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근대 시기 영남의 성리학자인 省窩李寅梓의 성리학적 입장을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인재는 그의 문집 속에 들어 있는 논설들, 다른 성리학자들과 주고받은 편지 등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90181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1-234(6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근대 시기 영남의 성리학자인 省窩李寅梓의 성리학적 입장을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인재는 그의 문집 속에 들어 있는 논설들, 다른 성리학자들과 주고받은 편지 등을 ...
본 논문은 근대 시기 영남의 성리학자인 省窩李寅梓의 성리학적 입장을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인재는 그의 문집 속에 들어 있는 논설들, 다른 성리학자들과 주고받은 편지 등을 통해서 여러 가지 성리학적 주제들과 관련된 자신의입장을 피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古代希臘哲學攷辨을 중심으로 이인재의성리사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 저술에서 이인재는 성리학을 진리의 표준으로 삼아서 서양고대철학을 분석하고 비판, 평가하였기 때문에 오히려 성리학에 대한 그의 입장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이인재는 기본적으로 성리사상과 관련해서 朱熹와 李滉의 학설을 찬성할 뿐만 아니라 그 연장선상에 있는 李震相-郭鍾錫으로 이어지는 寒洲學派의 主理的입장을 계승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성리사상과 관련해서 이인재가 이론을 위한 이론 즉 단순히 논변 위주로만 진행되는 성리학계의 학문적 풍토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구체적인 실천을 강조한 것은 시대적 상황과관련해 볼 때 주목할 만한 점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朱熹, "論語集註"
2 정의채, "형이상학" 성바오로출판사 1982
3 김종석, "퇴계학의 이해" 일송미디어 2001
4 武內義雄, "중국사상사" 여강출판사 1987
5 한국사상사연구회,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
6 김종석, "성와 이인재의 유교개혁사상" 퇴계연구소 (43) : 133-159, 2008
7 김종석, "성와 이인재의 서구수용론과 신학에의 관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6 : 45-67, 1999
8 이현구, "동서윤리론의 기저 비교와 융합 가능성 모색-성와 이인재의 『희랍고대철학고변』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489-509, 2008
9 김종석, "韓末嶺南儒學者들의 新學수용 자세, In 韓末嶺南儒學界의 동향"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89-352, 1998
10 民族文化硏究所, "韓末嶺南儒學界의 동향" 영남대학교출판부 1998
1 朱熹, "論語集註"
2 정의채, "형이상학" 성바오로출판사 1982
3 김종석, "퇴계학의 이해" 일송미디어 2001
4 武內義雄, "중국사상사" 여강출판사 1987
5 한국사상사연구회,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
6 김종석, "성와 이인재의 유교개혁사상" 퇴계연구소 (43) : 133-159, 2008
7 김종석, "성와 이인재의 서구수용론과 신학에의 관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6 : 45-67, 1999
8 이현구, "동서윤리론의 기저 비교와 융합 가능성 모색-성와 이인재의 『희랍고대철학고변』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489-509, 2008
9 김종석, "韓末嶺南儒學者들의 新學수용 자세, In 韓末嶺南儒學界의 동향"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89-352, 1998
10 民族文化硏究所, "韓末嶺南儒學界의 동향" 영남대학교출판부 1998
11 박종홍, "韓國思想史論攷- 儒學篇" 서문당 1986
12 박종천, "退溪書分類索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13 금장태, "退溪學派와 理哲學의 전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4 李滉, "聖學十圖"
15 李寅梓, "省窩文集" 亞細亞文化社 1978
16 班固, "漢書"
17 張載, "正蒙"
18 朱熹, "朱子語類"
19 朱熹, "朱子大全"
20 河謙鎭, "晦峯先生遺書"
21 熊月之, "從晩淸“哲學”譯名確立過程看東亞人文特色" 上海社會科學院 (7) : 138-145, 2011
22 李震相, "寒洲集"
23 朱熹, "孟子集註"
24 周惇頤, "太極圖說"
25 朱熹, "大學或問"
26 "周易"
27 금장태, "儒學近百年" 博英社 1986
28 郭鍾錫, "俛宇集"
29 程顥, "二程全書"
30 朱熹, "中庸章句"
31 송찬식, "『省窩文集』 解題, In 省窩集" 亞細亞文化社 5-15, 1978
32 김종석, "19ㆍ20세기 초 영남 퇴계학파의 사상적 대응에 관한 철학적 고찰" 새한철학회 20 : 21-46, 2000
퇴계(退溪)의 서원향사례정초(書院享祀禮定礎)에 대한 고찰(考察) - 백운동서원향사례(白雲洞書院享祀禮)수정을 중심으로 -
이황서한(李滉書翰)을 통해본 명종대서원(明宗代書院)의 창설(創設)과 운영(運營)
『심원록(尋院錄)』을 통해 본 18세기 전반 도산서원(陶山書院)의 방문과 그 의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7-01-23 | 통합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2-2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퇴계학과 한국문화 -> 퇴계학과 유교문화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8-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퇴계학과 학국문화 -> 퇴계학과 한국문화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