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일본수필에 나타난 『문말もの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entence-final “Monoda” in Modern Japanese Essay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880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exception of examples containing grammatical form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meanings and “independent noun mono+da” (353 examples) that can stand alone without using “sentence-final monoda,” out of the total of 1,100 examples...

      With the exception of examples containing grammatical form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meanings and “independent noun mono+da” (353 examples) that can stand alone without using “sentence-final monoda,” out of the total of 1,100 examples of “sentence-final monoda” collected in 33 modern Japanese essays, 333 examples of “sentence-final mood monoda” are used in this research to specify the classification of adverbs, conjunctions, and postpositions that end with monod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ition of monoda in sentenc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entence-final mood monoda” can be seen in 115 decisive sentences, 92 explanative sentences, 69 retrospective sentences, 27 generalization sentences, 23 exclamatory sentences, and 7 normative sentences.
      Retrospective, generalization, exclamatory, and normative sentences all end with “sentence-ending mood monoda” without exceptio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usages of “decisive” and “generalization" is that in the “decisive” type of sentence, the flavor of “generalization” is little, if any, and that in the “generalization” type of sentence, even though it might be interpreted as an asserted sentence, it would be more naturally interpreted as “generalization.” “Decisive,” “explanative,” retrospective,” “generalization,” “exclamatory,” and “normative” sentences can either explain the sentence listed before (“prior explanation”) or after (“posterior explanation”). Sometimes the explanation is listed within the monoda-sentences, but they are present only in “explanative” sente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선행연구의 고찰
      • 3. 연구대상자료 및 연구방법
      • 4. 문말ものだ의미분류의 기준
      • 5. 의미에 의한 문말ものだ의 분류
      • 1. 머리말
      • 2. 선행연구의 고찰
      • 3. 연구대상자료 및 연구방법
      • 4. 문말ものだ의미분류의 기준
      • 5. 의미에 의한 문말ものだ의 분류
      • 6. 당위
      • 6.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기정, "「ものだ」の意味と用法について" 일본어문학회 (45) : 55-70, 2009

      2 박정근, "현대일본수필에 나타난 문말「설명のだ」에 관한 고찰" 대한일어일문학회 (66) : 73-90, 2015

      3 野田春美, "日本語硏究叢書9「の(だ)の機能」" くろしお出版 216-217, 1997

      4 寺村秀夫, "日本語のシンタクスと意味第Ⅱ卷" くろしお出版 297-305, 1984

      5 籾山洋介, "文末の<モノダ>の多義構造" 名古屋大学 ⅩⅣ (ⅩⅣ): 19-45, 1992

      6 揚妻祐樹, "形式的用法の<もの>の構文と意味" 東北大學文學部 30 : 82-, 1990

      7 揚妻祐樹, "實質名詞<もの>と形式的用法との意味的つながり" 東北大學文學部 6-9, 1991

      8 森田良行, "NAFL選書5 日本語表現文型" 143-273, 1989

      9 坪根由香里, "<ものだ>に關する一考察" 日本語敎育學會 (84) : 66-74, 1994

      1 도기정, "「ものだ」の意味と用法について" 일본어문학회 (45) : 55-70, 2009

      2 박정근, "현대일본수필에 나타난 문말「설명のだ」에 관한 고찰" 대한일어일문학회 (66) : 73-90, 2015

      3 野田春美, "日本語硏究叢書9「の(だ)の機能」" くろしお出版 216-217, 1997

      4 寺村秀夫, "日本語のシンタクスと意味第Ⅱ卷" くろしお出版 297-305, 1984

      5 籾山洋介, "文末の<モノダ>の多義構造" 名古屋大学 ⅩⅣ (ⅩⅣ): 19-45, 1992

      6 揚妻祐樹, "形式的用法の<もの>の構文と意味" 東北大學文學部 30 : 82-, 1990

      7 揚妻祐樹, "實質名詞<もの>と形式的用法との意味的つながり" 東北大學文學部 6-9, 1991

      8 森田良行, "NAFL選書5 日本語表現文型" 143-273, 1989

      9 坪根由香里, "<ものだ>に關する一考察" 日本語敎育學會 (84) : 66-74,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3 0.56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