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립대학교 교직원들의 보수수준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의혹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의 7개 국립대학에 재직중인 교수, 일반직 직원, 기능직 직원들의 1997년도 1년간의 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립대학교 교직원들의 보수수준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의혹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의 7개 국립대학에 재직중인 교수, 일반직 직원, 기능직 직원들의 1997년도 1년간의 보...
본 연구는 국립대학교 교직원들의 보수수준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의혹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의 7개 국립대학에 재직중인 교수, 일반직 직원, 기능직 직원들의 1997년도 1년간의 보수지급액에 대한 자료를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수집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간에는 보수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났고, 특히 부산대학교 교수의 평균보수수준은 비교대상이 된 7개 국립대학 중에서 최저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나라 교육공무원의 보수체계가 단일호봉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고 국공립대학의 교육공무원에 적용되는 보수규정은 일부 기성회계규정의 임의적 적용의 여지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대동소이함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부산대의 보수지급기준에 상당한 문제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부산대 교직원의 보수지급체계에 현저한 개선의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이테크 신제품 혁신수용에 있어 수용자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