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의 화뢰절편 배양시 온도 전처리와 배지의 종류 및 물리적 상태가 소포자 또는 체세포 유래의 캘러스 및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소포자 유래의 캘러스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무궁화의 화뢰절편 배양시 온도 전처리와 배지의 종류 및 물리적 상태가 소포자 또는 체세포 유래의 캘러스 및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소포자 유래의 캘러스는 ...
무궁화의 화뢰절편 배양시 온도 전처리와 배지의 종류 및 물리적 상태가 소포자 또는 체세포 유래의 캘러스 및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소포자 유래의 캘러스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배양후 2-3 주일이 되었을 때 화사 유래의 체세포성 캘러스와 배가 발생하였다. 캘러스의 발생은 고온처리나 무처리에 비해 저온처리시에 높았다. 생장조절제는 benzyladenine(BA)이나 2,4-dichloro-phenoxyacetic acid(2,4-D)의 단독 첨가보다는 1 mg/L BA와 0.1 mg/L 2,4-D를 혼합하여 첨가했을때 캘러스의 발생이 높았으며 BA 1 mg/L를 단독으로 첨가했을때 배가 발생하였다. 배지의 물리적 상태는 액체나 반고체 보다는 고체상태에서 캘러스의 발생이 높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temperature pretreatment, plant growth regulators, and physical condition of medium on callus induction in Hibiscus syriacus L. by culture of flower bud segment. Calluses and embryos were for...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temperature pretreatment, plant growth regulators, and physical condition of medium on callus induction in Hibiscus syriacus L. by culture of flower bud segment. Calluses and embryos were formed only from the surfaces of filament within 3-4 weeks after culture. The maximum frequency of callus formation was obtained at low temperature pretreatment. High temperature pretreatment did not enhanced callus induction. Optimal condition for induction of callus was found to be a medium containing a combination of BA(1mg/L) and 2,4-D(0.1mg/L) and for induction of embryo was to be a medium containing BA(1mg/L). Better results for callus induction were obtained when solid medium used rather than liquid or semi-solid medium.
Moving-vector Estimation for 3-D Motion Analysis of Dynamic Image
A Minimal Free Resolution of a Homogeneous Ideal of Codimension 3
Reactions of Trimethylplumbyl Compounds with Phenylisocyanate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Allenols by Hydride Addition to A Substituted Alkynyloxir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