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성소리의 보수성과 그 의미 ‒<수궁가>를 중심으로‒ = The Conservatism of Boseongso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2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e aesthetic features of the Boseongsori, especially those represented in Sugung-ga. First, there is no “Terrapin Says Goodbye to his Mother” section in Boseongsori Sugung-ga, probably because singers of Boseongsori want to avoid a confrontation of the values Chong [忠] and Hyo [孝]. Second, the “Terrapin Says Goodbye to his Wife” section of Boseongsori Sugung-ga is modified, probably to make his wife a model of loyalty and an exemplary woman. Finally, Boseongsori Sugung-ga has the unique ending that an old hare is given to the Dragon King after the hare returns alive, emphasizing loyalty to their king. On the other hand, the scene victimizing an old hare instead of the cunning one which deceived Dragon King and Terrapin, shows a failure to understand the question, “Why should the hare survive?” In conclusion, we can call the aesthetic features of the Boseongsori “popular conservatism.” They come from the special conditions of performance and the self-glorification of Boseongsori singer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e aesthetic features of the Boseongsori, especially those represented in Sugung-ga. First, there is no “Terrapin Says Goodbye to his Mother” section in Boseongsori Sugung-ga, probably because singers of Boseongsori want to avoid ...

      This study examinee aesthetic features of the Boseongsori, especially those represented in Sugung-ga. First, there is no “Terrapin Says Goodbye to his Mother” section in Boseongsori Sugung-ga, probably because singers of Boseongsori want to avoid a confrontation of the values Chong [忠] and Hyo [孝]. Second, the “Terrapin Says Goodbye to his Wife” section of Boseongsori Sugung-ga is modified, probably to make his wife a model of loyalty and an exemplary woman. Finally, Boseongsori Sugung-ga has the unique ending that an old hare is given to the Dragon King after the hare returns alive, emphasizing loyalty to their king. On the other hand, the scene victimizing an old hare instead of the cunning one which deceived Dragon King and Terrapin, shows a failure to understand the question, “Why should the hare survive?” In conclusion, we can call the aesthetic features of the Boseongsori “popular conservatism.” They come from the special conditions of performance and the self-glorification of Boseongsori sing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수궁가>를 중심으로 보성소리의 미학적 특질과 그 유래를 밝히는 것이다.
      보성소리 <수궁가>에는 ‘노모 이별’ 대목이 없는데,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보성소리의 전승자들 사이에서 ‘충(忠)’과 ‘효(孝)’를 대립적 가치로 파악하지 않으려고 하는 움직임이 존재했을 가능성이다. 둘째, ‘충(忠)’과 ‘효(孝)’ 중에서 특정 가치를 선택하는 것 자체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했을 가능성이다. 어느 경우든 간에 보성소리 <수궁가>에 ‘노모 이별’ 대목이 부재하는 것은 국가와 개인의 관계에서 ‘충’을 중시한 전승자들의 입장이 반영된 결과이다. 또한 보성소리 <수궁가>에는 ‘아내 이별’ 대목에서 일정한 변이가 포착되는데, 이는 별주부의 아내를 ‘충신의 아내’이자 ‘열녀’로 그리기 위한 노력의 소산이다. 마지막으로 보성소리 <수궁가>에서는 ‘토끼 생포’라는 돌출적인 결말이 확인되는데, 이는 우선적으로는 “보국충성”을 강조하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다만, 별주부와 용왕을 속여 용궁을 능멸하고 달아났던 토끼는 결국 살아 도망가고, 무고한 노토(老兎) 한 마리가 용왕에게 간을 대신 내주게 된다는 설정은 보성소리에 토끼라는 존재가 왜 죽지 않고 마지막까지 살아남아야 하는가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보성소리의 미학적 지향을 ‘통속적 보수성’이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인데, 이는 시골마을에서 한정적인 관객만을 대상으로 삼았던 연행상황의 특이성과 더불어 보성소리의 전승자들이 지니고 있었던 우월감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수궁가>를 중심으로 보성소리의 미학적 특질과 그 유래를 밝히는 것이다. 보성소리 <수궁가>에는 ‘노모 이별’ 대목이 없는데,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가능성을 ...

