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일계인이라 일컫는 일계 브라질인들의 일본으로의 귀환이주가 대규모로 이루어진 사실에 주목하여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의 브라질 커뮤니티에 대한 시론적 성격의 연구를 진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일계인이라 일컫는 일계 브라질인들의 일본으로의 귀환이주가 대규모로 이루어진 사실에 주목하여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의 브라질 커뮤니티에 대한 시론적 성격의 연구를 진행...
본 논문은 일계인이라 일컫는 일계 브라질인들의 일본으로의 귀환이주가 대규모로 이루어진 사실에 주목하여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의 브라질 커뮤니티에 대한 시론적 성격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광범위한 문헌검토를 진행하였으며, 보다 심층적 분석을 위해 2023년 2월 2일부터 9일까지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에서는 6명의 전문가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정보를 분석하여 하마마쓰 내 일계 브라질인들의 정착 배경, 과정 및 주요 특성과 현황에 대해 추적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했다. 1980년대 봉착한 브라질의 경제적․정치사회적 위기와 1990년 일본의 출입국 관리 및 난민인정법 개정이 맞물리는 동학 속에서 일계 브라질인들의 귀환이주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하마마쓰의 경우 2023년 1월 기준 약 9,648명의 브라질인들이 체류 및 거주하고 있으며, 하마마쓰가 보유한 풍부한 제조업 관련 공장에서 늘어나는 노동력 수요가 많은 일계 브라질인들의 유입을 견인했다. 중앙정부가 중심이 되어 다문화정책을 구현중인 우리나라와는 달리, 일본은 각 지방정부가 주요 수행주체가 되어 지역맞춤형 다문화정책 및 제도가 완비되어 있다. 하마마쓰도 마찬가지로 하마마쓰 시청과 하마마쓰 다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일계 브라질인들뿐만 아니라 시 거주 외국인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하마마쓰 차원에서의 브라질인에 대한 우호적인 환경 조성은 더욱 많은 수의 브라질인들의 유입이라는 선순환적 구조로 귀결되었으며, 이는 하마마쓰가 오늘날 여전히 일본에서 가장 많은 브라질인이 살고 있는 도시이자 브라질인들이 가장 살기 쉬운 도시로 손꼽히게 된 결정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호윤, "초기 하와이 포르투갈인 이민(1878-1913)의 배경과 요인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609-624, 2021
2 외교부, "재외동포현황 2021" 외교부 재외동포영사기획관실 재외동포과
3 조영채, "일본의 다문화정책 : ‘공생’하는 사회" 아시안타임즈
4 임영언 ; 김재기, "일계인(日系人)디아스포라의 귀환과 브라질타운형성에 관한 연구: 군마겐 오이즈미초 일계브라질인타운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6 (16): 267-291, 2011
5 임영언 ; 김태영,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한국일본문화학회 (66) : 273-296, 2015
6 임영언, "일계브라질인(日系人) 디아스포라의 이주와 환류현상 고찰" 국제문화연구원 3 (3): 169-190, 2010
7 이상림, "이주와 인구: 인구학적 관점의 설명" IOM이민정책연구원 2011
8 안성주, "브라질에 일본계 이민자들이 많은 이유" 아시아투데이
9 박신규, "두 재외한인의 삶을 통해 본 귀환이주의 특징분석 - 사할린 한인 S와 중남미 한인 P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14) : 151-173, 2019
10 Castles, Stephen, "The Age of Migration" Guilford Press 1998
1 정호윤, "초기 하와이 포르투갈인 이민(1878-1913)의 배경과 요인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609-624, 2021
2 외교부, "재외동포현황 2021" 외교부 재외동포영사기획관실 재외동포과
3 조영채, "일본의 다문화정책 : ‘공생’하는 사회" 아시안타임즈
4 임영언 ; 김재기, "일계인(日系人)디아스포라의 귀환과 브라질타운형성에 관한 연구: 군마겐 오이즈미초 일계브라질인타운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6 (16): 267-291, 2011
5 임영언 ; 김태영,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한국일본문화학회 (66) : 273-296, 2015
6 임영언, "일계브라질인(日系人) 디아스포라의 이주와 환류현상 고찰" 국제문화연구원 3 (3): 169-190, 2010
7 이상림, "이주와 인구: 인구학적 관점의 설명" IOM이민정책연구원 2011
8 안성주, "브라질에 일본계 이민자들이 많은 이유" 아시아투데이
9 박신규, "두 재외한인의 삶을 통해 본 귀환이주의 특징분석 - 사할린 한인 S와 중남미 한인 P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14) : 151-173, 2019
10 Castles, Stephen, "The Age of Migration" Guilford Press 1998
11 일본 출입국 재류관리청, "Statistics of Foreign Residents"
12 일본 출입국 재류관리청, "Statistics"
13 Gmelch, Goerge, "Return Migration" 9 : 135-159, 1980
14 Kadia, Miriam, "Repatriation But Not Return: A Japanese Brazilian Dekasegi Goes Back to Brazil" 13 (13): 1-14, 2015
15 Carling, Jørgen, "Possibilities and Realities of Return Migration"
16 Hamamatsu Intercultural Center, "Number of foreign residents"
17 Tsuda, Takeyuki, "No Place to Call Home: Japanese Brazilians Discover They Are Foreigners in the Country of Their Ancestors" 113 (113): 50-55, 2004
18 Samers, Michael, "Migration" Routledge 2009
19 Calazans, Erika, "Life as Dekkasseguis: The Brazilian Community in Japan" 58 : 2009
20 Nakashima, Daniele Arantes, "Japanese Brazilians in Hamamatsu City: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Second Generation" Universitat Bremen 2017
21 일본 외무성, "Japan-Brazil Relations"
22 Hamamatsu Intercultural Center, "Hamamatsu’s Foreign Resident Population"
23 Kataoka, Hiromi, "Concentrated Ethnic Towns and Dispersed/ Assimilated Ethnic Towns: Regional Disparities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Ethnic Towns―Case Studies of Brazilian Residents in Japan" 65 (65): 34-47, 2013
24 Lee, Everett, "A Theory of Migration" 3 (3): 47-57, 1966
25 Torresan, Algela, "A Middle Class Besieged: Brazilians’ Motives to Migrate" 17 (17): 110-130, 2012
26 법무부, "2022년 12월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7 최금좌, "2013년 이민 50주년을 맞이한 재브라질 한인사회의 현황과 문제점" 중남미연구소 33 (33): 49-88, 2014
28 National Diet Library of Japan, "100 Years of Japansese Emigration to Brazil"
포르투갈어 부정접두사 사용분석: 의미관계와 교수-학습전략
브라질 파벨라의 환경개선 노력에 대한 분석과 개선방향 모색
브라질 포르투갈어 연결동사 구문에서 주어·서술 형용사 불일치 현상에 대한 연구
인도-태평양 시대의 도래와 포르투갈어권 국가의 전략적 이점:모잠비크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한인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 : 민족이산의 역사와 초국가적 한민족
K-MOOC 연세대학교(미래) 글로벌한국학연구소 정병호, 임성숙, 이주희브라질 역사와 문화 이해
부산외국어대학교 이광윤이주와 디아스포라: 남아프리카의 사회변동
한국외국어대학교 김광수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한국사의 디아스포라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윤상원, 이동훈, 임형수, 정순일, 이영호, 김주용, 배진숙, 나혜심, 구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