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효 동아리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Qualitative Research on Hyo Club Experience of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92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pose practical ways for diffusion of Hyo to explores the meaning and essence on experience of youth Hyo club b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nine youth who partic...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pose practical ways for diffusion of Hyo to explores the meaning and essence on experience of youth Hyo club b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nine youth who participate in Hyo clubs and evaluated their experience over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proced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87 meaning units, 25 sub-components, and 6 components: "selection freely that will help”, "hope to get out of fearful difficulty”, "awareness”, "forming a place to lean", "using to the mind gladly", "accepting the growth and limitations". Also,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youth Hyo club was "successful experience of Hongik based on the awareness and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plans to spread of Hyo against the youth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청소년의 효 동아리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여 효 확산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 효 동아리에 ...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청소년의 효 동아리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여 효 확산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 효 동아리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 9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현상학적 분석절차를 걸쳐 이들의 경험세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총 87개의 의미단위, 25개의 하위구성요소와 6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각 구성요소로는 <도움이 될 것 같아 거리낌 없이 선택함>, <두려운 부딪힘 속에서 벗어나고 싶음>, <알아차림>, <기댈 곳이 생김>, <기꺼이 마음 씀>, <성장과 한계를 받아들임>으로 드러났다. 또한, 청소년의 효 동아리 경험의 의미는 ‘자각과 지지가 기반이 된 홍익의 성공경험’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효 확산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상오, "효의 실천 방안 연구" 7 : 1-14, 2005

      2 박재간, "효문화 확산을 위한 사회정책" 16 : 7-41, 2000

      3 정구복, "효 실천 활동 중심의 학급운영을 통한 사람됨 교육" 2 : 1-38, 2003

      4 남병훈, "효 문화 대중화의 의미와 청소년 교정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13 : 63-84, 2008

      5 류한근, "효 교육의 체계론적 접근" 8 : 99-133, 2008

      6 노상오, "효 교육의 실태와 실천방안" 4 : 199-213, 2005

      7 윤현문, "효 관련 신문 프레임 분석을 통한 청소년 효 의식 고취 방안"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11

      8 최왕규, "한국인의 가정갈등과 효도관에 관한 연구" 5 : 223-264, 2007

      9 류한근, "초·중등 과정 학생의 효 정신 함양 방안" 13 : 65-91, 2012

      10 김효진, "청소년자원봉사동아리 활성화 및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청소년봉사동아리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2001

      1 노상오, "효의 실천 방안 연구" 7 : 1-14, 2005

      2 박재간, "효문화 확산을 위한 사회정책" 16 : 7-41, 2000

      3 정구복, "효 실천 활동 중심의 학급운영을 통한 사람됨 교육" 2 : 1-38, 2003

      4 남병훈, "효 문화 대중화의 의미와 청소년 교정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13 : 63-84, 2008

      5 류한근, "효 교육의 체계론적 접근" 8 : 99-133, 2008

      6 노상오, "효 교육의 실태와 실천방안" 4 : 199-213, 2005

      7 윤현문, "효 관련 신문 프레임 분석을 통한 청소년 효 의식 고취 방안"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11

      8 최왕규, "한국인의 가정갈등과 효도관에 관한 연구" 5 : 223-264, 2007

      9 류한근, "초·중등 과정 학생의 효 정신 함양 방안" 13 : 65-91, 2012

      10 김효진, "청소년자원봉사동아리 활성화 및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청소년봉사동아리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2001

      11 최준열, "청소년의 효에 관한 인식 조사 : 대구ㆍ경북의 중ㆍ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2003

      12 유은주, "청소년의 효 인식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22, 2012

      13 최영희, "청소년의 효 인식과 실천에 대한 탐색적 연구" 12 (12): 1-14, 2001

      14 하상규, "청소년의 도덕성 교육과 효의 본질" 97 : 114-120, 2001

      15 이인순, "청소년동아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7

      16 류철식, "청소년동아리활동의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청주대학교 2002

      17 김미연, "청소년기의 동아리학급경험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K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3 (33): 39-60, 2013

      18 이은경, "청소년과 교사의 청소년동아리활동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방안 연구" 32 : 99-123, 2012

      19 조아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21 : 71-91, 2009

      20 신경애, "청소년 시설의 동아리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2003

      21 최창욱, "청소년 동아리활동이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 (2): 57-76, 2005

      22 이주연, "청소년 동아리활동의 지속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수련시설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대학원 2010

      23 송수지, "청소년 동아리활동경험이 자아개념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121-147, 2012

      24 강충인, "청소년 동아리 활동이 나아갈 방향" 145 : 79-87, 2012

      25 김영호, "청소년 동아리 봉사활동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6 : 293-317, 2002

      26 조영미, "지역중심 청소년 동아리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2001

      27 김정주, "지역사회에서 청소년 동아리활동 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3

      28 이숙희, "중학생의 효 의식과 효행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159-170, 2005

      29 김홍빈, "자기 주도적 체험활동을 통한 효 실천의 생활화" 134 : 41-44, 2001

      30 유문상, "인성교육으로서의 효교육의 영역별 고찰"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2 (22): 215-246, 2003

      31 하정숙, "소집단활동에 의한 청소년 '효'교육 적용 방안 연구 : 스토리텔링기법을 중심으로"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5

      32 김종두, "새로운 패러다임의 효 교육: 효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명문당 2012

      33 노홍호, "기독교의 효 실천이 노인선교에 미치는 영향" 7 : 43-63, 2008

      34 조성남, "고령화 정보화 시대의 신 효문화 실천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4

      35 강효민, "고교생의 교내 동아리 여가활동과 사회적 적응 및 학교공동체의식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2 (42): 223-236, 2003

      36 Giorgi, A.,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28 (28): 235-261, 1985

      37 Feldman, A. F., "The role of school-bas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dolescent development : A comprehensive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75 : 159-210, 2005

      38 Gilman, R.,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social interest, and frequency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mong adolescent students" 30 (30): 749-767, 2001

      39 Schaefer, D. R., "The contribu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adolescent friendship : new insight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47 (47): 1141-1152, 2011

      40 Fredricks, J. A.,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years : Are there developmental benefits for Afric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youth?" 37 : 1029-1043, 2008

      41 Blomfield, C. J., "Developmental experiences dur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ustralian adolescents' self-concept : particularly important for youth from disadvantaged schools" 40 : 582-594,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