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교육훈련의 목적은 경찰공무원의 능력향상을 통해 경찰조직의 통합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며 경찰교육훈련은 경찰조직의 발전과 경찰조직참여자의 발전을 함께 추구하는 일련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경찰교육훈련의 목적은 경찰공무원의 능력향상을 통해 경찰조직의 통합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며 경찰교육훈련은 경찰조직의 발전과 경찰조직참여자의 발전을 함께 추구하는 일련의 ...
경찰교육훈련의 목적은 경찰공무원의 능력향상을 통해 경찰조직의 통합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며 경찰교육훈련은 경찰조직의 발전과 경찰조직참여자의 발전을 함께 추구하는 일련의 활동이다. 이러한 목적하에서 본 논문은 독일과 한국의 경찰간부후보생 교육훈련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내었다. 독일의 경찰간부후보생 교육훈련제도가 우리나라 경찰간부후보생 교육훈련제도에 주는 시사점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게 되었다. 첫째, 교육기간의 확대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즉 독일의 경우 경위급은 각각 주마다 3년 그리고 경정급은 2년 이상의 교육훈련과정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졸업과 동시에 임용뿐 아니라 동시에 석사학위까지 수여받고 있다. 한국 경찰간부후보생의 52주(1년) 간에 비해 무려 2년이나 길다. 한국의 경우 독일이 경위급 3년, 경정급 2년의 교육훈련 시간을 유지하는 것에 비교해 볼 때 유능한 경찰간부후보생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예산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둘째, 외국어에 관한 학습시간의 차이가 크다. 독일 경찰간부후보생들의 교육과정에는 예외 없이 영어, 프랑스어, 이태리어, 스페인어 등이 개설되어 있다. 독일의 경찰간부들은 경찰대학의 교육에서 지속적인 외국어 실력을 확대하고 있는데 반해, 한국 경찰간부후보생의 경우 1년간(52주)의 교육 중 120시간의 외국어를 습득하는 기회를 갖는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경정특채자의 경우에 더욱 심각한데 외국어 교육기회는 거의 미비한 실정이다. 셋째, 경찰교육생의 보수에서 큰 격차가 있다. 독일의 순경급의 경우 3년차가 1,030유로(1,575,900원 - 1유로 1,530원)를 받는데 물론 간부급의 경우는 이보다 훨씬 더 받을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한국의 경찰간부후보생은 매달 국립경찰대학 3학년생과 동일하게 월237,300원의 적은 수당을 지급받는다. 간부후보생의 사기진작을 위해 인상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과 실습기간의 반복에서 차이가 있다. 독일에서 경위급 경찰의 3년간 교육훈련 중 경찰서 실습기간이 6개월간이나 된다. 이는 한국의 경찰간부후보생이 단지 5주간만 경찰서에서 현장실습을 행하는 것과 크게 구별된다. 한국의 경우 그 기간을 좀더 늘리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다섯째, 경찰간부후보생의 교과목의 개편이 필요하다. 독일의 경찰간부후보생 교육훈련의 경우는 논리력, 사고력, 언어심화, 집중력, 지리학, 역사, 경제와 법, 국가와 정치적 지식, 경찰지휘, 재정관리, 사회학, 법학, 외국어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의 경찰간부후보생 교육에서도 현장 실무 능력배양을 위한 영역에 더 많은 비중을 둔 실무교육과목으로의 전환 발상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법률과목을 줄이고 행정학, 사회학이나 심리학과 같은 과목도 추가 설치가 요구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열, "한국과 독일경찰의 신임순경 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 중앙경찰학교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경찰학교를 중심으로 -" 한독사회과학회 19 (19): 3-30, 2009
2 김무형, "한국경찰조직의 신임순경 교육훈련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2008
3 조호대, "주요 국가의 경찰채용제도 검토 및 정책적 시사점" 2009
4 김무형, "선진 외국의 신임순경 교육훈련제도의 시사점" 한국치안행정학회 6 (6): 245-278, 2009
5 이영남, "바람직한 경찰공무원 채용시험의 개선방안" 한국경찰연구학회 6 (6): 227-256, 2007
6 박동균, "미국과 영국의 신임경찰관 교육훈련의 특징과 함의" 한국경찰학회 2009
7 한부영, "독일행정론" 백산자료원 2002
8 임준태, "독일의 경찰제도. in: 비교경찰제도론" 법문사 480-, 2003
9 이관희, "독일경찰교육제도에 관한 연구" (1) : 1999
10 임준태, "독일 경찰공무원 교육제도에 관한 연구-신규입직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16 (16): 109-140, 2006
1 이상열, "한국과 독일경찰의 신임순경 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 중앙경찰학교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경찰학교를 중심으로 -" 한독사회과학회 19 (19): 3-30, 2009
2 김무형, "한국경찰조직의 신임순경 교육훈련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2008
3 조호대, "주요 국가의 경찰채용제도 검토 및 정책적 시사점" 2009
4 김무형, "선진 외국의 신임순경 교육훈련제도의 시사점" 한국치안행정학회 6 (6): 245-278, 2009
5 이영남, "바람직한 경찰공무원 채용시험의 개선방안" 한국경찰연구학회 6 (6): 227-256, 2007
6 박동균, "미국과 영국의 신임경찰관 교육훈련의 특징과 함의" 한국경찰학회 2009
7 한부영, "독일행정론" 백산자료원 2002
8 임준태, "독일의 경찰제도. in: 비교경찰제도론" 법문사 480-, 2003
9 이관희, "독일경찰교육제도에 관한 연구" (1) : 1999
10 임준태, "독일 경찰공무원 교육제도에 관한 연구-신규입직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16 (16): 109-140, 2006
11 조철옥, "경찰학개론" 대영문화사 2007
12 신현기, "경찰학개론" 21세기사 2009
13 신현기, "경찰인사관리론" 법문사 2006
14 김수정, "경찰공무원의 교육훈련 효과성 제고방안" 2009
15 이효민, "경찰공무원 채용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9
16 나현웅, "경찰공무원 선발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2009
17 임창호, "경찰공무원 선발시험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4 (4): 151-188, 2002
18 이황우, "경찰간부후보생 선발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5 (5): 175-202, 2003
19 최응렬, "경찰간부후보생 선발을 위한 평가도구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9 (9): 251-281, 2007
20 "http://www.pti.go.kr"
21 "http://www.omega.it/p/po/polizeiführungsakademie.html"
22 "http://www.fhvr-polizei.bayern.de"
23 "http://de.wikipedia.org/wiki/Bundespolizeiakademie"
24 Kilpatrick, F.P., "The Image of the Federal Service" The Brooklngs 254-, 1964
25 Knemeyer. Franz-Ludwig, "Polizei_ und Ordnungsrecht, 6. Aufl"
26 Sullivan. John L., "Introduction to Police Science" Mcgraw-Hill Book Com. 1997
27 "Gesetz über die Deutsche Hochschule der Polizei(DHPolG) und zur Änderung dienstrechtlichter Vorschriften vom 15. Februar 2005 (2005년 2월 15일 독일직무법적 규정의 개정과 독일경찰대학원에 관한 法 제29조 2항 참조)("
28 Götz. Volkmar, "Allgemeines Polizei_ und Ordnungsrecht, 12. Aufl"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7-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 ![]() |
2009-03-1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0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0.99 | 1.04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