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르메스 스카프에 나타난 다문화적 에스닉 스타일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60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이국적인 문화의 특성은 현대인의 일상생활에 혼용되어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은 새로운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태도로 발전한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패션 브랜드에서 이국적인 문화를 접목시킨 에스닉 스타일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으며 글로벌 명품 브랜드인 에르메스는 다문화를 수용하여, 에스닉 스타일을 다양한 아이템으로 표현하고 있다. 특히 다른 패션 브랜드와 차별화되는 특징은 다문화성을 까레 스카프라는 에르메스의 전통적인 아이템에 다문화적 독특한 양식의 역사성을 포착하여 시대별, 국가별로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에르메스 까레 스카프의 에스닉 표현의 빈도와 조형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에르메스가 추구하는 에스닉 스타일을 시대별로 비교, 분석하여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의 변화와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에르메스 브랜드와 까레 스카프를 다룬도서, 출판물, 기사, 관련 논문 등의 문헌조사와 인터넷을 이용한 네트워크 검색을 통한 분석 및 고찰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에는 에르메스 브랜드의 역사, 까레 스카프의 탄생, 다문화주의와 현대패션에서 보여진 에스닉 스타일,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에르메스까레 스카프에 주제로 나타난 국가를 빈도분석하고, 이에 따른 텍스타일 모티프의 특징과 조형 연구가 포함 되어 졌다. 역사와 전통의 상징적 브랜드인 에르메스는 다문화적 성격을 지닌 에스닉 스타일의 까레 스카프가 출시된 이후로 주제와 모티프, 구도, 색채 등이 그 문화의 상징적 형태와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시대별로 디자인의 변화와 발전을 모색해가고 있으며, 제 3세계의 문명, 문화의 사실적 사건, 인물, 유물, 은유적 표현 등으로 사실적 스토리를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에스닉 스타일에 혼용시켜 시대별로 변화하고 있으며 다문화적 특징의 빈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적 에스닉 스타일은 에르메스 까레 스카프가 가지고 있는 역사성과 전통성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로서 디자인의 가치를 상승시키고 있으며 현 시대의 다문화성의 특징을 가장 명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로써 다문화적 상징성을 나타내는 에스닉 스타일은 현 시대 양식의 다양화와 타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 브랜드의 디자인에도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영감과 표현 방법을 제공해 줄 것이며, 다양한 문화가 서로 교류하여 여러 분야에서 신선한 자극과 창조적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으로 예측한다.
      번역하기

      현대사회에서 이국적인 문화의 특성은 현대인의 일상생활에 혼용되어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은 새로운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태도로 발전한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패션 브랜드...

      현대사회에서 이국적인 문화의 특성은 현대인의 일상생활에 혼용되어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은 새로운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태도로 발전한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패션 브랜드에서 이국적인 문화를 접목시킨 에스닉 스타일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으며 글로벌 명품 브랜드인 에르메스는 다문화를 수용하여, 에스닉 스타일을 다양한 아이템으로 표현하고 있다. 특히 다른 패션 브랜드와 차별화되는 특징은 다문화성을 까레 스카프라는 에르메스의 전통적인 아이템에 다문화적 독특한 양식의 역사성을 포착하여 시대별, 국가별로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에르메스 까레 스카프의 에스닉 표현의 빈도와 조형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에르메스가 추구하는 에스닉 스타일을 시대별로 비교, 분석하여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의 변화와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에르메스 브랜드와 까레 스카프를 다룬도서, 출판물, 기사, 관련 논문 등의 문헌조사와 인터넷을 이용한 네트워크 검색을 통한 분석 및 고찰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에는 에르메스 브랜드의 역사, 까레 스카프의 탄생, 다문화주의와 현대패션에서 보여진 에스닉 스타일,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에르메스까레 스카프에 주제로 나타난 국가를 빈도분석하고, 이에 따른 텍스타일 모티프의 특징과 조형 연구가 포함 되어 졌다. 역사와 전통의 상징적 브랜드인 에르메스는 다문화적 성격을 지닌 에스닉 스타일의 까레 스카프가 출시된 이후로 주제와 모티프, 구도, 색채 등이 그 문화의 상징적 형태와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시대별로 디자인의 변화와 발전을 모색해가고 있으며, 제 3세계의 문명, 문화의 사실적 사건, 인물, 유물, 은유적 표현 등으로 사실적 스토리를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에스닉 스타일에 혼용시켜 시대별로 변화하고 있으며 다문화적 특징의 빈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적 에스닉 스타일은 에르메스 까레 스카프가 가지고 있는 역사성과 전통성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로서 디자인의 가치를 상승시키고 있으며 현 시대의 다문화성의 특징을 가장 명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로써 다문화적 상징성을 나타내는 에스닉 스타일은 현 시대 양식의 다양화와 타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 브랜드의 디자인에도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영감과 표현 방법을 제공해 줄 것이며, 다양한 문화가 서로 교류하여 여러 분야에서 신선한 자극과 창조적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으로 예측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oday`s society, the characteristics of exotic culture are mixed and appear our daily life. This phenomenon develops positive capacity for a brand new cultur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various fashion brands show ethnic style inspired exotic cultures. Hermes, which is a global luxury brand, accepts multiple cultures and expresses the style in various items. Especially, Hermes carre scarf shows ethnic style every season. Therefore, this research represents consideration and value of ethnic style that Hermes pursues by analyzing frequency of ethic express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 Methods of study are documentary survey such as books, publications, articles, theses about Hermes brand and carre scarf and related information search by using internet. In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present study, the frequency history of the Hermes brand, the birth of carre scarf, ethnic style shown in fashion and modern multiculturalism, the country that will open, on the theme of Hermes carre scarf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alyzes, studies of shaped accordingly were included. As this study`s result, Hermes, which is an iconic brand of history and tradition, expresses ethnic style by mixing cultural elements, and after the release of multicultural scarf carre ethnic style, Hermes continues to seek changes and developments based on main idea, motives, composition, and color that are related on one`s form of culture and narratives. Multicultural ethnic style is an identity of Hermes carre scarf, the brand that has historicity and legitimacy. It improved the value of design, and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 of multiculturalism. Therefore, as today`s diversification of style and interest in other culture increases, the ethnic style, which represents the multicultural symbol, will bring inspiration of creative ideas and the ways of expression to national design brands. Also, it is predictable that diversification of culture will exchange, so fresh stimulation and creative changes will appear in many areas.
      번역하기

