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보장급여법」에 의해 시행되는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운영현황을 검토함을 통해 협의체 구성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읍...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90121
2016
-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 전달체계 ; 민관협력
300
학술저널
352-378(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보장급여법」에 의해 시행되는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운영현황을 검토함을 통해 협의체 구성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읍...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보장급여법」에 의해 시행되는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운영현황을 검토함을 통해 협의체 구성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읍면동 협의체 설계 과정에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분석의 대상은 경기도 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읍면동 단위의 인적안정망이며 3가지 주요 기능을 가진다. 첫째, 민간자원연계, 둘째, 지역특화사업수행, 셋째, 사례관리지원 등으로 기능을 유형화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읍면동 협의체 모형의 핵심적 구성요인으로는 자원관리를 위한 인프라, 자원연계의 수준, 협의체 위원의 구성, 협의체의 사업 등이 핵심적 구성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한편, 향후 읍면동 협의체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시군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의 협력, 주민센터 사례관리 업무와의 연계, 자원관리 기관과의 협력, 읍면동별 균형발전을 위한 대안모색, 주민자치위원회와의 차별성에 대한 인식 등을 제시하였다.
노후소득보장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맞춤형 정책방향 -노후준비 서비스 활용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