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수준 결정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Employment and Wage of Disabled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52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성장애인은 여성과 장애라는 이중적 장벽으로 노동시장에서 지속적인 차별과 배제를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여성장애인...

      여성장애인은 여성과 장애라는 이중적 장벽으로 노동시장에서 지속적인 차별과 배제를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여성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여성장애인의 경제적 활동을 독려하고 노동시장에서 그들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들을 제시하고자 이루어졌다. 실태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 8,000명 중 노동 가능한 연령인 15세 이상 60세 미만 1,571명의 여성장애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취업 및 임금수준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력, 장애유형, 장애정도, 장애기간, 가구주 유무, 그리고 기초생활수급 유무가 취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금수준과 관련해서는 학력, 결혼상태, 장애기간, 가구주 유무, 기초생활수급자 유무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에 기초하여, 여성장애인의 교육기회 확대를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 마련, 장애관련 특성들을 민감하게 고려한 직종개발 및 훈련 프로그램의 강화, 기초생활 수급자인 여성장애인의 안정적 취업을 위한 노력, 그리고 취업의지를 높일 수 있는 동기 강화 프로그램 실행 등과 같이 여성장애인의 취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이 논의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men with disability have been disadvantaged in economic participation. They fac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based on both gender and disability. The analysis for this paper was based on the data from _2013 Survey on the Current Conditions of Econo...

      Women with disability have been disadvantaged in economic participation. They fac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based on both gender and disability. The analysis for this paper was based on the data from _2013 Survey on the Current Conditions of Economic Activ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_. In a sample of 1,571(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ge of 15~60) out of 8,000 participants, major determinants of employment and wage of disabled women were statistically identifi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can help to design a specific range of actions and to promote inclusion of disabled women in labor market. The evidence suggests that employment of the disabled women is affected by the education level, the type, severity and duration of disability, the type of householder and recipient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level of wage is influenced by their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disability duration, the type of householder and recipient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thes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s follows: build-up of educational courses to support them, development of a variety of occupations in an evolving labor market and individually tailored job training programs, provision of a system helping welfare recipients to participate in more steady occupations, and implement of motivational enforcement program to enter disabled women into labor market and maintain their job statu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동욱, "한국의 장애인 노동시장 구조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3

      2 權裕卿, "한국 장애인의 피고용여부와 월임금수준 결정요인"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 어수봉, "한국 장애인노동시장분석" 19 (19): 69-100, 1996

      4 변용찬,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55 (55): 153-171, 2005

      5 조상미, "취업장애인의 임금 결정 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75-96, 2010

      6 이병화, "직업적응훈련이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비스제공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7 신은경, "지체장애여성의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가족기능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259-281, 2008

      8 이준상,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57-82, 2008

      9 이은미, "중도지체장애여성의 직업활동에 대한 가족 역할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0 (10): 61-86, 2006

      10 이성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모델과 직업평가:직업기능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123-147, 2003

      1 강동욱, "한국의 장애인 노동시장 구조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3

      2 權裕卿, "한국 장애인의 피고용여부와 월임금수준 결정요인"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 어수봉, "한국 장애인노동시장분석" 19 (19): 69-100, 1996

      4 변용찬,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55 (55): 153-171, 2005

      5 조상미, "취업장애인의 임금 결정 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75-96, 2010

      6 이병화, "직업적응훈련이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비스제공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7 신은경, "지체장애여성의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가족기능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259-281, 2008

      8 이준상,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57-82, 2008

      9 이은미, "중도지체장애여성의 직업활동에 대한 가족 역할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0 (10): 61-86, 2006

      10 이성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모델과 직업평가:직업기능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123-147, 2003

      11 오세란, "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4 (34): 255-275, 2008

      12 이선우,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형태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관한 분석: 프로빗을이용한 분석" 33 : 287-313, 1997

      13 김성희, "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결정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14 유동철, "장애인의 직업훈련이 취업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 42 : 290-313, 2000

      15 장현, "장애인의 임금 및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6 : 195-211, 2005

      16 이선우, "장애인의 경제활동유형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Multinomial Logit(다항로짓)을 이용한 분석" 18 : 113-135, 2001

      17 강동욱, "장애인의 경제활동실태와 향후 정책적 개선방안: 장애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0 (20): 145-171, 2004

      18 석재은, "장애인복지 공공지출의 성불평등 영향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19 강동욱, "장애인고용과 사회복지" 한국학술정보 2006

      20 황수경, "장애인-비장애인의 취업확률 격차와 장애효과" 3 (3): 141-169, 2003

      21 전이상, "장애인 취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22 전리상, "장애인 취업의 결정요인" 한국학술정보 2006

      23 류정진, "장애인 취업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24 류정진, "장애인 취업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40 (40): 167-193, 2006

      25 유동철, "장애인 실업의 원인: 생산성 또는 차별?" 한국사회복지학회 48 : 333-358, 2002

      26 이형열, "장애유형별 취업 근로자의 개인적특성, 직업훈련, 직업만족이 직업유지기간에 미치는 영향-뇌병변, 시각, 신장, 청각장애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2 (32): 109-134, 2008

      27 곽지영, "장애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및 유지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79-104, 2010

