 통해 가뭄 위험도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결과 과거 가뭄 위험도가 가장 큰 지역은 충주시로, 노출성 및 대응능력을 변화시켰을 때에도 가장 크게 산정되었다. 다만, 취약성을 변화시켰을때에는 음성군이 위험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도에 대한 영향인자들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증평군이 민감도가 가장 컸으며, 노출성, 취약성 및 대응능력에서 제천시, 음성군, 옥천군이 민감도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뭄 위험도 및 가뭄 위험도에 대한 영향인자를 확인하였으며, 영향인자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가뭄 대책 마련이 가능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은 ; 박지연 ; 이주헌 ; 김태웅, "주성분 분석 및 엔트로피 기법을 적용한 사회·경제적 가뭄 취약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52 (52): 441-449, 2019

      2 김용태 ; 이상준, "부분최소제곱모형을 위한 R 프로그램의 활용: SmartPLS와 R의 비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117-124, 2015

      3 김동욱 ; 유지영 ; 손호준 ; 김태웅,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경기도 지역 산불 발생 요인에 대한 기상 및 수문학적 요인의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54 (54): 145-156, 2021

      4 유지영 ; 김장경 ; 한정우 ; 김태웅,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PLS-SEM)을 이용한 폭염과 가뭄의 영향평가" 대한토목학회 41 (41): 113-121, 2021

      5 유지영 ; 김진영 ; 권현한 ; 김태웅,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민감도 평가" 대한토목학회 34 (34): 1787-1796, 2014

      6 정우석 ; 김성은 ; 김영도,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한 낙동강 본류의 남조류 발생 영향인자 분석" 한국습지학회 23 (23): 27-34, 2021

      7 이승인 ; 손찬수 ; 이혜림, "기상 및 영농투입재 비용이 양파 단수에 미치는 영향:패널회귀분석과 베이지안네트워크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3 (43): 1-28, 2020

      8 문영식 ; 남원호 ; 양미혜 ; 신지현 ; 전민기 ; 김태곤 ; 이승용 ; 이광야, "계층화분석 및 엔트로피 가중치 산정 방법에 따른 농업가뭄재해 취약성 평가" 한국농공학회 63 (63): 13-26, 2021

      9 Nogueira, J. M. P., "Spatial pattern of the seasonal drought/burned area relationship across Brazilian biomes: Sensitivity to drought metrics and global remote-sensing fire products" 5 (5): 42-, 2017

      10 예령 ; 정세웅 ; 이흥수 ; 윤성완 ; 정희영, "SWAT 모형을 이용한 대청댐 유역의 기후인자에 따른 유출 및 유사량 민감도 평가" 한국물환경학회 25 (25): 7-17, 2009

      1 김지은 ; 박지연 ; 이주헌 ; 김태웅, "주성분 분석 및 엔트로피 기법을 적용한 사회·경제적 가뭄 취약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52 (52): 441-449, 2019

      2 김용태 ; 이상준, "부분최소제곱모형을 위한 R 프로그램의 활용: SmartPLS와 R의 비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117-124, 2015

      3 김동욱 ; 유지영 ; 손호준 ; 김태웅,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경기도 지역 산불 발생 요인에 대한 기상 및 수문학적 요인의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54 (54): 145-156, 2021

      4 유지영 ; 김장경 ; 한정우 ; 김태웅,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PLS-SEM)을 이용한 폭염과 가뭄의 영향평가" 대한토목학회 41 (41): 113-121, 2021

      5 유지영 ; 김진영 ; 권현한 ; 김태웅,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민감도 평가" 대한토목학회 34 (34): 1787-1796, 2014

      6 정우석 ; 김성은 ; 김영도,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한 낙동강 본류의 남조류 발생 영향인자 분석" 한국습지학회 23 (23): 27-34, 2021

      7 이승인 ; 손찬수 ; 이혜림, "기상 및 영농투입재 비용이 양파 단수에 미치는 영향:패널회귀분석과 베이지안네트워크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3 (43): 1-28, 2020

      8 문영식 ; 남원호 ; 양미혜 ; 신지현 ; 전민기 ; 김태곤 ; 이승용 ; 이광야, "계층화분석 및 엔트로피 가중치 산정 방법에 따른 농업가뭄재해 취약성 평가" 한국농공학회 63 (63): 13-26, 2021

      9 Nogueira, J. M. P., "Spatial pattern of the seasonal drought/burned area relationship across Brazilian biomes: Sensitivity to drought metrics and global remote-sensing fire products" 5 (5): 42-, 2017

      10 예령 ; 정세웅 ; 이흥수 ; 윤성완 ; 정희영, "SWAT 모형을 이용한 대청댐 유역의 기후인자에 따른 유출 및 유사량 민감도 평가" 한국물환경학회 25 (25): 7-17, 2009

      11 Barbero, R., "Modeling very large-fire occurrences over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from weather and climate forcing" 9 (9): 124009-, 2014

      12 Mihunov, V. V., "Modeling the dynamics of drought resilience in South-Central United States using a Bayesian Network" 120 : 102224-, 2020

      13 Urbieta, I. R., "Fire activity as a function of fire-weather seasonal severity and antecedent climate across spatial scales in southern Europe and pacific western USA" 10 : 114013-, 2015

      14 Sahana, V., "Drought vulnerability and risk assessment in India: Sensitivity analysis and comparison of aggregation techniques" 299 : 113689-, 2021

      15 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UNCCD), "Drought resilience, adaptation and management policy framework: supporting technical guidelines" UNCCD 2019

      16 Marin, P. G., "Drought and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forest fires across Mexico" 28 : 25-37, 2018

      17 Sun, E. J., "A study on calling pattern according to major among university students using Bayesian Network" 8 (8): 41-56, 2015

      18 Hosseini, S., "A bayesian network model for resilience-based supplier selection" 180 : 68-87,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