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도서관의 소설도서 카테고리에 관한 감성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Sentiment Analysis of Novels in Digital Libr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210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Due to the recent closure of library spaces caused by COVID-19 and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various contactless book borrowing services, physical libraries have been partially or entirely replaced by digital libraries. To enhance the user experience in searching for novel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thematic features, and user preferences of novels. Therefore, the researcher recognizes the need for sentiment analysis related to the book category of novel. This will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signing visualizations in the search interface of digital library novels.
      Method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study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followed by empirical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ories on digital libraries, novels, and sentiment analysis were examined. In empirical analysis, KJ method, cluster analysis, survey,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employed.
      Result First, the reliability and usability of the novels showed a direct correlation. Second, the reliability of the novels showed an inverse correlation with its originality. Third, the usability of the novels showed an inverse correlation with its originality.
      Conclusion Through sentiment analysis of the novels, we can observe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thematic features, and users' sentiment evaluations of novels within each categ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signing visualizations in the search interface of digital library novels. Based on this, we anticipate that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novels searches can be achieved through visual design in the search interface of the novels.
      번역하기

      Background Due to the recent closure of library spaces caused by COVID-19 and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various contactless book borrowing services, physical libraries have been partially or entirely replaced by digital libraries. To enhance ...

      Background Due to the recent closure of library spaces caused by COVID-19 and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various contactless book borrowing services, physical libraries have been partially or entirely replaced by digital libraries. To enhance the user experience in searching for novel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thematic features, and user preferences of novels. Therefore, the researcher recognizes the need for sentiment analysis related to the book category of novel. This will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signing visualizations in the search interface of digital library novels.
      Method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study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followed by empirical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ories on digital libraries, novels, and sentiment analysis were examined. In empirical analysis, KJ method, cluster analysis, survey,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employed.
      Result First, the reliability and usability of the novels showed a direct correlation. Second, the reliability of the novels showed an inverse correlation with its originality. Third, the usability of the novels showed an inverse correlation with its originality.
      Conclusion Through sentiment analysis of the novels, we can observe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thematic features, and users' sentiment evaluations of novels within each categ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signing visualizations in the search interface of digital library novels. Based on this, we anticipate that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novels searches can be achieved through visual design in the search interface of the nov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최근 COVID19로 인한 도서관 공간의 폐쇄 및 다양한 비대면 도서 대출 서비스의 발생 및 발전으로 디지털 도서관의 역할과 비중이 증대되며, 물리적 도서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지털 도서관이 대체하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도서관 검색 과정에서 문학 분야는 원하는 자료를 한 번에 검색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2021년 국민독서실태 조사에 따르면 소설이 가장 선호하는 분야는 도서 분야로 꼽혔다. 사용자들이 보다 정확한 소설도서 검색을 경험할 수 있기 위해 소설의 감성적 특징, 주제적인 특성, 그리고 사용자의 선호도를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소설도서 카테고리에 관한 감성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도서관 소설 검색 시각화 디자인에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실증 분석을 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디지털 도서관, 소설도서 카테고리 그리고 감성 분석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실증 연구에서는 감성 분석하기 위해 KJ 법과 클러스터 분석을 사용하여 소설도서와 관련된 15개 형용사를 선정하였다. 감성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각 소설도서 카테고리에 대한 감성 평가를 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소설도서 카테고리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설도서 카테고리의 신뢰도와 작업성은 정비례로 보였다. 둘째, 소설도서 카테고리의 신뢰도와 독창성은 반비례로 보였다. 셋째, 소설도서 카테고리의 작업성과 독창성은 반비례로 보였다.
      결론 소설도서 카테고리의 감성 분석을 통해 카테고리별 소설도서의 감성적 특징, 주제적인 특성, 그리고 소설에 대한 사용자의 감정 평가를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도서관 소설도서 검색 시각화 디자인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를 통해 소설도서 카테고리의 검색 시각적 디자인을 통해 소설도서 검색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최근 COVID19로 인한 도서관 공간의 폐쇄 및 다양한 비대면 도서 대출 서비스의 발생 및 발전으로 디지털 도서관의 역할과 비중이 증대되며, 물리적 도서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지...

      연구배경 최근 COVID19로 인한 도서관 공간의 폐쇄 및 다양한 비대면 도서 대출 서비스의 발생 및 발전으로 디지털 도서관의 역할과 비중이 증대되며, 물리적 도서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지털 도서관이 대체하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도서관 검색 과정에서 문학 분야는 원하는 자료를 한 번에 검색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2021년 국민독서실태 조사에 따르면 소설이 가장 선호하는 분야는 도서 분야로 꼽혔다. 사용자들이 보다 정확한 소설도서 검색을 경험할 수 있기 위해 소설의 감성적 특징, 주제적인 특성, 그리고 사용자의 선호도를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소설도서 카테고리에 관한 감성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도서관 소설 검색 시각화 디자인에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실증 분석을 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디지털 도서관, 소설도서 카테고리 그리고 감성 분석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실증 연구에서는 감성 분석하기 위해 KJ 법과 클러스터 분석을 사용하여 소설도서와 관련된 15개 형용사를 선정하였다. 감성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각 소설도서 카테고리에 대한 감성 평가를 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소설도서 카테고리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설도서 카테고리의 신뢰도와 작업성은 정비례로 보였다. 둘째, 소설도서 카테고리의 신뢰도와 독창성은 반비례로 보였다. 셋째, 소설도서 카테고리의 작업성과 독창성은 반비례로 보였다.
      결론 소설도서 카테고리의 감성 분석을 통해 카테고리별 소설도서의 감성적 특징, 주제적인 특성, 그리고 소설에 대한 사용자의 감정 평가를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도서관 소설도서 검색 시각화 디자인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를 통해 소설도서 카테고리의 검색 시각적 디자인을 통해 소설도서 검색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