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슈경쟁과 합의이슈모델 = Issue Competition and Valence Voting Model The 2014 Seoul Mayoral El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635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선거들에서 이슈요인의 영향이 미미한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지금까지의 이슈투표가 대체로 ‘정책거리’의 논의 속에서 연구되어 온 것과 무관하지 않음을 지적하고, 최근...

      본 연구는 최근 선거들에서 이슈요인의 영향이 미미한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지금까지의 이슈투표가 대체로 ‘정책거리’의 논의 속에서 연구되어 온 것과 무관하지 않음을 지적하고, 최근의 선거를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한 새로운 이슈투표 모델을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근의 선거들에서는 찬반 혹은 좌우 일차원 스펙트럼에 위치시키기 어려운 합의이슈(valence issue)가 부각됨을 보이고, 이러한 이슈들이 선거에서 어떻게 유통되고 소비되는지 유권자 입장에서 분석한다.
      분석결과 2014년 서울시장선거에서 다양한 공약들은 몇 개의 키워드나 문장으로 요약될 수 있었으며, 대다수의 사람들이 동의하는 합의이슈들이 부각되었다. 그리고 유권자들은 각각의 후보가 어떤 이슈영역을 강조했는지 평가하고, 이를 자신의 이슈선호와 연결해 투표결정에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슈선호와 후보자 공약에 대한 인식을 함께 반영한 새로운 합의이슈 투표모델(valence voting model)을 제시하고, 경험적 분석을 통해 2014년 서울시장선거에서 후보 공약에 대한 유권자의 평가가 투표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모형의 제시와 분석을 통해 최근 선거들에서 이슈투표의 가능성을 재발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iterature on Korean elections finds a very weak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issues and vote choice, namely, lack of policy voting. We argue that this (non-)finding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previous researches considered issue voting in t...

      The literature on Korean elections finds a very weak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issues and vote choice, namely, lack of policy voting. We argue that this (non-)finding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previous researches considered issue voting in the context of the spatial model or positional issues. We propose and test a new issue voting model where parties compete to win the evaluation of the voters on multiple issue domains.
      Unlike the spatial model which assumes that voters can be divided into various shades of proponents and opponents, our model focuses on valence issues which anybody will agree with. Under such condition, we show that two things matter for a voter to make an electoral choice: first, the evaluation of voters on which party or candidate can handle a given valence issue better; and second, how much she thinks that particular issue is important.
      Based upon the analysis of the 2014 Seoul Mayoral Election, we find that valence issues rather than positional issues were emphasized during the campaigns run by the candidates, and that our issue competition model explains the candidate choice based upon the evaluation of issue ownership and issue importance, as described above. Policy may matter more than the literature describes and there is evidence of issue voting in Korean elections: issues matter in the context of how they are owned by the par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I. 들어가며
      • II. 한국의 선거와 합의이슈
      • III. 이슈투표: 공간모형과 합의이슈모형
      • IV. 연구모형
      • 논문요약
      • I. 들어가며
      • II. 한국의 선거와 합의이슈
      • III. 이슈투표: 공간모형과 합의이슈모형
      • IV. 연구모형
      • V. 분석결과: 이슈평가와 후보선택
      • VI.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