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영규, "영미법상의 공동불법행위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21) : 393-441, 2012
2 정소민, "사용자책임에 관한 미국 판례의 동향" 법학연구소 38 (38): 33-52, 2014
3 조규창, "비교법(상)" 소화 2005
4 고세일, "불법행위의 예견가능성과 손해배상범위에 대한 연구 – 민법 제763조의 준용에 따른 민법 제393조의 해석문제 –" 한국민사법학회 66 : 137-183, 2014
5 법무부, "민법(재산편) 개정 자료집"
6 김상중, "민법 제763조에 의한 채무불이행 책임규정의 불법행위 책임에의 준용의 입법적 타당성" 한국민사법학회 62 : 179-227, 2013
7 구재군, "민법 제760조의 개정안에 대한 검토의견" 한양법학회 23 (23): 173-192, 2012
8 고세일, "미국의 민사배심에 대한 연구 - 불법행위 보통법전집의 규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62) : 157-191, 2011
9 김희철, "미국법상 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제한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10.1.28. 선고 2007다16007 판례를 중심으로-" 한국상사판례학회 24 (24): 221-247, 2011
10 권영준, "미국법상 공동불법행위자 상호간 구상관계" 한국민사법학회 64 : 323-362, 2013
1 박영규, "영미법상의 공동불법행위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21) : 393-441, 2012
2 정소민, "사용자책임에 관한 미국 판례의 동향" 법학연구소 38 (38): 33-52, 2014
3 조규창, "비교법(상)" 소화 2005
4 고세일, "불법행위의 예견가능성과 손해배상범위에 대한 연구 – 민법 제763조의 준용에 따른 민법 제393조의 해석문제 –" 한국민사법학회 66 : 137-183, 2014
5 법무부, "민법(재산편) 개정 자료집"
6 김상중, "민법 제763조에 의한 채무불이행 책임규정의 불법행위 책임에의 준용의 입법적 타당성" 한국민사법학회 62 : 179-227, 2013
7 구재군, "민법 제760조의 개정안에 대한 검토의견" 한양법학회 23 (23): 173-192, 2012
8 고세일, "미국의 민사배심에 대한 연구 - 불법행위 보통법전집의 규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62) : 157-191, 2011
9 김희철, "미국법상 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제한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10.1.28. 선고 2007다16007 판례를 중심으로-" 한국상사판례학회 24 (24): 221-247, 2011
10 권영준, "미국법상 공동불법행위자 상호간 구상관계" 한국민사법학회 64 : 323-362, 2013
11 가정준, "미국법상 共同多數責任 - 우리나라의 공동불법행위책임과 관련하여 -" 한국비교사법학회 19 (19): 911-940, 2012
12 김영희, "미국 불법행위법의 기본 구조에 관한 연구 - 불법행위의 유형과 성립요건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1 (21): 35-81, 2011
13 고세일, "미국 불법행위법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연구 - 보통법전집의 ‘과실’을 중심으로 -" 한국민사법학회 59 : 87-138, 2012
14 장준혁, "미국 불법행위법상의 기여과실 - 기여과실론으로부터 비교과실론으로의 발달 -" 한국민사법학회 66 : 315-361, 2014
15 김영희, "미국 불법행위법상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한 일반론적 고찰" 한국민사법학회 66 : 185-238, 2014
16 고세일, "미국 과실불법행위와 인과관계 - 불법행위 보통법전집 제2판의 과실 규정을 중심으로 -" 안암법학회 (42) : 169-204, 2013
17 고세일, "대륙법에서 징벌적 손해배상 논의- 민법의 관점에서 -" 법조협회 63 (63): 142-190, 2014
18 김제완, "대규모 집회·시위 참가자의 공동불법행위책임에 관한 연구 - 민법 제760조와 부진정연대책임론에 대한 재검토" 법학연구원 (61) : 281-321, 2011
19 정태윤, "공동불법행위의 성립요건과 과실에 의한 방조 – 대법원 2000. 4. 11. 선고 99다4179 판결(공2000상, 1172)" (20) : 2001
20 김상중, "공동불법행위에 관한 현행 민법 제760조의 개정 방향과 내용 * - 2011년 제3기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의 논의와 확정 개정안 -" 한국민사법학회 60 (60): 317-352, 2012
21 이동진, "공동불법행위, 구상, 과실상계의 경제적 분석" 한국법경제학회 9 (9): 71-96, 2012
22 W.V.H. Rogers, "Unification of Tort Law: Multiple Tortfeasors" Kluwer Law International 2004
23 Dan B. Dobbs, "The Law of Torts – Practitioner Treatise Series" West 2011
24 Kenneth S. Abraham, "The Forms and Functions of Tort Law" Foundation Press 2012
25 David W. Robertson, "The Common Sense of Cause in Fact" 75 : 1997
26 American Law Institute, "Restatement of the Law (Third) Torts Liability for Physical and Emotional Harm"
27 American Law Institute, "Restatement of the Law (Third) Torts Apportionment of Liability"
28 American Law Institute, "Restatement of the Law (Second) Torts" American Law Institute Publishers 1979
29 W. Page Keeton, "Proser and Keeton on the Law of Torts" West 1984
30 European Group on Tort Law, "Principles of European Tort Law - Text and Commentary" Springer 2005
31 Neil Vidmar, "American Juries" Prometheus Books 2007
32 법무부, "2013년 법무부 민법개정시안 채권편 하"
33 박영규, "'부진정 연대채무' 이론 비판" 한국민사법학회 (48) : 283-309,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