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 Fasciola hepatica에 의한 간농양으로 진단 받은 환자에게 장기간 praziquantel을 투여하여, fasciola에 의한 간농양에 대한 장기간의 Praziquantel두여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F. hepatic...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37326
1997
Korean
513.90
학술저널
417-42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Fasciola hepatica에 의한 간농양으로 진단 받은 환자에게 장기간 praziquantel을 투여하여, fasciola에 의한 간농양에 대한 장기간의 Praziquantel두여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F. hepatic...
목 적 : Fasciola hepatica에 의한 간농양으로 진단 받은 환자에게 장기간 praziquantel을 투여하여, fasciola에 의한 간농양에 대한 장기간의 Praziquantel두여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F. hepatica에 의한 간농양으로 진단 받은 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F. hepatica에 의한 간농양으로 진단한 기준은 1) micro-ELISA에 의한 기생충에 대한 항체검사에서 fasciola 항원에 대한 반응이 양성이고 2) 말초 혈액 검사상 호산구증다증 을 보이며 3) 복부초음파 또는 복부컴퓨터단층촬영상 간질에 의한 간농양의특징적 소견을 보이며 4) 간내점 유병소에 대한 조직검사상 호산구성 농양을 보이는 경우로 하였다. Praziquantel의 투여는 하루 70-84mg/kg으로 7일간 투여 하였다. Praziquantel 투여 후 치료 효과 유무의 판정은 3개월 내에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500/㎣ 이하로의 감소 및 1년 이내에 간농양 의 소멸 여부로 결정하였다.
결 과 : 호산구다증은 2-3개월 내에 정상화 되었고, 간농양은 1예에서 치료 5개월 후에 병변의 크기가 90%이하로 감소하였고 나머지 2예에서 1년 이내에 소실되었다. Praziquantel의 투여를 중단할만한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 론 : 7일간의 praziquantel 투여는 간질증에 의한 간농양에 대해 효과가 있으리라 생각되며 안전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 Fascioliasis is a zoonotic helminthiasis by fasciola species and is occasionally complicated by liver abscess, and the treatment of choice is oral bithionol, which is not available in Korea. Most clinical reports showed that praziquantel ...
Background : Fascioliasis is a zoonotic helminthiasis by fasciola species and is occasionally complicated by liver abscess, and the treatment of choice is oral bithionol, which is not available in Korea. Most clinical reports showed that praziquantel given at usual dosage(75mg/kg for 1day) failed to cure Fasciola fepatica infections, however, it has not been investigated whether long term praziquantel(70mg/kg/d for 7 days) would be effective.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long term praziquantel therapy in patients with Fasiola liver abscess.
Method : Ther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who were diagnosed as liver abscess by F. hepatica. The diagnostic criteria for inclusion were 1) hypereosinophilia, 2) positive serologic test for F. hepatica antigen, 3) characteristic findings on CT scan and 4) demonstration of aggregates of eosinophils on ultrasonography-guided aspirates of the abscess. Praziquantel was given orally to patients at the daily does of 70-84mg/kg for 7 days. the effectiveness was assessed by the normalization of count at the end of 3 months
and the disappearance of abscess cavity on ultrasonography or CT scam one year after treatment.
Results : Blood eosinophil count decreased to less than 500/mm³ in all patient within 2 to 3 months. The liver abscesses reduced in size by 90% in 5 months in one patient and disappeared within a year in two patients. No major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7-day praziquantel therapy may be effective and safe in the treatment of liver abscess caused by F. hepatica.
말초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발생한 지역사회발생 Respiratory Syncytial Virus 폐렴 1예
신증후출혈열 환자의 역학조사를 위한 혈청학적 분석 및 항원검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Helicobacter pylori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