      28 이은미, "장애를 가진 직장여성의 여성으로서의 경험 연구" 아시아여성연구소 47 (47): 147-190, 2008

      29 김안나, "유럽연합 사회적 배제개념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유럽학회 25 (25): 351-379, 2007

      30 민경희, "우리나라 장애인 고용의 문제점과 고용활성화 방안 연구 : 의무고용사업체와 비의무고용사업체를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4

      31 이은미, "여성지체장애인의 구직 및 직업유지 과정에 대한 경험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6 (16): 67-92, 2006

      32 유동철, "여성지체장애인에 대한 이중차별 분석: 고용과 임금을 중심으로" 15 : 73-108, 2000

      33 최복천, "여성장애인이 겪는 임신·출산·양육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323-347, 2011

      34 정병오, "여성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20): 143-174, 2010

      35 백은령, "여성장애인의 취업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7 (17): 223-248, 2007

      36 김정아, "여성장애인의 취업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321-338, 2013

      37 김정아, "여성장애인의 취업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3

      38 오혜경, "여성장애인의 차별실태와 사회참여를 위한 사회복지대책" 2 : 69-100, 2006

      39 유명화, "여성장애인의 임신·출산·육아와 사회적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1 (11): 131-157, 2007

      40 권선진, "여성장애인의 생활실태와 특성. 장애인구 대상별 특성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41 오혜경, "여성장애인의 사회적 지위와 직업재활을 위한 정책적 제언" 29 : 25-37, 1998

      42 배화옥, "여성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빈곤의 실증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55-76, 2009

      43 문혜숙, "여성장애인의 문제와 지원방안 연구" 12 : 205-230, 2003

      44 김성미, "여성장애인의 모성경험 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 (1): 71-106, 2007

      45 현호석, "여성장애인의 고용활성화를 위한 인적자원개발연구" 2 : 1-115, 2002

      46 오혜경,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실태 및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 : 113-146, 2002

      47 김기태, "여성장애인 취업 욕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대한 분석" 37 : 33-63, 1999

      48 황아윤, "여성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진입 확대 방안: 공단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49 박자경,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27-51, 2008

      50 백은령, "여성장애노인의 특성과 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27 : 114-146, 2007

      51 이재서, "여성장애근로자의 특성과 임금 결정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93-109, 2008

      52 한국노동연구원, "여성의 직업선택과 직업구조" 2003

      53 성효용, "여성의 미취업탈출요인에 대한 연구: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65 : 117-148, 2003

      54 홍석준, "여성 장애인의 정체성과 인권 : 공동체로서의 집단정체성 구축과 인권 문제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소 42 : 47-83, 2003

      55 박자경, "여성 장애인 경제활동 활성화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7

      56 장지연, "여성 미취업자의 취업의사와 실업탈출과정: 미취업기간 탈출률의성별비교를 중심으로" 35 (35): 159-188, 2001

      57 오혜경, "여상장애인의 자본실태에 관한 논의: 경제・직업활동을 중심으로" 15 : 53-82, 2010

      58 박수경,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37 : 67-88, 1999

      59 이원호, "사회적 배제의 측정과 빈곤현상의 공간적 패턴: 서울시의 사례연구" 국토지리학회 40 (40): 367-379, 2006

      60 강필수, "사업체의 장애인고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179-206, 2010

      61 윤성호, "노동빈민의 사회적 배제가 빈곤경험에 미치는 영향" 2005

      62 김영미, "기능적 장애를 가진 사람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63 이정호, "근로복귀장애인의 월임금수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64 곽지영, "국민기초수급대상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 실태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6 (16): 5-26, 2006

      65 박성준, "구직형태의 동태적 분석과 고용대책" 한국경제연구원 1998

      66 Johnson, W. G., "Wage Discrimination against Handicapped Men and Women" 20 (20): 264-277, 1985

      67 O’Hara, B., "Twice Penalized : Employment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ith Disabilities" 15 (15): 27-34, 2004

      68 Pfeiffer, D., "The Influence of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Disabled People on Their Employment Status and Income. Disability" 6 (6): 103-114, 1991

      69 Lewis, G. B, "The Impact of Disabilities on Federal Career Success" 52 (52): 389-397, 1992

      70 Becker, G. S., "The Economics of Discrimin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1

      71 Davis, L. J., "The Disability Studies Reader" Routledge 1997

      72 Atkinson, R.,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in the European Union: Context, Development and Possibilities" 38 (38): 427-448, 2000

      73 Butterfield, T. M., "Research and Case Study Findings in the Area of Workplace Accommodations Including Provisions for Assistive Technology : A Literature Review" 16 : 201-210, 2004

      74 Blackwell, T., "Predict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turn-to-Work Out comes in Workers’ Compensation" 46 (46): 108-114, 2003

      75 Melin, R., "On Predi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utcome at a Swedish Employ ability Institute" 35 (35): 284-289, 2003

      76 Spence, A. M., "Market Signaling: Informational Transfer in Hiring and Related Screening Processes"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77 Baldwin, M., "Labor Market Discrimination against Men with Disabilities" 29 (29): 1-19, 1994

      78 김호진, "2013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고용개발원 2013

      79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인통계" 2013

      80 보건복지부, "2012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2013

      81 통계청, "2011 사회조사보고서"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