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는 어떻게 광고가 되는가? -중국 고전시의 문학 콘텐츠 활용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03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究對象是李商隱以美人?花鳥爲素材的詩, ?究目的是將作品進行歸類分析, 爭取使之成爲在今後文化內容産業中廣泛使用的故事題材。如今, 韓國的文化內容産業經曆了突飛猛進地成長。進入新千年, 以電視劇?流行歌曲爲中心的韓流正在不斷向前發展, 在這種情況下, 隨著對古典故事的關心不斷增加, 人們開始探索文化原型的故事和形象。?且, 目前已經完成了大部分的探索目標。然而, 回顧這些成果, “講故事”和內容的評論大多都是以韓國古典文化(包括文學??食?服飾?舞蹈等)爲主, 幾乎沒有以海外作品爲對象進行評論的例子。筆者認爲, 在以古典作品爲素材的“講故事評論”中沒有必要介入“民族主義”的目光。爲了今後不斷的文化交流, 反而有必要?棄?調本國文化純粹性的文化利己主義態度, 應持著壹種有助于文化交流可持續發展的態度。因此, 筆者認爲在“講故事”評論中, 應該關注中韓日三國的關系, 至少有必要靈活接受和美化東亞三國國內的古典內容。以此爲由, 筆者開始關注中國古典故事, 在此, 選擇了李商隱的詩。
      번역하기

      本?究對象是李商隱以美人?花鳥爲素材的詩, ?究目的是將作品進行歸類分析, 爭取使之成爲在今後文化內容産業中廣泛使用的故事題材。如今, 韓國的文化內容産業經曆了突飛猛進地成長。進...

      本?究對象是李商隱以美人?花鳥爲素材的詩, ?究目的是將作品進行歸類分析, 爭取使之成爲在今後文化內容産業中廣泛使用的故事題材。如今, 韓國的文化內容産業經曆了突飛猛進地成長。進入新千年, 以電視劇?流行歌曲爲中心的韓流正在不斷向前發展, 在這種情況下, 隨著對古典故事的關心不斷增加, 人們開始探索文化原型的故事和形象。?且, 目前已經完成了大部分的探索目標。然而, 回顧這些成果, “講故事”和內容的評論大多都是以韓國古典文化(包括文學??食?服飾?舞蹈等)爲主, 幾乎沒有以海外作品爲對象進行評論的例子。筆者認爲, 在以古典作品爲素材的“講故事評論”中沒有必要介入“民族主義”的目光。爲了今後不斷的文化交流, 反而有必要?棄?調本國文化純粹性的文化利己主義態度, 應持著壹種有助于文化交流可持續發展的態度。因此, 筆者認爲在“講故事”評論中, 應該關注中韓日三國的關系, 至少有必要靈活接受和美化東亞三國國內的古典內容。以此爲由, 筆者開始關注中國古典故事, 在此, 選擇了李商隱的詩。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劉學鍇, "李商隱詩選" 人民文學出版社 1993

      2 董乃斌, "李商隱的心靈世界" 上海古籍出版社 1992

      3 백시명, "한방화장품의 디자인 요소별 선호도와 고객 만족, 브랜드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중국인 고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4 박경하, "한국의 문화원형콘텐츠 개발현황과 과제" 인문콘텐츠 학회 (3) : 2004

      5 안창현, "한국 문화콘텐츠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 인문콘텐츠학회 (17) : 475-497, 2010

      6 박영우, "창작소재의 콘텐츠 활성화 방안- <구미호> 설화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0) : 121-146, 2011

      7 송진영, "중국의 문화산업정책과 문화원형 콘텐츠 개발" (3) : 2004

      8 최형욱, "중국어권의 고전문학 관련 웹 콘텐츠 현황과 그 시사점" 한국언어문화학회 (32) : 245-276, 2007

      9 모자비,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한류 화장품 광고의 조형적 특성화 연구 : 중국 여성잡지 광고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10 정성미, "중국 내 수입 화장품 브랜드 네임의 효과적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 중국 진출을 위한 여성 화장품 해외 기업의 중문 브랜드 네임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1 劉學鍇, "李商隱詩選" 人民文學出版社 1993

      2 董乃斌, "李商隱的心靈世界" 上海古籍出版社 1992

      3 백시명, "한방화장품의 디자인 요소별 선호도와 고객 만족, 브랜드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중국인 고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4 박경하, "한국의 문화원형콘텐츠 개발현황과 과제" 인문콘텐츠 학회 (3) : 2004

      5 안창현, "한국 문화콘텐츠산업 중국시장 진출 전략" 인문콘텐츠학회 (17) : 475-497, 2010

      6 박영우, "창작소재의 콘텐츠 활성화 방안- <구미호> 설화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0) : 121-146, 2011

      7 송진영, "중국의 문화산업정책과 문화원형 콘텐츠 개발" (3) : 2004

      8 최형욱, "중국어권의 고전문학 관련 웹 콘텐츠 현황과 그 시사점" 한국언어문화학회 (32) : 245-276, 2007

      9 모자비,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한류 화장품 광고의 조형적 특성화 연구 : 중국 여성잡지 광고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10 정성미, "중국 내 수입 화장품 브랜드 네임의 효과적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 중국 진출을 위한 여성 화장품 해외 기업의 중문 브랜드 네임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11 박웅현,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알마 2009

      12 김유미, "원작 시와 뮤지컬의 상관관계 연구 : 뮤지컬 《귀천》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13 정끝별, "영화에서 상상력을 베끼는 시인들을 믿느냐, In 천 개의 혀를 가진 시의 언어" 하늘연못 1999

      14 전동균, "시의 기법을 활용한 광고 표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15 김용희, "시와 영화, In 시를 어떻게 만날 것인가?" 작가출판사 2005

      16 손진은, "시와 영상예술의 상호관련성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08

      17 이희복, "미디어 빅뱅과 광고문화" 한울 2009

      18 이명현,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소재로서 고전서사의 가치" 우리문학회 (25) : 95-124, 2008

      19 최혜실, "동아시아 공동체와 스토리텔링" 한국중국소설학회 (32) : 447-467, 2010

      20 안은희, "광고 텍스트를 통한 시적 발상과 표현 교육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1 박근영, "광고 매체를 활용한 시 교육 방안 연구 :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2 장소정, "공작동남비 콘텐츠 개발 연구 : 뮤지컬 각색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1

      23 정창권, "고전을 활용한 광고 콘텐츠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14) : 7-26, 2009

      24 함복희,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 중앙어문학회 (46) : 91-120, 2011

      25 김만식, "고전 텍스트 기반의 문화콘텐츠 개발방안 모색 — 김진의 <바람의 나라>를 중심으로" 10 (10): 2002

      26 潘娜, "论诗歌化的语言在廣告文案中的应用" 2010

      27 趙冬梅, "論古代的廣告詩" 2012

      28 梁笑梅, "當代中国廣告传播策略中的诗语诉求" (1) : 2011

      29 沈艾娥, "李白文化产业发展现状與策略分析" 2011

      30 周惠斌, "文人乐写廣告詩"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2-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 Literature ->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 Literatur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2 0.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