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13회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학술대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79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 기조강연. 시간일지 자료로 본 한국아동의 하루/수원대 아동가족복지학과 차승은 교수 1

      □ 통계워크숍. 한국아동패널 데이터 가중치 적용 방법/호서대 빅데이터AI학부 강현철 교수 15

      □ 세션 1 부모 양육 행동

      1. 부모의 공동양육 및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39
      • 연구자: 정미애(성신여대 유아교육과 강사)
      • 토론자: 문영경(대전대 아동교육상담학과 교수)

      2. 부모의 미디어 중독이 아동의 미디어기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61
      • 연구자: 이슬아(차의과대 상담심리학과 교수), 고사랑(경북대 경영학부 교수)
      • 토론자: 이숙정(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3. 초기 청소년기 미디어기기 중독의 종단적 발달경로: 부부갈등과 온정적 양육행동, 그리고 아동의 내재화 문제의 매개효과 78
      • 연구자: 허윤성(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박통합과정), 최지은(연세대 아동가족학과 박사과정 수료), 박소희(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사과정), 한지수(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사과정), 이민지(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사과정), 정윤교(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사과정)
      • 토론자: 장영은(중앙대 사회복지학부 교수)

      □ 세션 2 미디어 사용

      1.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아동의 미디어 활용 유형 전이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103
      • 연구자: 신안나(이화여대 에듀테크융합연구소 연구교수), 이솔비(서울대 교육연구소 연구원)
      • 토론자: 최효식(춘천교대 교육학과 부교수)

      2. 아동·청소년기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학업스트레스, 인터넷 및 스마트폰 과의존의 종단적 관계 연구 128
      • 연구자: 김미옥(명지전문대 청소년교육상담과 강사), 이응택(명지전문대 청소년교육상담과 강의전담교수)
      • 토론자: 이지연(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3.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유형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 독서량의 매개효과분석 152
      • 연구자: 하여진(이화여대 일반대학원 강사)
      • 토론자: 신유림(가톨릭대 아동학과 교수)

      □ 세션 3 학업 및 학교 I

      1. 아동의 그릿과 학습태도, 학업스트레스, 학습행복감 간의 관계 구조 연구 177
      • 연구자: 김진철(전라남도교육청 정책기획과 장학관)
      • 토론자: 안재진(가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2. 6-12세 아동의 국어와 수학 학업수행능력 관계 잠재성장모델분석 201
      • 연구자: 이은주(이화여대 특수교육연구소 연구교수)
      • 토론자: 민경석(세종대 교육학과 교수)

      3. 학생의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사, 학부모, 학생 요인을 중심으로 226
      • 연구자: 윤가영(한양대 교육공학과 겸임교수), 장재홍(별내초등학교 교사)
      • 토론자: 구자연(육아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

      □ 세션 4 학습지원 및 사교육

      1. 부모의 학습지원이 아동의 학업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태도 및 학업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249
      • 연구자: 임정하(고려대 가정교육과 교수), 최은경(고려대 지속가능생활시스템융합전공 박사과정 수료)
      • 토론자: 송하나(성균관대 아동청소년학과 교수)

      2.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득수준별 학업수행 능력 변화와 사교육비의 매개효과 273
      • 연구자: 김성식(서울교대 초등교육과 교수), 고은지(서울우면초등학교 교사), 곽나람(서울잠원초등학교 교사), 윤예린(서울강덕초등학교 교사)
      • 토론자: 김희경(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3. 코로나(COVID-19) 이전과 이후의 사교육 이용 변화 탐색 298
      • 연구자: 조명근(호서대 혁신융합학부 조교수), 권경림(성균관대 교육학과 박사수료)
      • 토론자: 김혜자(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 세션 5 양육 환경

      1. 취약계층 아동의 가정 내 사회자본과 사회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325
      • 연구자: 한세리(이화여대 교육학과 강사) 조희숙(공주대 교육학과 강사)
      • 토론자: 김지혜(남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2. 부모가 인식한 지역의 안전수준과 아동의 실외활동 수준에 관한 종단연구: 성별과 안전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345
      • 연구자: 손혜원(고려대 보건과학과 석사과정)
      • 토론자: 신나리(충북대 아동복지학과 교수)

      □ 세션 6 미디어 중독

      1. 미디어기기 중독 수준에 따른 아동의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집행기능곤란, 그릿 간 구조분석 369
      • 연구자: 조민규(경북대 아동학부 강사), 김춘경(경북대 아동학부 교수)
      • 토론자: 송경희(우석대 상담심리학과 조교수)

      2. 부모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 미디어기기 중독의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집단 간 관계 분석: 순차적 과정 성장혼합모형(SP-GMM)의 적용 400
      • 연구자: 허무녕(경북대 아동가족학과 박사과정 수료)
      • 토론자: 김재철(한남대 교육학과 교수)

      3. 아동기 역경 경험이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432
      • 연구자: 강혜성(고려사이버대 상담심리학과 외래교수), 기쁘다(한국방송통신대 생활과학부 조교수)
      • 토론자: 강은진(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

