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진해시 웅산-장복산 지역의 등산로변 수목조사 = A Study on the Woody plants in Trails of the Region from Ungsan to Jangbogsan in Jinh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54945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진해시 웅산 - 장복산 지역의 등산로 5구간(Ⅰ: 웅산 ~ 안민고개, Ⅱ: 천자봉 ~ 웅산, Ⅲ: 자은초등학교 ~ 시루봉, Ⅳ: 안민고개 ~ 청룡암, Ⅴ: 안민고개 ~ 장복산)의 목복식물을 조사한 결과 47과 76속 100종 11변종 6품종이로 총 117종류가 조사 되었다. 이들 중 상록침엽수는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삼나무, 화백, 편백, 둥근향나무 등 8종류이고, 상록활엽수는 남천, 사철나무, 은목서, 마삭줄, 동백, 차나무, 후피향나무 등 7종류이며, 희귀 멸종 식물은 산닥나무가 조사되었다. 한국 특산종으로는 잣나무, 노각나무, 신이대, 오동나무 등이 조사 되었다.
      전 구간에 걸쳐 나타나는 수종으로는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편백,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팽나무, 비목, 벚나무, 자귀나무, 조록싸리, 진달래, 싸리 등 15종류였다.
      번역하기

      진해시 웅산 - 장복산 지역의 등산로 5구간(Ⅰ: 웅산 ~ 안민고개, Ⅱ: 천자봉 ~ 웅산, Ⅲ: 자은초등학교 ~ 시루봉, Ⅳ: 안민고개 ~ 청룡암, Ⅴ: 안민고개 ~ 장복산)의 목복식물을 조사한 결과 47과 ...

      진해시 웅산 - 장복산 지역의 등산로 5구간(Ⅰ: 웅산 ~ 안민고개, Ⅱ: 천자봉 ~ 웅산, Ⅲ: 자은초등학교 ~ 시루봉, Ⅳ: 안민고개 ~ 청룡암, Ⅴ: 안민고개 ~ 장복산)의 목복식물을 조사한 결과 47과 76속 100종 11변종 6품종이로 총 117종류가 조사 되었다. 이들 중 상록침엽수는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삼나무, 화백, 편백, 둥근향나무 등 8종류이고, 상록활엽수는 남천, 사철나무, 은목서, 마삭줄, 동백, 차나무, 후피향나무 등 7종류이며, 희귀 멸종 식물은 산닥나무가 조사되었다. 한국 특산종으로는 잣나무, 노각나무, 신이대, 오동나무 등이 조사 되었다.
      전 구간에 걸쳐 나타나는 수종으로는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편백,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팽나무, 비목, 벚나무, 자귀나무, 조록싸리, 진달래, 싸리 등 15종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ody plants species were investigated as 117 taxa; 47 families, 76 genus, 100 species, 11 varieties, 6 forms in whole 5 trails surveyed areas of the region from Ungsan to Jangbogsan in Jinhae(Ⅰ; Ungsan~Anmingogae, Ⅱ; Cheunjabong~Ungsan, Ⅲ; Jaeunchogyo~Sirubong, Ⅳ; Anmingogae~ Cheangryongam, Ⅴ; Anmingogae~Jangbogsan). The narrow-leaved evergreen types were 8 specie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Cryptomeria japonica, Chamaecyparis obtusa, Chamaecyparis pisifera and Juniperus chinensis var. globosa. The broad-leaved evergreen types were 7 species; Nandina domestica, Euonymus japonica, Osmanthus asiaticus,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Camellia japonica, Thea sinensis and Ternstroemia japonica. The endemic woody in korea were Pinus koraiensis, Stewartia koreana, Sasa coreana and Paulownia coreana. The rare and endangered species was Wikstroemia trichotoma. In all area surveyed woody plants were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Pinus rigida, Chamaecyparis obtusa, Quercus acutissima, Q. dentata, Q. serrata, Q. mongolica, Celtis sinensis, Lindera erythrocarpa,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lbizzia julibrissin, Lespedeza maximowiczii,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Lespedeza bicolor.
      번역하기

      The woody plants species were investigated as 117 taxa; 47 families, 76 genus, 100 species, 11 varieties, 6 forms in whole 5 trails surveyed areas of the region from Ungsan to Jangbogsan in Jinhae(Ⅰ; Ungsan~Anmingogae, Ⅱ; Cheunjabong~Ungsan, ...

      The woody plants species were investigated as 117 taxa; 47 families, 76 genus, 100 species, 11 varieties, 6 forms in whole 5 trails surveyed areas of the region from Ungsan to Jangbogsan in Jinhae(Ⅰ; Ungsan~Anmingogae, Ⅱ; Cheunjabong~Ungsan, Ⅲ; Jaeunchogyo~Sirubong, Ⅳ; Anmingogae~ Cheangryongam, Ⅴ; Anmingogae~Jangbogsan). The narrow-leaved evergreen types were 8 specie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Cryptomeria japonica, Chamaecyparis obtusa, Chamaecyparis pisifera and Juniperus chinensis var. globosa. The broad-leaved evergreen types were 7 species; Nandina domestica, Euonymus japonica, Osmanthus asiaticus,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Camellia japonica, Thea sinensis and Ternstroemia japonica. The endemic woody in korea were Pinus koraiensis, Stewartia koreana, Sasa coreana and Paulownia coreana. The rare and endangered species was Wikstroemia trichotoma. In all area surveyed woody plants were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Pinus rigida, Chamaecyparis obtusa, Quercus acutissima, Q. dentata, Q. serrata, Q. mongolica, Celtis sinensis, Lindera erythrocarpa,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lbizzia julibrissin, Lespedeza maximowiczii,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Lespedeza bicolo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