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진주 논개시장 디자인 특화거리 조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reation of Design-Specialized Streets in Jinju Nongae Traditional Mark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210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lan to revitalize the commercial district through the creation of a specialized street in the declining Nongae Market in Jinju.
      Methods The scope of the study is Nongae Market in Jinju City. Derive implications through best practices and derive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investigations. Based on this, the design process proceeds.
      Result Criteria for design development and creation of specialized streets were presented. Newtro concept-based design was developed and a plan for specialization was presented.
      Conclusion First, the necessity of creating a specialized market for commercial district regeneration was confirmed through the survey. The application value and direction of the Newtro concept were presented.
      Second, improvement plans for each space and guide sign and Way-Finding system establishment plans were presented.
      Third, a plan to highlight the identity of Nongae Market was presented by using photographs.
      Fourth, with physical maintenance as the starting point, the ripple effect was maximized and a plan for local self-reliance was proposed.
      번역하기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lan to revitalize the commercial district through the creation of a specialized street in the declining Nongae Market in Jinju. Methods The scope of the study is Nongae Market in Jinju City. Derive im...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lan to revitalize the commercial district through the creation of a specialized street in the declining Nongae Market in Jinju.
      Methods The scope of the study is Nongae Market in Jinju City. Derive implications through best practices and derive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investigations. Based on this, the design process proceeds.
      Result Criteria for design development and creation of specialized streets were presented. Newtro concept-based design was developed and a plan for specialization was presented.
      Conclusion First, the necessity of creating a specialized market for commercial district regeneration was confirmed through the survey. The application value and direction of the Newtro concept were presented.
      Second, improvement plans for each space and guide sign and Way-Finding system establishment plans were presented.
      Third, a plan to highlight the identity of Nongae Market was presented by using photographs.
      Fourth, with physical maintenance as the starting point, the ripple effect was maximized and a plan for local self-reliance was propo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요약연구배경 쇠퇴한 전통시장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상권재생을 위해 진주 논개시장에 특화거리 조성을 통한 상권재생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범위는 진주시 논개시장이며 우수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현황조사, 설문조사 등을 통해 개발방향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세부 적용방안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연구를 통하여 얻은 개발방향 및 컨셉을 기반으로 특화거리 디자인 개발 및 조성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뉴트로 컨셉 기반의 디자인을 개발하고 공간별 특성을 고려한 세부 디자인을 진행했으며 특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첫째, 현황분석과 설문조사 등을 통해 상권재생을 위한 특화시장 조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뉴트로 컨셉의 적용가치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각 공간별 특성을 고려한 개선방안과 안내사인 및 Way- Finding체계 구축의 필요성 및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논개시장 사진을 활용한 사진 갤러리형 골목조성으로 논개시장의 정체성 부각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디자인 추진전략 및 단계별 사업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여 물리적 정비를 시발점으로 하여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역자생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논문요약연구배경 쇠퇴한 전통시장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상권재생을 위해 진주 논개시장에 특화거리 조성을 통한 상권재생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범위는 진주시 논개시...

      논문요약연구배경 쇠퇴한 전통시장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상권재생을 위해 진주 논개시장에 특화거리 조성을 통한 상권재생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범위는 진주시 논개시장이며 우수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현황조사, 설문조사 등을 통해 개발방향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세부 적용방안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연구를 통하여 얻은 개발방향 및 컨셉을 기반으로 특화거리 디자인 개발 및 조성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뉴트로 컨셉 기반의 디자인을 개발하고 공간별 특성을 고려한 세부 디자인을 진행했으며 특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첫째, 현황분석과 설문조사 등을 통해 상권재생을 위한 특화시장 조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뉴트로 컨셉의 적용가치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각 공간별 특성을 고려한 개선방안과 안내사인 및 Way- Finding체계 구축의 필요성 및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논개시장 사진을 활용한 사진 갤러리형 골목조성으로 논개시장의 정체성 부각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디자인 추진전략 및 단계별 사업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여 물리적 정비를 시발점으로 하여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역자생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호 ; 김영 ; 김경훈,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진주중앙유등시장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5 (25): 233-250, 2013

      2 윤혜린, "경남지역 전통시장 지원정책 개선방안" 경남연구원 2022

      3 "https://namu.wiki/w/재래시장"

      1 이준호 ; 김영 ; 김경훈,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진주중앙유등시장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5 (25): 233-250, 2013

      2 윤혜린, "경남지역 전통시장 지원정책 개선방안" 경남연구원 2022

      3 "https://namu.wiki/w/재래시장"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