      □ 세션 7 학업 및 학교 Ⅱ

      1. 코로나19 상황에서 아동의 사회정서역량이 또래관계를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453
      • 연구자: 신태섭(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 김지언(이화여대 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 토론자: 박수원(경기대 교직학부 조교수)

      2. 창의적 학교 환경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470
      • 연구자: 신주랑(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원), 윤가영(한양대 교육공학과 겸임교수), 장재홍(별내초등학교 교사)
      • 토론자: 김동훈(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3.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압력의 변화 유형 및 예측요인과 결과요인 검증 489
      • 연구자: 홍예지(인하대 아동심리학과 조교수)
      • 토론자: 최지영(한남대 교육학과 교수)

      □ 세션 8 집행기능

      1. 아동의 집행기능, 지능,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519
      • 연구자: 윤안순(한국교원대 교육학과 강사), 김아름(한양대 창의융합교육원 책임연구원), 박효영(숭실대 교양교육연구센터 연구교수)
      • 토론자: 김경은(남서울대 아동복지학과 교수)

      2. 아동기 집행기능의 발달 유형과 관련된 사회적 유능성과 그릿(Grit) 541
      • 연구자: 임효진(서울교대 교육심리학과 교수), 류재준(서울교대 교육심리학과 박사과정)
      • 토론자: 조숙인(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3.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의 미디어 이용 및 신체활동이 인지적(cool), 정서적(hot) 집행기능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564
      • 연구자: 이민지(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사과정), 허영(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박통합과정)
      • 토론자: 이선영(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번역하기

      □ 기조강연. 시간일지 자료로 본 한국아동의 하루/수원대 아동가족복지학과 차승은 교수 1 □ 통계워크숍. 한국아동패널 데이터 가중치 적용 방법/호서대 빅데이터AI학부 강현철 교수 15 ...

      □ 기조강연. 시간일지 자료로 본 한국아동의 하루/수원대 아동가족복지학과 차승은 교수 1

      □ 통계워크숍. 한국아동패널 데이터 가중치 적용 방법/호서대 빅데이터AI학부 강현철 교수 15

      □ 세션 1 부모 양육 행동

      1. 부모의 공동양육 및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39
      • 연구자: 정미애(성신여대 유아교육과 강사)
      • 토론자: 문영경(대전대 아동교육상담학과 교수)

      2. 부모의 미디어 중독이 아동의 미디어기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61
      • 연구자: 이슬아(차의과대 상담심리학과 교수), 고사랑(경북대 경영학부 교수)
      • 토론자: 이숙정(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3. 초기 청소년기 미디어기기 중독의 종단적 발달경로: 부부갈등과 온정적 양육행동, 그리고 아동의 내재화 문제의 매개효과 78
      • 연구자: 허윤성(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박통합과정), 최지은(연세대 아동가족학과 박사과정 수료), 박소희(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사과정), 한지수(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사과정), 이민지(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사과정), 정윤교(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사과정)
      • 토론자: 장영은(중앙대 사회복지학부 교수)

      □ 세션 2 미디어 사용

      1.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아동의 미디어 활용 유형 전이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103
      • 연구자: 신안나(이화여대 에듀테크융합연구소 연구교수), 이솔비(서울대 교육연구소 연구원)
      • 토론자: 최효식(춘천교대 교육학과 부교수)

      2. 아동·청소년기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학업스트레스, 인터넷 및 스마트폰 과의존의 종단적 관계 연구 128
      • 연구자: 김미옥(명지전문대 청소년교육상담과 강사), 이응택(명지전문대 청소년교육상담과 강의전담교수)
      • 토론자: 이지연(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3.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유형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 독서량의 매개효과분석 152
      • 연구자: 하여진(이화여대 일반대학원 강사)
      • 토론자: 신유림(가톨릭대 아동학과 교수)

      □ 세션 3 학업 및 학교 I

      1. 아동의 그릿과 학습태도, 학업스트레스, 학습행복감 간의 관계 구조 연구 177
      • 연구자: 김진철(전라남도교육청 정책기획과 장학관)
      • 토론자: 안재진(가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2. 6-12세 아동의 국어와 수학 학업수행능력 관계 잠재성장모델분석 201
      • 연구자: 이은주(이화여대 특수교육연구소 연구교수)
      • 토론자: 민경석(세종대 교육학과 교수)

      3. 학생의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교사, 학부모, 학생 요인을 중심으로 226
      • 연구자: 윤가영(한양대 교육공학과 겸임교수), 장재홍(별내초등학교 교사)
      • 토론자: 구자연(육아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

      □ 세션 4 학습지원 및 사교육

      1. 부모의 학습지원이 아동의 학업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태도 및 학업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249
      • 연구자: 임정하(고려대 가정교육과 교수), 최은경(고려대 지속가능생활시스템융합전공 박사과정 수료)
      • 토론자: 송하나(성균관대 아동청소년학과 교수)

