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태곤, "한국의 산촌민속 2 - 노적산 편" 교문사 1995
2 김태곤, "한국의 산촌민속 1 - 치악산 편" 교문사 1995
3 김홍대, "한국의 산삼" 김영사 2006
4 김종대, "한국의 산간신앙 - 강원도, 경기도편" 민속원 1996
5 "조선왕조실록"
6 정광수, "임업통계연보(2010) 40" 산림청 2010
7 이만철, "인제영약산삼가업민속사연구" 인제문화원 1997
8 박명규, "우리의 산촌 - 산속마을의 새로운 진로" 일신사 1993
9 김종호, "우리나라의 산촌지역 구분조사" 임업연구원 1997
10 안상경, "압록강 유역 설화의 지역적 특수성 연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5) : 157-188, 2014
1 김태곤, "한국의 산촌민속 2 - 노적산 편" 교문사 1995
2 김태곤, "한국의 산촌민속 1 - 치악산 편" 교문사 1995
3 김홍대, "한국의 산삼" 김영사 2006
4 김종대, "한국의 산간신앙 - 강원도, 경기도편" 민속원 1996
5 "조선왕조실록"
6 정광수, "임업통계연보(2010) 40" 산림청 2010
7 이만철, "인제영약산삼가업민속사연구" 인제문화원 1997
8 박명규, "우리의 산촌 - 산속마을의 새로운 진로" 일신사 1993
9 김종호, "우리나라의 산촌지역 구분조사" 임업연구원 1997
10 안상경, "압록강 유역 설화의 지역적 특수성 연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15) : 157-188, 2014
11 연호택, "심메마니 은어의 연구 2 - 오대산 지역과 설악산 지역 은어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21 : 1993
12 연호택, "심메마니 은어의 연구 - 오대산 지역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20 : 79-93, 1992
13 최범훈, "심마니隱語 硏究" 한국문학연구소 (6) : 95-128, 1984
14 정성미, "심마니 한지장 광부" 2009
15 장정룡, "설악산 심메마니 연구" 속초문화원 172-197, 1992
16 "삼국사기"
17 국립민속박물관, "산촌" 동광인쇄 2003
18 Kwon Ki-Rok, "산삼(山蔘)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대한약침학회 6 (6): 67-75, 2003
19 최정호, "산과 한국인의 삶" 나남출판 1993
20 김광언, "산과 심마니" 국립민속박물관 87 : 2002
21 국립문화재연구소, "산간신앙 3 - 전북, 전남, 제주 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22 국립문화재연구소, "산간신앙 2 - 경북, 경남 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23 국립문화재연구소, "산간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1993
24 최승순, "민속학: 강원도지방 채삼인습속" 대구한의대학교제한동의학술원 1 : 79-153, 1976
25 김의숙, "민속신앙부문" 강원대학교강원문화연구소 10 : 133-161, 1990
26 최승순, "강원도지방 채삼인습속" 한국민속학회 8 : 46-59, 1975
27 최승순, "강원도산찰연구 - 봉정산제를 중심으로" 강원문화연구소 8 : 29-47, 1988
28 문광균, "18세기 江界지역 貢蔘制의 운영과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57) : 161-206,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