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차원 척도 분석법을 활용한 중국 박물관 로고 비교 분석 연구 = A Study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Museum Logo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21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In the past, museums performed the primary function of collecting, preserving, and displaying artifacts, but in recent years, museums are shifting to provide cultural experiences, education, services, and other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fferentiated approaches to designing museum logos in China.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similarities among different logos while identifying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exhibited by each group of logos.
      Methods In this study, 17 first-class comprehensive museums selected by the 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 of China were subjected to a positioning map analysis using a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method to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 of each logo based on its similarity and to identify the types of logo design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s of each type of logo.
      Result A classification and positioning chart through the similarity of logos shows that Chinese museum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group is a traditional type of logo with Chinese characters as design elements. the second group is a geometric style modern logo with the outline of the museum building as design element. The third group is thematic logos that use the museum's iconic collections as design elemen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a further questionnaire survey on logo preferences showed that the logos in group3 were the most popular.
      Conclusion Museums established befor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ype1) mainly used Chinese character logos, which were deeply rooted in tradition. However, with the increase in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foreign countries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the design of museum logos(Type2) gradually diversified, geometric shapes are extensively utilized in these designs. The type3 of logo has gained the highest favor due to its ability to effectively reflect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region. The direction to find a differentiated logo design for the type of museum logo.
      번역하기

      Background In the past, museums performed the primary function of collecting, preserving, and displaying artifacts, but in recent years, museums are shifting to provide cultural experiences, education, services, and other activities. The purpose of th...

      Background In the past, museums performed the primary function of collecting, preserving, and displaying artifacts, but in recent years, museums are shifting to provide cultural experiences, education, services, and other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fferentiated approaches to designing museum logos in China.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similarities among different logos while identifying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exhibited by each group of logos.
      Methods In this study, 17 first-class comprehensive museums selected by the 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 of China were subjected to a positioning map analysis using a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method to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 of each logo based on its similarity and to identify the types of logo design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s of each type of logo.
      Result A classification and positioning chart through the similarity of logos shows that Chinese museum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group is a traditional type of logo with Chinese characters as design elements. the second group is a geometric style modern logo with the outline of the museum building as design element. The third group is thematic logos that use the museum's iconic collections as design elemen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a further questionnaire survey on logo preferences showed that the logos in group3 were the most popular.
      Conclusion Museums established befor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ype1) mainly used Chinese character logos, which were deeply rooted in tradition. However, with the increase in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foreign countries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the design of museum logos(Type2) gradually diversified, geometric shapes are extensively utilized in these designs. The type3 of logo has gained the highest favor due to its ability to effectively reflect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region. The direction to find a differentiated logo design for the type of museum log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그동안 박물관은 문물 수집, 보존, 전시 등 본연의 기능을 수행해 왔지만, 최근에는 문화체험, 교육, 서비스 등의 활동으로 지역의 이미지를 높일 뿐만 아니라 문화홍보까지 유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차별화된 중국 박물관 로고의 디자인 방식을 모색하기 위하여 로고 사이의 유사성을 비교·분석하며 로고 집단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중국 국가문물국이 선정한 17개 1급 종합박물관을 대상으로 다차원 척도 분석법을 활용하여 포지셔닝 맵 분석을 함으로써 각 로고의 유사도로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고 로고 디자인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유형별 로고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포지셔닝 맵을 통해 로고의 유사성들을 분류한 결과, 중국 박물관 로고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군집1은 모두 한자를 바탕으로 디자인한 전통형 로고이다. 군집2는 박물관 건물의 외형을 사용하여 만든 기하학적인 현대형 로고이고, 군집3은 박물관 대표 소장품의 이미지로 디자인한 테마형 로고이다. 로고 선호도에 관한 추가설문 결과에 의하면 군집3에 속하는 로고들의 선호도가 제일 높다.
      결론 중국의 개혁·개방 이전 설립된 박물관들(군집1)은 한자로고를 많이 사용하여 전통성이 강하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과 외국 간의 문화교류가 많아지면서 박물관 로고(군집2) 디자인도 다양해졌으며 기하학적 형태를 많이 사용한다. 군집3에 속하는 로고들은 지역문화 특징을 잘 드러내며 선호도가 가장 높다. 분류된 박물관의 로고 유형에 따라서 차별화된 로고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그동안 박물관은 문물 수집, 보존, 전시 등 본연의 기능을 수행해 왔지만, 최근에는 문화체험, 교육, 서비스 등의 활동으로 지역의 이미지를 높일 뿐만 아니라 문화홍보까지 유도하...

