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의 파벨라는 발생 배경과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오염을 통제하기가 어려우며 대부분의 파벨라는 오염을 창출하고 주민들은 오염으로부터 피해를 입고 있다. 몇몇 파벨라들은 환경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23846
2023
Korean
파벨라 ; 환경 ; 빈부격차 ; 환경정책 ; 주민참여 ; Favela ; Environment ; Environmental policy ; community participation
KCI등재
학술저널
43-79(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브라질의 파벨라는 발생 배경과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오염을 통제하기가 어려우며 대부분의 파벨라는 오염을 창출하고 주민들은 오염으로부터 피해를 입고 있다. 몇몇 파벨라들은 환경개...
브라질의 파벨라는 발생 배경과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오염을 통제하기가 어려우며 대부분의 파벨라는 오염을 창출하고 주민들은 오염으로부터 피해를 입고 있다. 몇몇 파벨라들은 환경개선을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수행하였지만 대부분 그리 성공적이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Rocinha 파벨라는 정부의 치안강화와 외부 기관들의 지원으로 환경 오염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환경 보전에 성공하였다고 평가를 받는다. 본 논문은 노르만 롱의 행위자 중심 접 근법을 사용하여 대부분의 파벨라에서는 환경오염을 통제하지 못한 데 비해 Rocinha 파벨라가 환경보전에 성공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해 얻 은 시사점은 일반적인 파벨라가 자치기구, 정부, 범죄조직 간의 갈등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환경정책을 시행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복잡한 지배구조는 파벨라의 치안을 극도로 불안하게 하여 외부 기관의 지원도 가능하지 않게 한 다는 것이다. 그러나 Rocinha의 경우 지배구조가 다른 파벨라보다는 안정적이 었고 정부에서 설치한 평화유지경찰대(UPP)가 주민들의 협조로 잘 작동하면 서 치안이 안정되고 이로 인해 외부기관의 지원도 가능해졌기 때문에 결과적 으로는 환경에 대한 새로운 정책도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규정, "행정학개론" 법문사 2001
2 정길화, "파벨라, 브라질의 고민과 모순이 응축된 곳" 158-167, 2013
3 양덕순 ; 강영순,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75-93, 2008
4 안성수 ; 하종근, "주민자치센터 운영실태분석과 바람직한 운영방안" 한국도시행정학회 19 (19): 3-30, 2006
5 서재호, "주민자치 활동 참여와 공동체 의식: 부산광역시 4개 동 주민자치센터 주민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서울행정학회 24 (24): 437-459, 2013
6 최남숙, "서울시 주부들의 환경교육과 환경보전행동에 관한 연구 : 가정 폐기물 분류배출행동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7 서지현, "도시 거버넌스 변화와 사회.공간적 함의: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루 파벨라의 사례"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18 (18): 7-36, 2021
8 HÖELZ, Y. F., "“MILÍCIA DO GOVERNO”: Faces Da Construção de Um Projeto de “Polícia de Proximidade na UPP Rocinha”"
9 Parnell, J., "Sustainability in the favelas: Swapping Guns for Gardens"
10 Lopes de Souza, M., "Social movements in the face of Criminal Power" 13 (13): 26-52, 2009
1 김규정, "행정학개론" 법문사 2001
2 정길화, "파벨라, 브라질의 고민과 모순이 응축된 곳" 158-167, 2013
3 양덕순 ; 강영순,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75-93, 2008
4 안성수 ; 하종근, "주민자치센터 운영실태분석과 바람직한 운영방안" 한국도시행정학회 19 (19): 3-30, 2006
5 서재호, "주민자치 활동 참여와 공동체 의식: 부산광역시 4개 동 주민자치센터 주민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서울행정학회 24 (24): 437-459, 2013
6 최남숙, "서울시 주부들의 환경교육과 환경보전행동에 관한 연구 : 가정 폐기물 분류배출행동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7 서지현, "도시 거버넌스 변화와 사회.공간적 함의: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루 파벨라의 사례"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18 (18): 7-36, 2021
8 HÖELZ, Y. F., "“MILÍCIA DO GOVERNO”: Faces Da Construção de Um Projeto de “Polícia de Proximidade na UPP Rocinha”"
9 Parnell, J., "Sustainability in the favelas: Swapping Guns for Gardens"
10 Lopes de Souza, M., "Social movements in the face of Criminal Power" 13 (13): 26-52, 2009
11 Rocha, A. B, "Ser mulher na Rocinha : cultivar, tratar, praçar"
12 Sørbøe, C. M., "Security and Inclusive Citizenship in the Mega-City: The Pacification of Rocinha, Rio de Janeiro" University of Oslo 2013
13 INEA, "Secretário do Ambiente Apresenta resultados do Projeto de Olho no LIXO, Na Comunidade da Rocinha, Zona Sul do rio"
14 Rocinha Favela, "Rocinha favela. Rocinha Favela"
15 Rekow, L., "On unstable ground: Issues involved in Greening Space in the Rocinha Favela of rio de janeiro" 12 (12): 52-73, 2016
16 INEA, "Nota à imprensa-projeto de OLHO NO LIXO"
17 IPP, "Informações sobre a cidade"
18 Rekow, L., "Green my favela - an act of defiance" 8 (8): 305-319, 2012
19 Green my favela, "Green my favela"
20 Perlman, J., "Favela: Four decades of living on the edge in Rio de Janeiro"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1 Libertun de Duren, N. R.,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of Urban Upgrading Programs: Lessons from Rio" 119 : 2021
22 Villa, F., "Entering rocinha : A GIS approach for the improvement of solid waste management in a slum in Rio de Janeiro" 09 (09): 221-231, 2020
23 Viva Rio, "Em dois anos, Programa de olho no lixo recolhe Quase 900Toneladas de resíduos Na Rocinha"
24 Clara, P. M, "Educação Ambiental NAS Periferias: Um olhar para o presente"
25 Long, N, "Development sociology: Actor perspectives" Routledge 2001
26 Duarte, C. R., "Contemporary Urbanism in Brazil" 266-289, 2008
27 Mattessich, P. W, "Community building: What makes it work: A review of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community building" Wilder 1997
28 IBGE, "Censo Demográfico 2010" IBGE
일계인(日系人) 디아스포라의 귀환이주와 브라질타운 형성과정: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브라질타운 사례 연구
포르투갈어 부정접두사 사용분석: 의미관계와 교수-학습전략
브라질 포르투갈어 연결동사 구문에서 주어·서술 형용사 불일치 현상에 대한 연구
인도-태평양 시대의 도래와 포르투갈어권 국가의 전략적 이점:모잠비크와 브라질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