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없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03019
-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일본에 대한 외국인, 특히 이웃 동양 나라와 한국인의 불신이 어디에 뿌리를 두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일본에게는 근대 들어 동양과 태평양 지역을 침략한 과거가 있다. 그러...
이 논문은 일본에 대한 외국인, 특히 이웃 동양 나라와 한국인의 불신이 어디에 뿌리를 두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일본에게는 근대 들어 동양과 태평양 지역을 침략한 과거가 있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이에 대한 반성이나 사죄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 이를 정당화하거나 미화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이런 점이 이웃 나라들이 일본을 불신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면 왜 일본인들은, 예를 들어 독일인들과는 달리, 자신의 과거 행동에 대한 반성을 충분히 하지 못할까?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그 해답은 일본인들이 가진 의식구조, 더 크게 말하면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기본적인 관점이다.
이런 점은 기존의 일본인론에서 상당히 시사되고 있지만, 본격적으로 드러나지는 않는다. 외국과의 마찰이 일본인들의 사고 구조와 행태에서 비롯된다는 견해가 이른바 ‘일본 때리기’ 식의 일본인론에 많이 나타나지만, 그것은 주로 서양인의 관점에서 서양 사람들이 제기한 논점들이다. 비슷한 형태의 논의를 동양이나 한국에 적용해 보면 그러한 일본인들의 모습이 더 명확하고 적나라하게 드러날 수 있다. 왜냐하면 일본과의 갈등과 이로 인한 불신의 문제는 서양보다는 이웃 아시아 나라들에게서 훨씬 더 명확히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본의 문제를 ‘신뢰’나 ‘불신’이라는 개념을 통해 고찰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필자는 대표적인 일본인론 저술들을 검토하였으나, 신뢰와 불신의 측면에 관심을 둔 연구는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일본의 대외적인 신뢰-불신의 문제는 위기에 처한 ‘경제대국’이 새로운 도약을 하기 위해 반드시 풀어야 하는 숙제다. 동양의 평화를 위해서도 이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일본에 대한 이웃 나라의 불신의 뿌리가 어디 있는지, 또 일본이 그러한 불신을 딛고 이웃 나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를 고찰해야 한다. 이렇게 보면, 일본에 대한 외부의 불신을 기존의 일본인론이 충분히 다루고 있지 않은 것은 아쉬운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일본에 대한 외부의 불신이 일본인의 윤리 의식과 사회 문화 구조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이런 점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실은 일본인들의 집단주의적 폐쇄성이다. 일반적으로 일본인들은 섬나라에서 오랫동안 고립되어 살아왔기 때문에 대외적인 폐쇄성을 보이며, 이런 점이 외국과의 관계에서 불신과 갈등을 야기한다. 이러한 집단적 폐쇄성은 일본에 대한 외국의 불신을 야기하는 일반적인 문화적 요인이다.
그런데 특히 아시아 이웃나라들에 대한 일본의 태도와 그것이 야기하는 불신에는 집단적 폐쇄성이라는 일반 요인보다는 ‘상황 윤리’를 통한 자기 행동의 정당화가 더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 같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일본인의 집단적 폐쇄성이 대외적 불신의 문화적 바탕이 된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도, 이보다는 상황 윤리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그러한 상황 윤리가 특히 동양의 이웃나라에 관한 일본인들의 태도와 가치관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보고서의 원 출처는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의 신뢰연구 사이트(http://www.trust.or.kr/)으로 신뢰연구의 2단계 연구의 진행과정의 보고서로 사료된다. 자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상기 사이트를 ...
본 보고서의 원 출처는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의 신뢰연구 사이트(http://www.trust.or.kr/)으로 신뢰연구의 2단계 연구의 진행과정의 보고서로 사료된다. 자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상기 사이트를 참조하기 바란다.
국문 초록 (Abstract)
I. 머리말 II. 일본인의 의식 구조 1. 집단적 폐쇄성 2. 상황 윤리 3. 우월감-이중성 III. 일본의 자기 정당화 1. 상황 윤리(상황논리)의 예 - 과거침략, 종군 위안부, 난징사태,...
I. 머리말
II. 일본인의 의식 구조
1. 집단적 폐쇄성
2. 상황 윤리
3. 우월감-이중성
III. 일본의 자기 정당화
1. 상황 윤리(상황논리)의 예 - 과거침략, 종군 위안부, 난징사태, 혐한론
2. 우월감-이중성/ ‘시혜’의 예- 탈아론, 대동아공영론, 과거사 망언
3. 사죄의 의미
IV.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