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벼 이앙재배에서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이 잡초억제와 벼 생육환경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pplied of Organic-Compound Fertilizer on the Weed Control and Rice Growth Condition in the Transplanting Rice Culti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439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유기질 복합비료가 벼 재배 논에서 잡초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내 검정 시험에서 유기질 복합비료를 125-250㎏ 10a-1 처리시 이앙벼는 지상부가 10.3~27.2% 증가하였고, 피는 50.3-89.2%의 출현이 억제되었으며, 사마귀풀은 낮은 처리량에서도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유기질 복합비료는 피, 물달개비, 사마귀풀에 대하여 담수심(1-5㎝)이 깊을수록 높게 억제하였으나, 올방개와 같은 사초과 잡초에 대해서는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 20-35℃의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피와 물달개비는 각각 75.4~92.2%, 49.5~81.6%의 높은 출현억제율을 나타냈다.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 10일 후 낙수 시 피와 물달개비는 각각 33.7%, 23.0%의 출현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포장시험에서 시험 후 토양의 유기물은 관행구애서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구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벼의 생육은 초장 및 경수가 관행구 대비 적었으며 그 차이는 생육후기에 더 많이 나타났고, 벼의 수량은 관행구 대비 4% 감소하였다. 논잡초 억제 효과는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구에서 60.5%로 관행구 보다 낮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기질 복합비료가 벼 재배 논에서 잡초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내 검정 시험에서 유기질 복합비료를 125-250㎏ 10a-1 처리시 이앙벼는 지상부가...

      본 연구는 유기질 복합비료가 벼 재배 논에서 잡초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내 검정 시험에서 유기질 복합비료를 125-250㎏ 10a-1 처리시 이앙벼는 지상부가 10.3~27.2% 증가하였고, 피는 50.3-89.2%의 출현이 억제되었으며, 사마귀풀은 낮은 처리량에서도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유기질 복합비료는 피, 물달개비, 사마귀풀에 대하여 담수심(1-5㎝)이 깊을수록 높게 억제하였으나, 올방개와 같은 사초과 잡초에 대해서는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 20-35℃의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피와 물달개비는 각각 75.4~92.2%, 49.5~81.6%의 높은 출현억제율을 나타냈다.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 10일 후 낙수 시 피와 물달개비는 각각 33.7%, 23.0%의 출현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포장시험에서 시험 후 토양의 유기물은 관행구애서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구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벼의 생육은 초장 및 경수가 관행구 대비 적었으며 그 차이는 생육후기에 더 많이 나타났고, 벼의 수량은 관행구 대비 4% 감소하였다. 논잡초 억제 효과는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구에서 60.5%로 관행구 보다 낮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effects of organic-compound fertilizer on weed control and rice growth in the transplanting rice cultivation were researched in this artic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of transplanted rice was promoted (the increased rate was 10.3 - 27.2 %), but the plant number for Echinochloa crus-galli was controlled (the inhibition rate was 50.3~89.2%), besides, small amount of organic-compound fertilizer in controlling Aneilema keisak was highly effective when the transplanted rice was treated with 125~250 ㎏ 10a-1 organic-compound fertilizer. Moreover, E. crus-galli, Monochoria vaginalis and A. keisak were inhibited largely by increasing the water depth (1~5 ㎝), whereas Eleocharis kuroguwai and other sedges weeds were not effected by water depth.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of 20~35℃, the plant occurrence of E. crus-galli and M. vaginalis at high temperature was inhibited (the inhibition rate were 75.4 -92.2% and 49.5% - 81.6%, respectively). When the transplanted rice was treated with the above organic-compound fertilizer after 10day, the inhibition rate of plant occurrence for E. crus-galli and M. vaginalis was 33.7% and 23.3%, respectively. Similarly, in the later period of rice growth, the plant height and the numbers of tiller grew slowly in conventional soil in comparison with the soil treated with organic-compound fertiliz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rice yield in experimental soil was decreased by 4%. This result in the field experiment showed that organic material contents in conventional soil were lower than that in soil which used the organic-compound fertilizer. Weed control in experimental soil showed 60.5% lower effects than that in conventional soil.
      번역하기

      The effects of organic-compound fertilizer on weed control and rice growth in the transplanting rice cultivation were researched in this artic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of transplanted rice was promoted (the increased rate was 10.3 - 27.2 ...

