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한집"
2 任繼愈, "중국의 儒家와 道家" 동아출판사 1993
3 "서하집"
4 "보한집"
5 "동사강목"
6 "동문선"
7 "동국이상국집"
8 김창현, "고려중기 예종・인종의 통치와 관료집단의 성격" (사)한국인물사연구회 (8) : 107-167, 2007
9 "고려사절요"
10 "고려사"
1 "파한집"
2 任繼愈, "중국의 儒家와 道家" 동아출판사 1993
3 "서하집"
4 "보한집"
5 "동사강목"
6 "동문선"
7 "동국이상국집"
8 김창현, "고려중기 예종・인종의 통치와 관료집단의 성격" (사)한국인물사연구회 (8) : 107-167, 2007
9 "고려사절요"
10 "고려사"
11 "고려묘지명집성"
12 채웅석, "고려 예종대 道家思想·道敎 흥기의 정치적 성격" 한국사연구회 (142) : 105-141, 2008
13 梁銀容, "高麗道敎の福源宮について" 朝鮮獎學會 (11) : 1981
14 李鍾殷, "高麗中期 道敎의 綜合的 硏究. in: 道敎思想의 韓國的 展開" 아세아문화사 1989
15 金澈雄, "高麗中期 道敎의 盛行과 그 性格" 단국사학회 (28) : 1995
16 김병인, "高麗 睿宗代 韓安仁勢力의 性格" 전남사학회 (11) : 1997
17 김병인, "高麗 睿宗代 道敎 振興의 배경과 추진세력" 호남사학회 20 : 1-21, 2003
18 E.J.Shultz, "韓安仁派의 登場과 그 役割" 역사학회 (99) : 1983
19 "雲笈七籤"
20 酒井忠夫, "道敎란 무엇인가" 민족사 1990
21 梁銀容, "福源宮 建立의 歷史的 意義. in: 도교와 한국문학" 아세아문화사 1988
22 盧明鎬, "李資謙一派와 韓安仁一派의 族黨勢力" 서울대 국사학과 (17) : 1987
23 "宋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