      In today`s society, the characteristics of exotic culture are mixed and appear our daily life. This phenomenon develops positive capacity for a brand new cultur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various fashion brands show ethnic style inspired exotic c...

      In today`s society, the characteristics of exotic culture are mixed and appear our daily life. This phenomenon develops positive capacity for a brand new cultur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various fashion brands show ethnic style inspired exotic cultures. Hermes, which is a global luxury brand, accepts multiple cultures and expresses the style in various items. Especially, Hermes carre scarf shows ethnic style every season. Therefore, this research represents consideration and value of ethnic style that Hermes pursues by analyzing frequency of ethic express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 Methods of study are documentary survey such as books, publications, articles, theses about Hermes brand and carre scarf and related information search by using internet. In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present study, the frequency history of the Hermes brand, the birth of carre scarf, ethnic style shown in fashion and modern multiculturalism, the country that will open, on the theme of Hermes carre scarf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alyzes, studies of shaped accordingly were included. As this study`s result, Hermes, which is an iconic brand of history and tradition, expresses ethnic style by mixing cultural elements, and after the release of multicultural scarf carre ethnic style, Hermes continues to seek changes and developments based on main idea, motives, composition, and color that are related on one`s form of culture and narratives. Multicultural ethnic style is an identity of Hermes carre scarf, the brand that has historicity and legitimacy. It improved the value of design, and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 of multiculturalism. Therefore, as today`s diversification of style and interest in other culture increases, the ethnic style, which represents the multicultural symbol, will bring inspiration of creative ideas and the ways of expression to national design brands. Also, it is predictable that diversification of culture will exchange, so fresh stimulation and creative changes will appear in many area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세희, "현대패션에 나타난 북유럽풍 에스닉룩에 대한 고찰 : 2000년~2005년 컬렉션에 발표된 의상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2 강민지, "패션의 탄생-만화로 보는 패션 디자이너 히스토리" 루비박스 2011

      3 김민자, "패션디자인아이디어, 문화에서 찾기" 에피스테메 2011

      4 이재정, "패션 문화를 말하다. 패션으로 20세기문화 읽기" 예경 2011

      5 유연재, "에르메스(Hermès) 스카프에 나타난 프린팅문양 디자인의 표현특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6 조혜덕, "명품의 조건" 아트북스 2011

      7 고혜선, "메스티소의 나라들 : 중남미 문화의 이해"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9

      8 고은주,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예경 2009

      9 "http://www.pinterest.com/pin/23784704255965025"

      10 "http://www.luxuryvacationsource.com/2010/04/le-ca rre-hermes-book"

      1 유세희, "현대패션에 나타난 북유럽풍 에스닉룩에 대한 고찰 : 2000년~2005년 컬렉션에 발표된 의상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2 강민지, "패션의 탄생-만화로 보는 패션 디자이너 히스토리" 루비박스 2011

      3 김민자, "패션디자인아이디어, 문화에서 찾기" 에피스테메 2011

      4 이재정, "패션 문화를 말하다. 패션으로 20세기문화 읽기" 예경 2011

      5 유연재, "에르메스(Hermès) 스카프에 나타난 프린팅문양 디자인의 표현특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6 조혜덕, "명품의 조건" 아트북스 2011

      7 고혜선, "메스티소의 나라들 : 중남미 문화의 이해"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9

      8 고은주,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예경 2009

      9 "http://www.pinterest.com/pin/23784704255965025"

      10 "http://www.luxuryvacationsource.com/2010/04/le-ca rre-hermes-book"

      11 "http://www.instantluxe.com/accessoires/echarpe/her mes/la-femme-semelles-vent-noir-tissu-femme-A23798"

      12 "http://www.hermes.com"

      13 "http://www.hani.co.kr"

      14 "http://www.google.co.kr"

      15 "http://www.etromilano.co.k"

      16 "http://www.emiliopucci.com"

      17 "http://www.cityist.com/blog/crave-hermes-kachinas -140cm-scarf"

      18 "http://www.bluefly.com/Hermes-orange-Colour-Ma sala-silk-scarf"

      19 "http://sunday.joins.com/article/2011.12.04"

      20 "http://style101magazine.blogspot.kr/2010_07_01_archi ve.html"

      21 "http://plushpalate.blogspot.kr/2008/12/indian-winter. html"

      22 "http://jewelry.ha.com/c/item.zx?saleNo=251329&lotId No=1001"

      23 Nadine Coleno, "The Hermes Scarf : History & Mystique" Thames & Hudson 2010

      24 Owen Jones, "The Grammar of Ornament : a Unique Collection of Over 2, 350 Classic Patterns Included" Art Stock 2002

      25 "Fashion Journal, Every Scarf Has a Story At Hermès, Artists From All Ov er Design the Silks; Cane Inspiration"

      26 제르다 북스바움, "20세기 패션아이콘" 미술문화 2009

      27 김지희, "(하늘을 마주하고)잉카 문명 위에 서다" 즐거운상상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