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환경협력은 지구적 환경의제와 국가 차원에서의 실행을 수직적으로, 역내 국가간의 환경현안을 수평적으로 연계시켜 공동으로 대응하는데 큰 역할을 해왔다. 지역환경협력은 해양,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7762170
2008
Korean
539.9105
KCI등재
학술저널
5-30(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역환경협력은 지구적 환경의제와 국가 차원에서의 실행을 수직적으로, 역내 국가간의 환경현안을 수평적으로 연계시켜 공동으로 대응하는데 큰 역할을 해왔다. 지역환경협력은 해양, 대...
지역환경협력은 지구적 환경의제와 국가 차원에서의 실행을 수직적으로, 역내 국가간의 환경현안을 수평적으로 연계시켜 공동으로 대응하는데 큰 역할을 해왔다. 지역환경협력은 해양, 대기 등 지역 공유재(common pool resources)와 국제하천, 접경생태계 등 공동환경자원의 관리를 위한 협력의 공간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지구적 차원의 환경의제 실행에서나 생태적 상호의존성(ecological interdependence)에서 야기되는 부정적 영향을 대응하는데 지역 환경협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환경거버넌스 논의에서 이에 대한 논의는 매우 낮은 편이다. 본고는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각 소지역협력의 제도적 특성을 분석하여, 소지역 협력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도화된 복합적상호의존성(institutionalized complex interdependence)이 환경협력을 통해 생태적 상호의존성에 대한 대응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검토한다.
연구논문 : 친환경적 경영활동, 조직 역량 그리고 재무 성과와의 관계: 실증적 연구
연구논문 : 사외이사선임이 환경정보의 공시성향과 공시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논문 : 컨조인트 기법을 적용한 풍력발전의 다속성 가치 추정
연구논문 : 생태근대화론에 기반한 한국의 에너지정책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