      이 논문의 목적은 <수궁가>를 중심으로 보성소리의 미학적 특질과 그 유래를 밝히는 것이다.
      보성소리 <수궁가>에는 ‘노모 이별’ 대목이 없는데,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보성소리의 전승자들 사이에서 ‘충(忠)’과 ‘효(孝)’를 대립적 가치로 파악하지 않으려고 하는 움직임이 존재했을 가능성이다. 둘째, ‘충(忠)’과 ‘효(孝)’ 중에서 특정 가치를 선택하는 것 자체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했을 가능성이다. 어느 경우든 간에 보성소리 <수궁가>에 ‘노모 이별’ 대목이 부재하는 것은 국가와 개인의 관계에서 ‘충’을 중시한 전승자들의 입장이 반영된 결과이다. 또한 보성소리 <수궁가>에는 ‘아내 이별’ 대목에서 일정한 변이가 포착되는데, 이는 별주부의 아내를 ‘충신의 아내’이자 ‘열녀’로 그리기 위한 노력의 소산이다. 마지막으로 보성소리 <수궁가>에서는 ‘토끼 생포’라는 돌출적인 결말이 확인되는데, 이는 우선적으로는 “보국충성”을 강조하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다만, 별주부와 용왕을 속여 용궁을 능멸하고 달아났던 토끼는 결국 살아 도망가고, 무고한 노토(老兎) 한 마리가 용왕에게 간을 대신 내주게 된다는 설정은 보성소리에 토끼라는 존재가 왜 죽지 않고 마지막까지 살아남아야 하는가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보성소리의 미학적 지향을 ‘통속적 보수성’이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인데, 이는 시골마을에서 한정적인 관객만을 대상으로 삼았던 연행상황의 특이성과 더불어 보성소리의 전승자들이 지니고 있었던 우월감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동현, "한영대역 수궁가 바디별 전집 1-5" 신아출판사 2010

      2 최동현, "판소리와 국어국문학" 한국문화사 1995

      3 최동현, "판소리 동편제 연구" 태학사 1998

      4 김기형, "판소리 <적벽가> 조조의 형상적 특징과 의미" 우리문학회 (47) : 7-32, 2015

      5 최광석, "토끼전의 지평과 변이" 보고사 2010

      6 김진영, "토끼전 전집 1-6" 박이정 1997

      7 김동건, "토끼전 연구" 민속원 2003

      8 인권환, "토끼傳群 결말부의 변화양상과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14 : 1991

      9 인권환, "토끼傳⋅水宮歌 硏究"

      10 유영대, "장승상부인 대목의 첨가에 대하여" 판소리학회 5 : 1994

      1 최동현, "한영대역 수궁가 바디별 전집 1-5" 신아출판사 2010

      2 최동현, "판소리와 국어국문학" 한국문화사 1995

      3 최동현, "판소리 동편제 연구" 태학사 1998

      4 김기형, "판소리 <적벽가> 조조의 형상적 특징과 의미" 우리문학회 (47) : 7-32, 2015

      5 최광석, "토끼전의 지평과 변이" 보고사 2010

      6 김진영, "토끼전 전집 1-6" 박이정 1997

      7 김동건, "토끼전 연구" 민속원 2003

      8 인권환, "토끼傳群 결말부의 변화양상과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14 : 1991

      9 인권환, "토끼傳⋅水宮歌 硏究"

      10 유영대, "장승상부인 대목의 첨가에 대하여" 판소리학회 5 : 1994

      11 R. 니스벳, "에드먼드 버크와 보수주의" 문학과지성사 1997

      12 김동건, "수궁가 토끼전의 연변양상 연구" 보고사 2007

      13 최동현, "수궁가 연구" 민속원 2001

      14 정출헌, "봉건국가의 해체와 <토끼전>의 결말구조" 한국고전문학회 13 : 1998

      15 로버트 니스벳, "보수주의" 이후 2007

      16 정병헌, "보성소리의 판소리사적 위상" 판소리학회 (23) : 47-64, 2007

      17 최동현, "보성소리의 전개" 판소리학회 (21) : 23-44, 2006

      18 최혜진, "보성소리 정응민 명창론" 판소리학회 (21) : 77-99, 2006

      19 최동현, "동초 김연수의 생애와 판소리" 신아출판사 2013

      20 최동현, "김연수 완창 판소리 다섯 바탕 사설집" 민속원 2016

      21 김명곤, "광대열전" 도서출판 예문 1988

      22 유영대, "강산제 판소리와 정권진의 보성소리" 한국음악사학회 10 : 1993

      23 정충권, "<토끼전> 결말의 변이양상과 고소설의 존재 방식" 한국국어교육학회 (71) : 521-540, 2005

      24 서유경, "<수궁가> 구조의 의미 탐색" 판소리학회 (34) : 179-206,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