      The effects of organic-compound fertilizer on weed control and rice growth in the transplanting rice cultivation were researched in this artic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of transplanted rice was promoted (the increased rate was 10.3 - 27.2 %), but the plant number for Echinochloa crus-galli was controlled (the inhibition rate was 50.3~89.2%), besides, small amount of organic-compound fertilizer in controlling Aneilema keisak was highly effective when the transplanted rice was treated with 125~250 ㎏ 10a-1 organic-compound fertilizer. Moreover, E. crus-galli, Monochoria vaginalis and A. keisak were inhibited largely by increasing the water depth (1~5 ㎝), whereas Eleocharis kuroguwai and other sedges weeds were not effected by water depth.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of 20~35℃, the plant occurrence of E. crus-galli and M. vaginalis at high temperature was inhibited (the inhibition rate were 75.4 -92.2% and 49.5% - 81.6%, respectively). When the transplanted rice was treated with the above organic-compound fertilizer after 10day, the inhibition rate of plant occurrence for E. crus-galli and M. vaginalis was 33.7% and 23.3%, respectively. Similarly, in the later period of rice growth, the plant height and the numbers of tiller grew slowly in conventional soil in comparison with the soil treated with organic-compound fertiliz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rice yield in experimental soil was decreased by 4%. This result in the field experiment showed that organic material contents in conventional soil were lower than that in soil which used the organic-compound fertilizer. Weed control in experimental soil showed 60.5% lower effects than that in conventional soi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인용문헌
      • ABSTRACT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종운, "환경보전형 농업을 위한 토양관리 심포지엄" 26 : 31-67, 1993

      2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토양화학분석법"

      3 안설화, "유기질자재가 벼와 논 잡초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 27 (27): 132-139, 2007

      4 오왕근, "유기물 시용이 답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농진청 175-208, 1978

      5 노기안, "유기물 시용에 의한 벼논에서의 양분 유출경감" 18 (18): 196-203, 1999

      6 안설화, "대두박 추출물의 논 잡초에 대한 타감작용 효과 및Phenole 화합물 조성" 한국잡초학회 28 (28): 126-131, 2008

      7 구주농업시험장, "구주농업시험연구 성적˙계획개요집" 211-212, 1990

      8 Jung, M. C., "Training for skilled organic farmers" 183-209, 2005

      9 Chang, K. R., "Sustenance and enhancement of soil fertility for organic farming by legumes and green manure" 8 (8): 131-146, 2000

      10 Kim, H. G., "Situation of korean organic farming and research of its development" Research report of agricultural science institute 9-44, 1994

      1 홍종운, "환경보전형 농업을 위한 토양관리 심포지엄" 26 : 31-67, 1993

      2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토양화학분석법"

      3 안설화, "유기질자재가 벼와 논 잡초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 27 (27): 132-139, 2007

      4 오왕근, "유기물 시용이 답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농진청 175-208, 1978

      5 노기안, "유기물 시용에 의한 벼논에서의 양분 유출경감" 18 (18): 196-203, 1999

      6 안설화, "대두박 추출물의 논 잡초에 대한 타감작용 효과 및Phenole 화합물 조성" 한국잡초학회 28 (28): 126-131, 2008

      7 구주농업시험장, "구주농업시험연구 성적˙계획개요집" 211-212, 1990

      8 Jung, M. C., "Training for skilled organic farmers" 183-209, 2005

      9 Chang, K. R., "Sustenance and enhancement of soil fertility for organic farming by legumes and green manure" 8 (8): 131-146, 2000

      10 Kim, H. G., "Situation of korean organic farming and research of its development" Research report of agricultural science institute 9-44, 1994

      11 Shon, S. M., "Situation of Korea organic crop production with special regards to Germany" 10 (10): 67-83,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2-12-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Weed&Turfgrass Science</br>외국어명 : Weed&Turfgrass Science
      2012-12-01 평가 학술지 통합(기타)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04-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잡초학회지</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7-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잡초학회지</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