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타자적 경계에 의한 URBAN BLOCK 재구성 = The Urban Block Reformation Based on the Notion of Boundary and Other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6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건축물은 외부환경의 일정 부분이 물리적 외피로 한정됨에 의해 그 안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것이며, 내부공간은 바닥, 벽체, 지붕 등 경계 요소를 사이에 두고 외부공간으로 둘러싸인다. 이 경계 요소는 공간을 한정하는 요소이고, 건축물의 모습을 형성하며, 건축물 내·외부 환경이 유기적으로 맺어져 있는 관계의 표현이다. 건축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관계의 양상에 따라 건축역사상 다양한 공간이 구축되어 왔다.
      기존의 건축역사는 대개 정형적 구성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건축적 경계 요소에 의한 내·외부공간의 설정이라는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건축공간은 복합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명확히 구분될 수 없고, 다양한 인식적 차원에서 경험되어 지므로, 건축물의 내부는 실내공간이며 그 바깥은 외부공간이라는 이분법적 논의는 이미 근대건축 이후 타파되기 시작하였다.
      물리적 연결 관계에 따른 절대적인 내·외부 공간의 구분은 무의미해지고 서로의 관계가 융합되어 대립적인 경계는 불확정적이 며 모호해진다. 또한 경계는 내·외부의 관계를 설정하는 통과의 장소가 되며 건축의 중심과 주변부뿐만 아니라 외부를 이어주는 통과의 공간으로도 치환될 수 있다. 현대 건축가들은 이러한 이분법적인 내·외부공간의 설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내부와 외부가 아닌 경계에 집중하게 되며, 자연스럽게 경계는 영역이 끝나는 부분이 아니라 새로운 것이 시작되는 부분이며, 하나의 영역으로 인식되기 시작한다.
      본 논문에서는 내·외부 공간 설정이라는 이분법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왔던 경계를, '타자성'에 의해 새롭게 설정 해보고자 한다. '타자성'은 관찰자가, 내·외부를 동시에 드러내는 경계공간을 바라보고 인식함으로서 형성된다. 결국 관찰자는 인식적 시선을 통해 내·외부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타자성'에 의한 새로운 경계를 공간계획에 반영하여 새로운 건축 공간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건축물은 외부환경의 일정 부분이 물리적 외피로 한정됨에 의해 그 안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것이며, 내부공간은 바닥, 벽체, 지붕 등 경계 요소를 사이에 두고 외부공간으로 둘러싸인다. 이 ...

      건축물은 외부환경의 일정 부분이 물리적 외피로 한정됨에 의해 그 안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것이며, 내부공간은 바닥, 벽체, 지붕 등 경계 요소를 사이에 두고 외부공간으로 둘러싸인다. 이 경계 요소는 공간을 한정하는 요소이고, 건축물의 모습을 형성하며, 건축물 내·외부 환경이 유기적으로 맺어져 있는 관계의 표현이다. 건축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관계의 양상에 따라 건축역사상 다양한 공간이 구축되어 왔다.
      기존의 건축역사는 대개 정형적 구성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건축적 경계 요소에 의한 내·외부공간의 설정이라는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건축공간은 복합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명확히 구분될 수 없고, 다양한 인식적 차원에서 경험되어 지므로, 건축물의 내부는 실내공간이며 그 바깥은 외부공간이라는 이분법적 논의는 이미 근대건축 이후 타파되기 시작하였다.
      물리적 연결 관계에 따른 절대적인 내·외부 공간의 구분은 무의미해지고 서로의 관계가 융합되어 대립적인 경계는 불확정적이 며 모호해진다. 또한 경계는 내·외부의 관계를 설정하는 통과의 장소가 되며 건축의 중심과 주변부뿐만 아니라 외부를 이어주는 통과의 공간으로도 치환될 수 있다. 현대 건축가들은 이러한 이분법적인 내·외부공간의 설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내부와 외부가 아닌 경계에 집중하게 되며, 자연스럽게 경계는 영역이 끝나는 부분이 아니라 새로운 것이 시작되는 부분이며, 하나의 영역으로 인식되기 시작한다.
      본 논문에서는 내·외부 공간 설정이라는 이분법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왔던 경계를, '타자성'에 의해 새롭게 설정 해보고자 한다. '타자성'은 관찰자가, 내·외부를 동시에 드러내는 경계공간을 바라보고 인식함으로서 형성된다. 결국 관찰자는 인식적 시선을 통해 내·외부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타자성'에 의한 새로운 경계를 공간계획에 반영하여 새로운 건축 공간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chitecture is as the certain part of exterior environment became limited by physical skin, formed internal space, this internal space is surrounded by external space among the boundary such as bottom, wall, roof etc. This boundary element is the limiting the space, forming figure of architecture, and the expression of relationship that connected organically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architecture.
      Current architecture history was written with a interest of patterned structure as the viewpoint of inner and outer place's establishment by architectural boundary factor. However, so the architecture space is made of multiple structure that can't be defined clearly, and is experienced by various recognition, dichotomy discussion that the inside of architecture is indoor space and outside is the external space has already started to collapse since the modern architecture.
      The division of inner and outer space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came meaningless, relation became fused together, conflictive boundary went unsettled and vague. The modern architect concentrate on the boundary not internal and external way, to escape from the establishment of inner and outer space, naturally the boundary is not finishing part, it's the new starting spot, and it begins to be recognized as the one field.
      In this paper, we newly establish boundary considered as dichotomy of inner and outer space selection by 'Otherness'. 'Otherness' is formed as the observer watch and recognize boundary space which reveals inner and outer space, In conclusion, through epistemic sight, the observer newly establish the relationship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 We reflect new boundary by this 'Otherness' to the space plan and suggest new architecture space design.
      번역하기

      Architecture is as the certain part of exterior environment became limited by physical skin, formed internal space, this internal space is surrounded by external space among the boundary such as bottom, wall, roof etc. This boundary element is the lim...

      Architecture is as the certain part of exterior environment became limited by physical skin, formed internal space, this internal space is surrounded by external space among the boundary such as bottom, wall, roof etc. This boundary element is the limiting the space, forming figure of architecture, and the expression of relationship that connected organically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architecture.
      Current architecture history was written with a interest of patterned structure as the viewpoint of inner and outer place's establishment by architectural boundary factor. However, so the architecture space is made of multiple structure that can't be defined clearly, and is experienced by various recognition, dichotomy discussion that the inside of architecture is indoor space and outside is the external space has already started to collapse since the modern architecture.
      The division of inner and outer space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came meaningless, relation became fused together, conflictive boundary went unsettled and vague. The modern architect concentrate on the boundary not internal and external way, to escape from the establishment of inner and outer space, naturally the boundary is not finishing part, it's the new starting spot, and it begins to be recognized as the one field.
      In this paper, we newly establish boundary considered as dichotomy of inner and outer space selection by 'Otherness'. 'Otherness' is formed as the observer watch and recognize boundary space which reveals inner and outer space, In conclusion, through epistemic sight, the observer newly establish the relationship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 We reflect new boundary by this 'Otherness' to the space plan and suggest new architecture space desig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