      연구배경 그동안 박물관은 문물 수집, 보존, 전시 등 본연의 기능을 수행해 왔지만, 최근에는 문화체험, 교육, 서비스 등의 활동으로 지역의 이미지를 높일 뿐만 아니라 문화홍보까지 유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차별화된 중국 박물관 로고의 디자인 방식을 모색하기 위하여 로고 사이의 유사성을 비교·분석하며 로고 집단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중국 국가문물국이 선정한 17개 1급 종합박물관을 대상으로 다차원 척도 분석법을 활용하여 포지셔닝 맵 분석을 함으로써 각 로고의 유사도로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고 로고 디자인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유형별 로고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포지셔닝 맵을 통해 로고의 유사성들을 분류한 결과, 중국 박물관 로고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군집1은 모두 한자를 바탕으로 디자인한 전통형 로고이다. 군집2는 박물관 건물의 외형을 사용하여 만든 기하학적인 현대형 로고이고, 군집3은 박물관 대표 소장품의 이미지로 디자인한 테마형 로고이다. 로고 선호도에 관한 추가설문 결과에 의하면 군집3에 속하는 로고들의 선호도가 제일 높다.
      결론 중국의 개혁·개방 이전 설립된 박물관들(군집1)은 한자로고를 많이 사용하여 전통성이 강하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과 외국 간의 문화교류가 많아지면서 박물관 로고(군집2) 디자인도 다양해졌으며 기하학적 형태를 많이 사용한다. 군집3에 속하는 로고들은 지역문화 특징을 잘 드러내며 선호도가 가장 높다. 분류된 박물관의 로고 유형에 따라서 차별화된 로고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준호,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부산현대미술관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연구"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8

      2 이태림 ; 최석중, "지역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박물관 디자인 특성 및 평가 요소"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545-557, 2014

      3 이은실, "로고 디자인 평가모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9 (19): 151-162, 2006

      4 최소연 ; 고언정, "다차원척도분석법(MDS)을 활용한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의 이미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24 : 183-208, 2010

      5 강승호 ; 김중엽, "다차원분석법을 이용한 인천 도시경쟁력 비교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12 (12): 97-109, 2009

      6 Han, Q. D., "The visual construction and communication of comprehensive museum logo" 35 (35): 141-142, 2022

      7 Liu, N., "Research on the visual identification system of comprehensive museum in the context of new media" Jiangsu University 2018

      8 Shao, S. J.,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graphically in modern museum logo design" Harbin Normal University 2016

      9 Dai, P., "On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of sinogram symbol and its cultural significance" 24 (24): 69-71, 2008

      10 Yan, H. l., "On the logo designs of the nine major museums in china in national treasures" 8 (8): 2-7, 2018

      1 장준호,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부산현대미술관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연구"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8

      2 이태림 ; 최석중, "지역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박물관 디자인 특성 및 평가 요소"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545-557, 2014

      3 이은실, "로고 디자인 평가모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9 (19): 151-162, 2006

      4 최소연 ; 고언정, "다차원척도분석법(MDS)을 활용한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의 이미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24 : 183-208, 2010

      5 강승호 ; 김중엽, "다차원분석법을 이용한 인천 도시경쟁력 비교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12 (12): 97-109, 2009

      6 Han, Q. D., "The visual construction and communication of comprehensive museum logo" 35 (35): 141-142, 2022

      7 Liu, N., "Research on the visual identification system of comprehensive museum in the context of new media" Jiangsu University 2018

      8 Shao, S. J.,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graphically in modern museum logo design" Harbin Normal University 2016

      9 Dai, P., "On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of sinogram symbol and its cultural significance" 24 (24): 69-71, 2008

      10 Yan, H. l., "On the logo designs of the nine major museums in china in national treasures" 8 (8): 2-7, 2018

      11 Liu, B. C., "New trends in contemporary museum logo design" 12 (12): 119-120, 2016

      12 Liu, Z. F., "Museum Orientation and Exhibition Types and on Their Specialization" 2020 (2020): 53-55, 2020

      13 모옥한, "IMC 관점에서 본 박물관의아이덴티티 이미지 형성 전략연구" (11) : 326-327, 2019

      14 Zhu, Y., "Exploring the art of Chinese characters in museum logo design" (15) : 298-299, 2016

      15 Hu, X. M., "Artifacts and museums" Encyclopedia of China Publishing House 1993

      16 Hua, Y., "A study on the formation of overall visual image in museum display design" 2018 (2018): 195-196, 2018

      17 Chan, N., "2020 National museum count"

      18 Wu, Y. Z., "2020 Global theme parks and museums repor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