      2.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득수준별 학업수행 능력 변화와 사교육비의 매개효과 273
      • 연구자: 김성식(서울교대 초등교육과 교수), 고은지(서울우면초등학교 교사), 곽나람(서울잠원초등학교 교사), 윤예린(서울강덕초등학교 교사)
      • 토론자: 김희경(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3. 코로나(COVID-19) 이전과 이후의 사교육 이용 변화 탐색 298
      • 연구자: 조명근(호서대 혁신융합학부 조교수), 권경림(성균관대 교육학과 박사수료)
      • 토론자: 김혜자(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 세션 5 양육 환경

      1. 취약계층 아동의 가정 내 사회자본과 사회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325
      • 연구자: 한세리(이화여대 교육학과 강사) 조희숙(공주대 교육학과 강사)
      • 토론자: 김지혜(남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2. 부모가 인식한 지역의 안전수준과 아동의 실외활동 수준에 관한 종단연구: 성별과 안전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345
      • 연구자: 손혜원(고려대 보건과학과 석사과정)
      • 토론자: 신나리(충북대 아동복지학과 교수)

      □ 세션 6 미디어 중독

      1. 미디어기기 중독 수준에 따른 아동의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집행기능곤란, 그릿 간 구조분석 369
      • 연구자: 조민규(경북대 아동학부 강사), 김춘경(경북대 아동학부 교수)
      • 토론자: 송경희(우석대 상담심리학과 조교수)

      2. 부모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 미디어기기 중독의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집단 간 관계 분석: 순차적 과정 성장혼합모형(SP-GMM)의 적용 400
      • 연구자: 허무녕(경북대 아동가족학과 박사과정 수료)
      • 토론자: 김재철(한남대 교육학과 교수)

      3. 아동기 역경 경험이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432
      • 연구자: 강혜성(고려사이버대 상담심리학과 외래교수), 기쁘다(한국방송통신대 생활과학부 조교수)
      • 토론자: 강은진(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

      □ 세션 7 학업 및 학교 Ⅱ

      1. 코로나19 상황에서 아동의 사회정서역량이 또래관계를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453
      • 연구자: 신태섭(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 김지언(이화여대 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 토론자: 박수원(경기대 교직학부 조교수)

      2. 창의적 학교 환경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470
      • 연구자: 신주랑(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원), 윤가영(한양대 교육공학과 겸임교수), 장재홍(별내초등학교 교사)
      • 토론자: 김동훈(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3.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압력의 변화 유형 및 예측요인과 결과요인 검증 489
      • 연구자: 홍예지(인하대 아동심리학과 조교수)
      • 토론자: 최지영(한남대 교육학과 교수)

      □ 세션 8 집행기능

      1. 아동의 집행기능, 지능,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519
      • 연구자: 윤안순(한국교원대 교육학과 강사), 김아름(한양대 창의융합교육원 책임연구원), 박효영(숭실대 교양교육연구센터 연구교수)
      • 토론자: 김경은(남서울대 아동복지학과 교수)

      2. 아동기 집행기능의 발달 유형과 관련된 사회적 유능성과 그릿(Grit) 541
      • 연구자: 임효진(서울교대 교육심리학과 교수), 류재준(서울교대 교육심리학과 박사과정)
      • 토론자: 조숙인(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3.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의 미디어 이용 및 신체활동이 인지적(cool), 정서적(hot) 집행기능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564
      • 연구자: 이민지(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사과정), 허영(연세대 아동가족학과 석박통합과정)
      • 토론자: 이선영(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1부 개회식 및 기조강연(사회자: 도남희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 9:30 – 10:00 등록
      • 10:00 – 10:20 개회사(육아정책연구소 박상희 소장), 축사(한국아동학회 이완정 회장대한가정학회 채정현 회장)
      • 10:20 – 10:30 대학원생 논문시상
      • 10:30 – 10:40 한국아동패널 소개(한국아동패널 연구책임자 김지현 연구위원)
      • □ 1부 개회식 및 기조강연(사회자: 도남희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 9:30 – 10:00 등록
      • 10:00 – 10:20 개회사(육아정책연구소 박상희 소장), 축사(한국아동학회 이완정 회장대한가정학회 채정현 회장)
      • 10:20 – 10:30 대학원생 논문시상
      • 10:30 – 10:40 한국아동패널 소개(한국아동패널 연구책임자 김지현 연구위원)
      • 10:40 – 11:40 기조강연 ‘시간일지 자료로 본 한국아동의 하루’(수원대 아동가족복지학과 차승은 교수)
      • □ 2부 통계 워크숍 및 논문발표
      • 13:00 – 14:10 통계워크숍 ‘한국아동패널 데이터 가중치 적용 방법’(호서대학교 빅데이터AI학부 강현철 교수)
      • 14:10 – 14:30 휴식
      • 14:30 – 15:50
      • 세션 1: 부모 양육 행동
      • 세션 2: 미디어 사용
      • 세션 3: 학업 및 학교 I
      • 세션 4: 학습지원 및 사교육
      • 15:50 – 16:00 휴식
      • 16:00 – 17:20
      • 세션 5: 양육 환경
      • 세션 6: 미디어 중독
      • 세션 7: 학업 및 학교 II
      • 세션 8: 집행기능
      • 17:20 – 17:30 폐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