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碩齋 尹行恁의 著作과 학문 경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98556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啓明大學校 大學院,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啓明大學校 大學院 , 漢文學科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대구

      • 기타서명

        Investigated the life and academic tendency of ‘Seokjae Yoon haeng-im’

      • 형태사항

        ⅰ, 68 p. ; 26 cm.

      • 일반주기명

        계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김윤조
        참고문헌 : p. 63-64

      • 소장기관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碩齋 尹行恁(1762~1801)은 18세기 후반의 정치가이자 학자이고 문인이다. Ⅱ장에서는 먼저 남원 윤씨의 가계를 살펴보고 석재의 선조 가운데 윤섬, 윤계, 윤집을 중심으로 유난히도 애국·충절이 남달랐던 집안 내력을 살펴보았다. 생애는 실록과 行狀, 諡狀의 기록을 통해 시간순으로 살피되 석재의 관직생활을 중심으로 고찰해보았다. 교유에서도 사환기의 교유에 주목하고 아정 이덕무, 강산 이서구, 금릉 남공철, 성서 이곤수 등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석재의 저작, 저술을 살펴보았다. 석재는 뛰어난 학자답게 방대한 양의 저작을 남겼는데 필자는 이를 문학류, 역사류, 경학류의 세 분류로 나누어 살피고 아울러 저작에 따른 학문 경향을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다루었던 내용과 「석재고」를 통해 추출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석재의 박학적 학문 경향을 살폈다. 본고는 석재 윤행임 연구의 출발로 그간 다루어지지 않았던 부분을 중심으로 석재의 생애와 교유 및 저술 일반, 그리고 학문 경향을 고찰한 것이다. 본고가 비록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있어 출발에 지나지 않으나 기존의 성과와 더불어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碩齋 尹行恁(1762~1801)은 18세기 후반의 정치가이자 학자이고 문인이다. Ⅱ장에서는 먼저 남원 윤씨의 가계를 살펴보고 석재의 선조 가운데 윤섬, 윤계, 윤집을 중심으로 유난히도 애국·충절...

      碩齋 尹行恁(1762~1801)은 18세기 후반의 정치가이자 학자이고 문인이다. Ⅱ장에서는 먼저 남원 윤씨의 가계를 살펴보고 석재의 선조 가운데 윤섬, 윤계, 윤집을 중심으로 유난히도 애국·충절이 남달랐던 집안 내력을 살펴보았다. 생애는 실록과 行狀, 諡狀의 기록을 통해 시간순으로 살피되 석재의 관직생활을 중심으로 고찰해보았다. 교유에서도 사환기의 교유에 주목하고 아정 이덕무, 강산 이서구, 금릉 남공철, 성서 이곤수 등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석재의 저작, 저술을 살펴보았다. 석재는 뛰어난 학자답게 방대한 양의 저작을 남겼는데 필자는 이를 문학류, 역사류, 경학류의 세 분류로 나누어 살피고 아울러 저작에 따른 학문 경향을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다루었던 내용과 「석재고」를 통해 추출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석재의 박학적 학문 경향을 살폈다. 본고는 석재 윤행임 연구의 출발로 그간 다루어지지 않았던 부분을 중심으로 석재의 생애와 교유 및 저술 일반, 그리고 학문 경향을 고찰한 것이다. 본고가 비록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있어 출발에 지나지 않으나 기존의 성과와 더불어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investigated the life and scholastic views of ‘Seokjae Yoon haeng-im(1762~1801)’ a literary and political figure in the reign of kings Jeongjo and Soonjo. Seokjae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literary figures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his excellence has been recognized by later literary men.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existing researches on scholastic views in the late 18th century by looking closely into the life and scholastic views activities of Seokjae.
      In terms of Seokjae's life, the study looked closely into the political and cultural effects of his genealogy and confirmed that he made close friends with the government officials working for Gyujanggak such as Yu Duk-Gong, Lee Deok-mu, Lee Seo-gu and Lee Gon-su including his relatives by marriage and friends. It has been also observed that he had a great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 on the king Jeongjo after becoming a governmental official in his manhood.
      The study investigated the summary of his writings in terms of his prose, the composition of 「(Posthumous) Works of Seokjae」 and the presence of whether there were any noticeable works. his personal background, along with his bib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from the ch'ing Dynasty, influenced the shaping of his scholastic views. Being more involved in the studies of the Ch'ing dynasty, rather than absorbing its culture, he introduced an approach to historical reserch based on a new Confucian methodology. The foundation of scholarship was conventional Confucianism. The root of this ideology was in Confucianism. The crucial element in his individuality as a realist was that he was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Confucianism at the time. 「(Posthumous) Works of Seokjae」 shows his high level of scholarship.
      번역하기

      The study investigated the life and scholastic views of ‘Seokjae Yoon haeng-im(1762~1801)’ a literary and political figure in the reign of kings Jeongjo and Soonjo. Seokjae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literary figures in the early 18th ce...

      The study investigated the life and scholastic views of ‘Seokjae Yoon haeng-im(1762~1801)’ a literary and political figure in the reign of kings Jeongjo and Soonjo. Seokjae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literary figures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his excellence has been recognized by later literary men.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existing researches on scholastic views in the late 18th century by looking closely into the life and scholastic views activities of Seokjae.
      In terms of Seokjae's life, the study looked closely into the political and cultural effects of his genealogy and confirmed that he made close friends with the government officials working for Gyujanggak such as Yu Duk-Gong, Lee Deok-mu, Lee Seo-gu and Lee Gon-su including his relatives by marriage and friends. It has been also observed that he had a great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 on the king Jeongjo after becoming a governmental official in his manhood.
      The study investigated the summary of his writings in terms of his prose, the composition of 「(Posthumous) Works of Seokjae」 and the presence of whether there were any noticeable works. his personal background, along with his bib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from the ch'ing Dynasty, influenced the shaping of his scholastic views. Being more involved in the studies of the Ch'ing dynasty, rather than absorbing its culture, he introduced an approach to historical reserch based on a new Confucian methodology. The foundation of scholarship was conventional Confucianism. The root of this ideology was in Confucianism. The crucial element in his individuality as a realist was that he was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Confucianism at the time. 「(Posthumous) Works of Seokjae」 shows his high level of scholar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생애와 교유 = 3
      • 1. 가계와 생애 = 3
      • 2. 仕宦期의 교유 = 14
      • Ⅲ. 著作 = 24
      • Ⅰ. 서론 = 1
      • Ⅱ. 생애와 교유 = 3
      • 1. 가계와 생애 = 3
      • 2. 仕宦期의 교유 = 14
      • Ⅲ. 著作 = 24
      • 1. 여항인에 대한 문학적 관심 - 『海上淸云』 = 28
      • 2. 개인적 체험과 민족 자존 의식 -『海東外史』 = 33
      • 3. 현실을 超克한 독창적 경전 읽기 - 『薪湖隨筆』 = 43
      • Ⅳ. 博學的 학문 경향 = 49
      • 1. 민속과 언어에 대한 관심 = 52
      • 2. 金石 및 음악, 미술에 대한 관심 = 56
      • Ⅴ. 결론 = 61
      • 參考文獻 = 63
      • (Abstract) = 65
      • (초록) =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