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문학협동조합, "팽목항에서 불어오는 바람" 현실문화 2015
2 Sontag, Susan, "타인의 고통" 이후 2004
3 심재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고시(제2011-361호, ‘11.08.09)에 따른 초․중등학교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4 철학아카데미, "처음 읽는 독일 현대철학 : 맑스부터 호네트까지, 우리 눈으로 그린 철학 지도" 동녘 2013
5 김동환, "작가론과 소설 텍스트 읽기 전략" 한국독서학회 (25) : 9-34, 2011
6 Habermas, Jürgen, "의사소통행위 이론 1" 나남출판 2006
7 Badiou, Alain, "윤리학" 동문선 2011
8 고은,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실천문학 2014
9 이정민, "언어 과학이란 무엇인가" 문학과 지성사 1977
10 문성훈, "악셀 호네트와의 대담: 현대 비판의 세 가지 모델" 사회와 철학 연구회 (2) : 2001
1 인문학협동조합, "팽목항에서 불어오는 바람" 현실문화 2015
2 Sontag, Susan, "타인의 고통" 이후 2004
3 심재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고시(제2011-361호, ‘11.08.09)에 따른 초․중등학교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4 철학아카데미, "처음 읽는 독일 현대철학 : 맑스부터 호네트까지, 우리 눈으로 그린 철학 지도" 동녘 2013
5 김동환, "작가론과 소설 텍스트 읽기 전략" 한국독서학회 (25) : 9-34, 2011
6 Habermas, Jürgen, "의사소통행위 이론 1" 나남출판 2006
7 Badiou, Alain, "윤리학" 동문선 2011
8 고은,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실천문학 2014
9 이정민, "언어 과학이란 무엇인가" 문학과 지성사 1977
10 문성훈, "악셀 호네트와의 대담: 현대 비판의 세 가지 모델" 사회와 철학 연구회 (2) : 2001
11 이태경, "아바타와 세월호"
12 신형철, "시적인 것, 실재적인 것, 그리고 증상적인 것-황지우 시론의 비판적 검토" 30 (30): 2004
13 인디고 서원, "새로운 세대의 탄생" 궁리 2014
14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문학과지성사 1993
15 박완서, "박완서:문학의 뿌리를 말하다"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6 정재찬, "문학교육의 현상과 인식" 역락 2004
17 우한용, "문학교육의 윤리적 연관성에 대한 연구" 55 : 1997
18 우한용, "문학교육의 목표이자 내용으로서 문학능력의 개념, 교육 방향" 한국문학교육학회 (28) : 9-40, 2009
19 우한용, "문학교육과 작가론" 한국국어교육연구회 55 : 1986
20 김윤식, "문학" 천재교육 2014
21 김애란, "눈먼 자들의 국가" 문학동네 2014
22 "네이버 사전"
23 김윤식, "내가 읽은 박완서" 문학동네 2013
24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별책5)"
25 정현경, "결국은 아름다움이 우리를 구원할 거야: 현경 순례기 1" 열림원 2002
26 장윤선, "“일베의 ‘폭식투쟁’, 사람된 도리 아니다”-인터뷰① 강우일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
27 이병주, "‘태백산맥’을 넘어 ‘정글만리’에서 길을 잃다"
28 권혁웅, "1980년대 시의 알레고리 연구 -‘광주’의 시적 형상화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 (1): 257-276,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