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에서 인삼의 약 배양을 통한 배 형성과 식물체의 재분화가 확인되었다. 인삼의 약 배양에서 캘러스 유도에 적합한 기본 배지는 MS 배지였고 sucrose 농도는 3%였으며, 배 형성에 적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52971
이정우 ; 방경환 ; 김동휘 ; 김장욱 ; 김영창 ; 조익현 ; Jung-Woo Lee ; Kyong-Hwan Bang ; Dong-Hwi Kim ; Jang-Uk Kim ; Young-Chang Kim ; Ick-Hyun Jo
2023
Korean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19-26(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번 연구에서 인삼의 약 배양을 통한 배 형성과 식물체의 재분화가 확인되었다. 인삼의 약 배양에서 캘러스 유도에 적합한 기본 배지는 MS 배지였고 sucrose 농도는 3%였으며, 배 형성에 적합...
이번 연구에서 인삼의 약 배양을 통한 배 형성과 식물체의 재분화가 확인되었다. 인삼의 약 배양에서 캘러스 유도에 적합한 기본 배지는 MS 배지였고 sucrose 농도는 3%였으며, 배 형성에 적합한 호르몬 농도는 2,4-D 1.0 mg/L 또는 3.0 mg/L이었다. 저온 전처리에 의한 인삼 약 배양의 캘러스 유도와 배 형성의 효율성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인삼의 품종별 약 배양의 효율성을 검정한 결과, 청선 품종의 배 형성률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선운 품종은 배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약 배양으로 유도된 캘러스의 배수성을 검정한 결과, 반수체 캘러스가 확인되었지만 이 캘러스에서 배는 형성되지 않았다. 약 배양 유래의 배를 발아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정상적으로 식물체가 재분화 하였으며, 이 식물체의 배수성을 검정한 결과, 모두 2배체로 확인되었다. 추후 DNA 마커를 이용한 약 배양 유래 식물체의 동형접합성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인삼 약 배양을 통하여 동형접합성 식물체를 생산할 수 있다면 인삼 육종 효율성을 증진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Meyer)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plant because of it is rich in saponins. It is mainly cultivated in Asia, including Korea and China. Since ginseng requires a long breeding period due to juvenility, homozygote producti...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Meyer)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plant because of it is rich in saponins. It is mainly cultivated in Asia, including Korea and China. Since ginseng requires a long breeding period due to juvenility, homozygote production techniques, such as anther culture, must be urgently established. In the present study, callus induction and embryogenesis through anther culture were observed in P. ginseng. Murashige and Skoog medium was used as the basal medium suitable for callus induction. When the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3% sucrose, the callus induction rate was high and the callus size was large. Cold pre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allus induction and embryogenesis. Embryogenesis was the most efficient when the embryo-formation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1.0 or 3.0 mg/L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Cultivar significantly affected anther culture efficiency. Specifically, 'Cheongseon' showed the highest embryo-formation efficiency, whereas no embryogenesis occurred in 'Sunun'. Ploidy assessment revealed the haploid status of the induced calli. Embryos derived from anther culture formed shoots upon transfer to germination medium, although no difference in ploidy was noted between the induced callus and control. Overall, the anther culture conditions established in the present study may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homozygous P. ginseng plants in the future.
큐어링 후 저장에 따른 고구마 저장뿌리 단백질체의 비교분석
Somatic embryogenesis induction in four cassava landraces in East Java, Indonesia
인삼 약 배양을 통한 배 발생과 식물 재분화 및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한 배수성 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