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경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515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불안정성이 증가한 현대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가 중요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역할이 크게 확대했다.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맞물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직...

      불안정성이 증가한 현대사회에서 정신건강 문제가 중요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역할이 크게 확대했다.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맞물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들의 직무경험을 젠더적 시각에서 이해할 필요성 역시 대두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토대를 두어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직무경험에 관해 질적 탐구하고자 했다. 연구참여자는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 5명이다. 1인당 4~5회기의 심층면담을 실시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1985)의 기술적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5개의 본질적 주제를 발견했다. 이는 “사회의 틀 맞춰 갖추는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라는 옷”, “여성으로 감당하기 당혹스러워도 의연하게 클라이언트 응대하기”, “성별로 나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지위의 경계”, “여성으로서의 사생활과 정신건강 직무의 뒤엉킴”, “걸림돌 딛고 일궈내는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서의 성장”과 같았다. 대주제는 “여성 역할 물결 따르며 전문직 사명의 파고 높이기”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를 위한 전문성 향상 방안을 포함하여 성인지적 직무상황 개선과 직장 내 양성평등 확산 등에 관해 제언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mental health problem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modern society where uncertainty is increasing, the rol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has also expanded greatly. Moreover, in lin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men entering the...

      As mental health problem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modern society where uncertainty is increasing, the rol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has also expanded greatly. Moreover, in lin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men entering the workforce, the need to examine the work experiences of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from a gender perspective is on the rise. Base on this trend, this study aimed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work experiences of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iv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ur to five in-depth interviews per person and analyzed using Giorgis (1985)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five essential themes: “the facade of th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 which is expected to suit the expectations of the society,” “being responsive to the clients without a trouble even if its embarrassing to handle as a woman,” “boundaries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are divided by gender,” “tangle of the womens privacy and mental health related jobs,” and “growth as th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have overcome obstacles.” The main theme was “following the flow of women’s roles and heightening the professional mi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recommendations were made concerning the enhancement of gender sensitive job situations and the expansion of gender equality in the workplace, including the plans to improve professionalism for the femal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문헌고찰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요약
      • 1. 서론
      • 2. 문헌고찰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